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사 무료 앱 중 추천할 만큼 우수한 서비스 또는 앱 사용성을 만족하는 앱이 몇이나 될까? 그나마 이통사 추천 앱으로 소개할만한 앱의 대부분이 SKT 앱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옥수수(oksusu)'다. 이미 필자는 무료 영화, 스포츠 중계 등을 이유로 옥수수 앱을 여러차례 포스트 소개했다.
▶ SKT 옥수수 추천 앱 리뷰 모아보기 ◀
옥수수 앱을 추천한 후에도 필자는 꾸준히 잘 사용하고 있다. 그만큼 옥수수 앱은 일정 기준 이상의 SKT 가입 고객에게는 꽤 매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TV 드라마, 예능 프로 시청은 물론이고 무료 영화 시청까지 하고 싶은 분들에게 옥수수 앱은 넷플릭스나 유튜브와 비교할 수 없는 차별화된 스마트폰 동영상 시청 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자칫 LTE 사용 환경에서 옥수수 무료 콘텐츠를 시청하면 요금 폭탄 또는 데이터 부족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것!
필자는 10년 이상 SKT 가입 고객(장기 가입 고객)이며, band 데이터 퍼펙트S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옥수수 앱 및 무료 콘텐츠 시청이 가능하다.
참고로 가입된 요금제에서 기본 제공되는 LTE 데이터는 16GB다. 월 16GB의 LTE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필자가 최근 데이터 부족 현상으로 리필쿠폰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옥수수'다.
관련 글 : 부족한 스마트폰 LTE 데이터 리필쿠폰으로 100% 데이터 리필하는 방법
현재 사용 중인 아이폰 XS 맥스의 설정 - 셀룰러 메뉴에서 설치 및 사용하고 있는 앱의 LTE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LTE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상위 Top3 앱과 데이터 소모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ksusu 약 7.6GB
YouTube 약 1.8GB
Facebook 약 1.6GB
참고로 사진 앱의 LTE 데이터 사용량도 증가했는데... 만약 LTE 사용 환경에서 사진 동기화 작업을 중지하려면 '설정 - 사진 - 셀룰러 데이터' 메뉴에서 셀루러 데이터 기능을 비활성화(끔)하면 된다.
역시나(?) 동영상 관련 앱의 LTE 데이터 사용량이 높다. 그 중에서 옥수수가 유튜브보다 4배 이상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시청 시간의 차이도 있겠지만 문제는 재생되는 동영상 화질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유튜브는 LTE 상태에서 SD 화질을, 옥수수는 LTE 상태에서도 HD 화질로 동영상을 재생한다.
숨겨 놓은 화징당 데이터 사용량
옥수수 앱은 무료 영화 시청과 같은 파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SKT 입장에서는 고객의 LTE 데이터를 소모할 수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은 단순히 동영상 서비스 제공을 떠나서 회사의 메인 서비스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이번 달 필자가 무료 영화로 옥수수에서 시청한 '성난황소'를 예를 들어 보자. 옥수수 앱 실행 후 '나의 무료 - 한국 영화'에서 성난 황소 영화를 선택하면... 바로보기 가능하다.
시청 가능 영역을 확장시키면 재생 화질에 따른 LTE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데이터 사용량을 숨겨 놓은 것 부터 SD 대신 HD 화질로 콘텐츠를 재생했을 때 사용자가 인지하는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부분을 간과할 수 있다.
영화 성난황소를 옥수수에서 시청시 HD 화질은 약 1.59GB, SD 화질은 874MB의 LTE 데이터를 소모한다. 물론 와이파이(Wi-Fi) 연결 상태에서 시청하면 LTE 데이터 소모 없이 영화 시청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 영화보기
SD와 HD 화질 차이가 클까?
SD는 Standard Definition(표준 해상도)로 보통 720 x 480 해상도이며
HD는 High Definition(고선명도)로 보통 1280 x 720 해상도다.
SD와 HD를 저화질과 고화질로 이야기하기 때문에 보다 선명한 화면으로 영화를 보고 싶다면 HD를 선택하는게 좋다. HD 선택시 문제점은 데이터 사용량이 높다는 것!
스마트폰앱에 설치된 옥수수 앱에서 영화 시청시 HD와 SD 화질의 차이는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다. 가로 방향으로 아이폰을 눕혀 놓고 화면 가득히 콘텐츠 화면을 키워 재생한다면 HD 화질이 더 좋은건 사실이지만 세로 모드로 재생하거나 이동 중 LTE 데이터로 시청하는 경우 SD 화질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HD와 SD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는 사용자의 선택이라 할 수 있으니 SD가 좋다 HD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옥수수 앱의 문제는
HD SD 화질 설정의 부재다
유튜브(YouTube) 역시 SD와 HD 화질로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다. 하지만 유튜브는 아래와 같이 설정 메뉴에서 Wi-Fi에서만 HD 재생 옵션이 있다. 해당 설정을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으로 변경해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옥수수 앱의 환경설정에는 사용 환경에 따른 콘텐츠 재생 화질에 대한 설정이 없다. 그리고 기본 설정이 HD로 되어 있으니 사용자는 아무 생각없이 보다 높은 데이터 사용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옥수수 앱을 자주 그리고 적극 사용하는 입장에서 '옥수수 앱'은 SKT 이통사 앱 중 강력 추천하는 앱이다. 포스트는 물론이고 가족, 지인에게도 강력 추천하는 앱이 바로 '옥수수'다.
하지만 옥수수를 소개 추천하면서 꼭 하나 덧붙이는 것은 요금폭탄 또는 LTE 부족을 겪고 싶지 않다면 콘텐츠 재생시 SD 화질로 시청하라는 것이다. 유튜브나 다른 동영상 앱처럼 설정에서 와이파이 설정을 추가하거나 HD 재생시 소모되는 무선 데이터 사용량을 소개하는 것이 혹시 모를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친절한(?) 자세가 아닐까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