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북핵 주도권' 확보했지만…'동상이몽' 4강 난제

입력
수정2017.07.09. 오후 8:25
기사원문
이한석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과 독일 방문을 통해 한반도 문제는 우리가 주도하겠다고 분명히 밝혔죠. 하지만 한반도 주변 4강의 생각이 너무 달라서 조율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 같습니다.

이한석 기자입니다.

<기자>

G20 정상회의의 하이라이트는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이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쾨르버 재단 연설 (독일 베를린, 7월 6일) : 대한민국의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한반도에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담대한 여정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제재를 병행하되 한국이 대화를 주도해 북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포괄적 접근법으로 한반도 4강의 지지를 끌어냈습니다.

제재에 무게를 둔 미국과 일본이 평화적 해결 원칙에 동의했고 대화를 강조하는 중국과 러시아에 대북압박을 촉구하는 기반도 마련했습니다.

또 바로 이 장면처럼 특히 정상 간 친밀함을 높였다는 점은 국내외에 상징하는 부분이 큽니다.

보수 야당인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조차 "첫 4강 외교에서 국가안보와 국익의 편에 선 것을 지지한다"며 비교적 호평했습니다.

그러나 한계와 과제도 뚜렷했습니다.

중국에는 사드 보복 조치 철회를 요구했지만 확답을 받지 못했고 일본과의 정상회담에선 위안부, 소녀상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팽팽한 입장 차만 재확인했습니다.

북핵문제 해법을 놓고 미일 대 중러, 한반도 주변 4강이 근본적으로 엇갈리는 상황은 큰 부담입니다.

성과와 과제를 동시에 확인한 문재인 대통령은, 4박 6일간의 독일 순방을 마치고 내일(10일) 아침 귀국합니다.

(영상취재 : 문왕곤·서진호, 영상편집 : 최진화) 

이한석 기자(lucaside@sbs.co.kr)

☞ [마부작침] '인사청문 대해부' 기획 시리즈

☞ [나도펀딩] 목숨보다 소중한 그 이름, 엄마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
댓글

SBS 댓글 정책에 따라 SBS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