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는 새 몸이 ‘퉁퉁’…‘부종’ 왜 나타날까?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어딘가가 무겁고 찌뿌둥하다 싶더니 평소와 달리 몸이 부어있다. 눈이나 얼굴, 다리 등 붓는 부위뿐 아니라 그 이유도 가지각색. 한국건강관리협회의 도움말로 ‘부종’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부종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부종이 나타나는 부위와 원인은 저마다 다를 수 있기에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하다.


■원인 없는 ‘특발성 부종’ 건강엔 지장 없어

기본적으로 몸이 붓는 이유는 신체 내의 물 성분이 세포와 세포 사이로 많이 빠져나오기 때문. 주로 다리나 발과 같이 몸 아래 부분이 붓는 경우가 많지만 누워 있을 때는 얼굴, 그중에서도 특히 눈 주위가 붓는 경우가 많다.

다행히 부종은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성 부종'이 대부분이다. 뚜렷한 원인 없이 주기적으로 부었다 빠졌다를 반복하는 것이다. 대부분은 비만한 체형으로 불안, 초조, 두통 등이 동반될 수 있다. 특발성 부종은 부기가 반복적으로 생기기는 하지만 건강을 해치지는 않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

■특정질환, 영양결핍 등에 의한 부종은 건강 적신호

특발성 부종과 달리 신체조직 중 어딘가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부종은 건강 적신호로 받아들여야한다.

우선 신장이 나쁘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 혈액 내 삼투압 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혈액 외 조직 내로 수분이 빠져나가 부종이 생기는데 아침에는 주로 눈과 얼굴이, 오후에는 다리가 붓는다.

심장이 나쁘면 호흡곤란이 생기고 주로 다리가 붓는다. 좌측 심장기능이 떨어지면 폐에 물이 차서 주로 호흡곤란이, 우측 심장기능이 떨어지면 주로 사지 부종이 생긴다. 간이 많이 나쁘면 먼저 배에 물이 차서 배가 부르게 되며 나중에 사지가 붓는다.

내분비기관에 문제가 생겨도 부종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갑상선기능저하에서는 전신에 부종이, 기능 상승에서는 다리 부위에 부종이 생긴다. 두 경우 모두 눌러도 잘 들어가지 않는 부종이다.

영양이 부족해도 몸이 부을 수 있다. 특히 무리한 다이어트는 영양결핍을 부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여성에게는 생리하기 수일 전 부종이 나타난다. 임신 관련 부종도 흔하다. 임신부 4명 중 3명에서 부종을 겪는데 특히 임신중독증(임신기간 중 혈압의 상승과 더불어 소변에서 단백이 검출되는 질환)이 발생하면 몸이 심하게 붓는다.

일부 약물도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부종이 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약을 중단하면 기존 질병이 악화될 수 있다. 특정 약을 먹고 몸이 붓는 것 같다면 반드시 전문의에게 진료상담을 받아야한다.

■생활습관개선으로 부종 완화할 수 있어

이처럼 부종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했다면 원인제거에 힘쓸 차례다. 무조건 이뇨제를 쓰면 소변으로 수분이 빠져나가 부기가 일시적으로 줄어들 수 있지만 원인을 방치하면 부종이 재발된다. 심지어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부종은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우선 붓는 다리는 수시로 심장보다 높게 올리는 것이 좋다. 누울 때는 발밑에 베개나 담요를 깔고 앉을 때는 책상에 다리를 올려놓으면 된다. 다리를 감싸주는 압력으로 인해 부기가 덜 생기기 때문에 의료용 탄력 스타킹도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오래 앉아 있으면 자연히 다리에 물성분이 차고 심하면 정맥혈류장애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중간중간 일어나 가볍게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염분을 적게 섭취하도록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부종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72시간 이내 급격히 증가하는 부종, 숨차거나 어지러운 증상 또는 피부 변색이나 통증 등이 동반될 때에는 건강 적신호로 속히 정확한 진단과 진료를 받아야한다”고 강조했다.

<헬스경향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