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 정리 ‘똘똘한 큰집 한 채’…강남 대형아파트 ‘고공행진

입력
기사원문
성연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산가들 포트폴리오 재편
대형 공급 줄어든 것도 원인
매도자들 세금 더한 호가에도
강남 대장주 신고가 행진 지속
‘코로나집콕’ 넓은 집 선호 한몫
반포동 래미안 퍼스트지 단지의 모습. [헤럴드경제DB]


“거래 없죠. 2.5단계 이후부터는 매수 문의도 줄긴 했는데, 팔리면 신고가에요. 특히 지금은 대형이 잘나가요. 115㎡(이하 전용면적)하고 135㎡는 매물이 없어요. 나오면 바로 나갈 거에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종합상가 내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실제 이 단지는 비수기였던 지난 7~8월, 7개의 면적 가운데 가장 큰 198㎡·222㎡만 제외하고 모두 역대 최고가에 거래됐다.

3.3㎡당 1억원에 팔리면서 화제가 된 같은 지역 아크로리버파크와 더불어 래미안퍼스티지는 오랜 기간 이 지역 대장주로 자리했다. 이 단지 집값이 먼저 움직이면 다른 곳이 따라 움직였다. 그래서 이 지역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이 아파트 집값 움직임이 강남권 초고가 주택의 바로미터라로 평가한다.

▶반래퍼, 모든 면적 값 올랐는데 대형 상승폭 가장 커= 눈에 띄는 것은 대형의 약진이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래미안퍼스티지 59㎡, 84㎡, 115㎡, 135㎡, 168㎡등 규모별로 모두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상승폭이 가장 큰 것은 135㎡다. 해당 면적은 T1, T2 두 개 타입이 있는데, 잠원초등학교를 끼고 있어 앞이 탁 트인 고층 매물이 7월 41억원에 팔렸다. 같은 타입의 직전 매매가 37억5000만원보다 3억5000만원이 더 오른 값이다. 현재 호가는 42억원이 넘는다.

수요가 가장 많아 집값 상승폭이 큰 84㎡가 32억원에 팔리면서 종전 신고가(31억원)보다 1억원 오른 것을 감안하면, 대형 상승세가 무섭다. 이 일대 공인중개업 관계자는 “재건축을 통한 주변 새 아파트에 130㎡이 넘는 대형을 찾기 어렵다”면서 “다주택자 규제로 하급지 물건을 정리한 자산가가 똘똘한 대형 한 채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매수 문의가 줄었다고 해도, 1~2명이 매수 의사를 밝히면 바로 최고가에 팔리곤 한다”면서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면서 ‘더 넓은 집’ 선호 현상이 짙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현금 수십억 싸들고 자산가 대형 아파트로 이동= 각 지역 랜드마크 지역의 대형은 최근 연일 신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이 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현금 자산가들이 수십억원을 싸들고 대형 아파트 매수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된 상황에서 이 같은 움직임은 눈에 띌 수 밖에 없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도 지난달 178㎡가 55억원 최고가에 팔린 데 이어, 129㎡도 역대 가장 비싼 48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성수동 고급 아파트인 트리마제 137㎡도 7월 말 40억50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다. 44층 고층으로, 6월 저층의 같은 크기가 거래된 가격보다 9억9000만원 높다.

도곡동 도곡렉슬도 7월 134㎡가 35억9000만원(14층)에 팔렸는데 한 달 전 비슷한 층수인 13층 물건은 31억원에 팔린 바 있다. 4억9000여만원이 오른 셈이다.

지난달 5일 송파구 잠실동 레이크팰리스 135㎡도 27억원에 계약서를 쓰며 전월 대비 2억원 몸값을 높였고, 아시아선수촌아파트도 151㎡가 7월 27일 32억5000만원에 팔리며 한 달 전보다 1억~2억원 정도 올랐다.

동작구 한강조망권인 한강현대 아파트도 8월 7일 131㎡가 17억9000만원에 역대 최고가에 매매됐다. 직전 거래인 5월 중순 거래값은 14억9000만원으로 3억원이나 낮다.

일반적으로 84㎡이하 중소형 거래가 많고 가격 상승폭이 가장 높은 것을 감안하면, 최근 130㎡가 넘는 대형의 이 같은 상승세는 이례적이라고 현장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시장 안팎에선 늘어난 양도세 부담도 대형의 가격 상승 원인으로 꼽는다. 세금 부담이 커진 집주인이 이를 일부라도 완화하기 위해 호가를 더 높이고, 결국 거래로 이어지고 있다는 거다.

강남권 자산가들의 초고가 아파트 매매를 주로 돕는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재건축 수익성 등의 문제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130㎡ 이상의 대형 비중이 적어 공급이 제한적”이라면서 “호가가 많이 뛰었는데도 매물이 워낙 적으니 나오기만 하면 거래가 성사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주거 면적이 큰 집에 대한 선호도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재택근무가 일상화하는 등으로 ‘집콕족’(집에 콕 박혀 있는 사람들)이 늘면 대형 주택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성연진 기자

▶엄마들이 꼽은 NO.1 화상영어..무료체험

▶헤럴드경제 네이버 채널 구독 ▶농수축산물 소비캠페인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