"상환능력되는데"…돈 줄 막힌 무주택자

입력
수정2019.09.03. 오후 5:45
기사원문
이근형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 기자]
<앵커> 빚을 갚을 여력이 충분한 무주택자들조차 자금줄이 막혀 내 집마련이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갈수록 금리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규제에 융통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근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서울에 사는 직장생활 10년차 전환균씨는 최근 내 집 마련이 더 어려워진 것 같다고 말합니다.



장래 배우자와 함께 자산을 모아 아파트를 매수하겠다는 꿈을 가졌지만, 집값이 최근 2년새 크게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공적주택은 소득기준이 초과돼 지원할 수 없고, 청약가점이 낮아 새 아파트 분양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터뷰] 전환균(35세, 직장인)

“(28) 경력에 따라서 소득수준도 어느 정도 높아졌다고 생각했거든요. 내 집 마련에 대한 약간의 기대감도 생긴 것도 사실입니다.(36) (45)아파트 값의 상승률을 보면 상쇄시킬 수 없을 만큼 많이 올라서 처음엔 기대를 했다가 다시 허탈해지는…(58)”




정부는 지난 2년간 신혼희망타운과 무주택자 분양 우선권 등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책을 계속 마련해 왔습니다.



하지만 정작 무주택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자금조달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규정 NH투자증권 연구위원

“서울에 아파트 중간가격이 8억을 넘어가는 상황에서 한 50% 수준의 대출조달이 된다고 해도 나머지 자금을 일반적인 젊은 내집마련 필요 수요자들이 직접 근로소득이나 이런걸로 조달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긴 해요”




현재 서울 등 투기과열지역 내 무주택 실수요자의 LTV·DTI 한도는 50%로 70% 수준이던 규제 이전에 비해 크게 못 미칩니다.



이마저도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미만에만 적용되는 한도여서, 상환능력이 더 좋은 고소득 무주택자가 대출은 오히려 더 적게 받는 역차별을 낳고 있습니다.



대출한도가 막히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더 높은 신용대출을 주택자금으로 쓰는 부작용도 잇따르는 실정입니다. (개인 신용대출 잔액(5대 은행), 3월 101.4조, 5월 103조, 7월 103.6조 8월 105.3조)



[인터뷰]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적어도 누구나 사회에서 인정하는 그정도의 투기가 아닌 사람에 대해서는 길을 좀 열어놔야 됩니다. 이대로 계속 가다간 현금 없으면 집 못사는 상황인데 이게 과연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거냐는 고민해봐야 될 부분입니다.”




무주택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규제는 다주택자의 처분매물이 무주택자에게로 돌아가지 못하게 막는 장애요인으로도 작용한다는 분석입니다.



한동안 금리 하락세가 점쳐지는 가운데 상환능력이 충분한 무주택 실수요자가 자력으로 내 집마련을 할 수 있도록 융통성있는 정책 운영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이근형 기자 lgh04@wowtv.co.kr

네이버 홈에서 [한국경제TV] 채널 구독하기 [생방송보기]
대한민국 재테크 총집결! - [증권 / 주식상담 / 부동산]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