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15%, 뉴질랜드·호주가 추월해
OECD국 유일하게 세계 평균 아래
전문가 "백신 물량 부족이 근본 원인"
"변이 예방 위해 2차 접종률 높여야" 한국이 8일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가장 낮다는 집계 결과가 나왔다.
국제 통계 사이트인 아워월드인데이터가 8일 올린 집계에 따르면 한국의 접종 완료율은 15%(질병관리청의 8일 0시 기준 발표와 동일)다. 반면 지난달 말까지 한국보다 뒤처졌던 뉴질랜드와 호주의 접종 완료율은 각각 16%, 17.1%로 한국을 추월했다.
이처럼 한국이 접종 완료율 최하위를 기록한 건 '백신 부족'이 근본 원인이란 지적이 나온다. 델타(인도발) 변이 바이러스 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2차 접종률을 끌어 올려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또 아워월드인데이터 집계에 따르면 한국은 이날까지 세계 평균 접종 완료율(15.3%)에 못 미치는 유일한 OECD 국가이기도 하다. 올 5월 OECD에 가입한 코스타리카도 16.7%로 나타났다. OECD 국가의 절반 가까이가 접종 완료율이 50%가 넘는다. 앞서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접종 시작이 가장 늦었고, 현재 1차 접종률은 40.7%로 OECD 국가 중 하위권(34위)이다.
외신들도 한국의 느린 백신 접종 상황을 전했다. 지난달 28일 뉴욕타임스(NYT)는 한국의 접종 예약 지연 사태를 전하며 "한국은 초기 백신 확보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결과가 최근 비참할 정도로 뚜렷해졌다"고 꼬집었다. 가디언도 지난달 29일 "한국이 올 여름 델타 변이로 진땀을 빼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대유행 초기 바이러스 확산 억제에 성공했다며 자축했지만 충분한 백신 확보엔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8일 블룸버그 백신 트래커에 따르면 최근 하루 평균 접종 횟수가 일본은 226만9209회인 반면 한국은 30만1333회로 집계됐다. 한국은 백신만 충분하면 하루 100만회 접종도 가능한 의료 역량을 갖췄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국보다 접종 완료율이 1%포인트 높은 뉴질랜드는 최근 지역사회 감염자가 한 건도 보고되지 않을 만큼 코로나19 상황이 안정적이다.
델타 변이 확산으로 국가별 백신 확보와 접종률 향상 노력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스라엘에 이어 영국·독일·프랑스는 다음 달부터 고령자, 면역 취약층 등을 대상으로 부스터 샷(3차 접종)을 놓을 방침이며 미국도 계획 중에 있다.
정부는 지난 5일 "국산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2025년까지 글로벌 백신 생산 5위 국가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우주 교수는 "당장 올해와 내년 백신 수급 상황도 안갯속"이라면서 "국산 백신에 과도한 기대를 갖거나 먼 미래의 이야기를 할 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책임자들이 외교력을 발휘해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끌어모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국산 백신 개발과 별개로 내년용 백신 물량을 부지런히 확보해야 올 상반기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