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사려는 사람 이렇게 없어? 매수심리 3개월째 '꽁꽁'

입력
수정2022.02.13. 오전 6:48
기사원문
신유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셋값이 급등함에 따라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풍경도 달라지고 있다.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현상이 13주 연속 이어지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더 많은 현상이 13주 연속 이어지고 있다. 대출규제에 이어 금리인상이 이어지며 매수 여건이 악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월 첫째 주(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8.7로 집계돼 지난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11월 15일 99.6을 기록해 100 밑으로 떨어지면서 이번주까지 13주 연속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한 것으로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수치다. 이 지수의 기준선은 100으로, 100 이하로 떨어지면 아파트 매매거래 시장에 공급이 수요보다 많다는 의미다.

서울 5개 권역 중에는 종로구, 용산구 등이 속한 도심권 매매수급지수가 85.7로 가장 낮았다. 이는 지난주 88.3과 비교하면 2.6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이외에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이 89.0에서 88.6으로 하락했다.

영등포구, 양천구, 구로구, 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90.8에서 90.7로 0.1포인트 낮아졌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88.09에서 87.43으로 하락했고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 동북권은 87.7에서 88.3으로 유일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11주, 지방은 9주 연속 매매수급지수가 100을 넘기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전체 수치는 지난주와 같은 91.4를 기록했고 전국적으로도 지난주와 같은 93.8을 기록했다.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광주(100.77)와 강원(100.78), 전북(101.50) 등 세 곳을 제외하면 다른 지역들은 모두 매수자가 우위인 상태다.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91.3을 기록해 지난주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전국 수치는 96.3에서 96.6으로 상승했다.

기자 프로필

안녕하세요 머니S 건설부동산부 신유진 기자입니다. 유익한 기사를 전달하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