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각 1000주년

팔만대장경

위대한 문화유산

비슷한 글22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팔만대장경은 방대한 규모와 정교한 내용뿐 아니라 독특한 보존 방법의 과학성으로도 감탄을 자아낸다.

1 경판을 만드는 과정

경판을 만드는 나무 재료의 특징에서 팔만대장경의 760여년 보존의 비밀을 찾을 수 있다. 나무는 산에서 베어지는 순간 생물학적으로는 죽었지만 경판 나무로서는 수백 수천 년을 살아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나무는 끊임없이 공기 중의 수분을 서로 주고받는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무가 갖고 있는 수분관리만 잘해주면 몇 천 년은 거뜬히 버틴다.

경판을 만들기에 앞서, 먼저 경판에 쓸 나무는 미리 벌채하여 적어도 1년 이상 산에 그대로 둔다. 이는 나무에 걸려있는 응력(應力)을 제거하여 가공과정 중에 나무가 갈라지고 휘는 것을 막는 1차적인 조치이다. 통나무 그대로는 너무 무거워 운반이 어려우므로 산에 판자로 켜서 판자만 메고 새김장소로 내려온다.

그 다음 판자를 소금물에 삶는다. 이는 벌레 먹음을 막기 위한 것이 아니라 두꺼운 판자는 나무를 말리는 과정에 쉽게 갈라지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다. 나무의 표면은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방 마르면서 심한 수축이 되고 판자의 가운데는 아직 수분이 빠져 나오지 못해 덜 마른 상태로 거의 수축되지 않는다.

속과 표면의 수분 차이는 나무의 갈라지는 원인이 된다. 소금은 흡습성이 있으므로 표면의 빨리 마름을 늦추어 주어 안팎의 수분차이를 줄여주므로 훨씬 덜 갈라지게 만든다.

다음은 햇빛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자연 상태에 두고 적어도 2~3년을 건조시키는 작업이다. 경판은 실제 두께가 약 3cm이므로 판자로 켤 때는 5cm 전후이었을 터이다. 이런 두꺼운 판자는 지금도 대단히 조심스럽게 말리지 않으면 갈라지고 터져서 못쓰게 된다. 아마 가장 조심스럽고 힘든 일이 말리는 과정이었을 것 같다.

건조가 끝나면 글자를 새길 수 있는 나무판을 만들어야 한다. 경판의 너비는 24cm이므로 이런 판자는 대체로 안으로 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런 휨을 막아주는 일이다. 경판은 이런 휨을 막아 줄 조치로서 마구리를 양 옆에 끼워 넣었다. 휨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구실을 하는 경판의 중요한 구조다.

마구리는 인쇄할 때 경판의 취급이 편하도록 만든 손잡이인 동시에 경판을 보관할 때 다른 경판의 글자 부분과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서 경판을 쌓았을 때 아래위로 공기이동을 쉽게 해주는 굴뚝 효과까지 있다.

경판 만드는 과정

2 현대 과학자들도 극찬한 대장판전 설계의 비밀

고려의 장인들은 경판을 쌓아둘 창고, 즉 판전(板殿)을 어떻게 지을 것인지에 많이 고심한 것 같다. 우선, 판전 구조를 살펴보자. 약간 서남향으로 나란히 一자로 지어진 수다라장과 법보전 사이의 동서 양쪽 끝에는 자그마한 건물이 각각 한 채씩 더 있다.

대장경을 보관하는 판전. 일정한 공기습도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해인사의 가장 위쪽, 서남향의 양지 바른 곳에 자리 잡도록 설계되었다.

경판을 오랫동안 흠 없이 잘 보존하기 위한 첫 번째 조치는 통풍이 잘되게 해주는 것이다. 경판나무는 공기 중의 수분과 끊임없는 소통을 한다. 공기가 습하면 수분을 빨아들이고 반대로 건조하면 수분을 내놓는다.

이런 과정은 공기습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매년 반복하다 보면 계절별로 경판이 갖는 함수율은 대체로 일정해 지며 우리는 이를 평형함수율이라 부른다. 해인사 일대의 연간 평형함수율은 15~16%이며 경판은 이 함수율에 거의 안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함수율을 유지 할 수 있는 곳으로 해인사의 가장 위쪽, 서남향의 양지 바른 곳에 판전이 자리 잡도록 설계했다.

한편 수다라장이나 법보전 둘 다 대장경판 보관을 목적으로 지었으므로 장식이 거의 없는 소박한 건물이다. 판전은 약 60cm 높이 정도의 기단(基壇)을 만들고 대체로 네모지거나 불규칙한 모양의 자연석 위에 기둥을 얹었다. 바깥 기둥은 둥글게 깎은 두리기둥으로 약간 배흘림이 되어 있고, 건물 안의 중앙 기둥은 네모기둥이다.

바깥 기둥의 위에는 단익공(單翼工)을 짜 넣어 대들보를 받치고 이 대들보는 높은 중앙 기둥의 옆구리에 고정시켰는데, 이는 반대쪽에도 동일하여 대칭을 이룬다. 높은 중앙 기둥의 위와 좌우로 걸쳐진 대들보의 가운데에는 다시 작은 기둥을 세워 대들보를 연결하고, 건물 안 중앙 기둥의 위에는 다시 기둥을 지붕머리와 연결하도록 하여 건물이 더욱 견고하게 보강했다.

이렇게 구조는 단순할지라도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는 데 가장 많은 신경을 쓴 것 같다. 내부 바닥은 흙바닥이며 경판꽂이를 판전의 길이 방향과 같이 설치하고 적당한 공간을 두어 상하좌우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고안했다. 건물 바깥벽에 설치한 붙박이 살창 역시 판전 안의 공기 흐름을 배려한 설계이다.

벽면의 아래와 위 및 건물의 앞면과 뒷면의 살창 크기를 달리하여 대류 현상을 이용하는 절묘한 기술을 발휘했다. 건물의 앞면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중방(中枋)을 걸치고 붙박이 살창을 아래위로 설치했다. 수다라장과 법보전의 살창 모양은 비슷하나 크기가 약간씩 다르다.

내부 바닥은 흙바닥이며 경판꽂이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두어 상하좌우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고안했다. 또한 아래 위 살창크기를 달리하여 대류현상을 이용하는 절묘한 기술을 발휘했다.

수다라장의 경우 앞 벽면의 창 크기는 아래 창이 위 창보다 약 4배 정도, 뒤 벽면은 위 창이 아래 창보다 1.5배 정도 더 크다. 법보전은 앞 벽면은 아래 창이 위 창보다 약 4.6배 정도, 뒤 벽면은 위 창이 아래 창보다 1.5배 크다. 판전의 앞과 뒤 그리고 아래와 위의 창 크기를 왜 달리했는가? 여기에는 자연 대류를 생각한 선조들의 과학이 숨어 있다.

수다라장과 법보전은 모두 30칸 195평. 동, 서 사간전은 모두 3칸 17평의 장방형 목조 건물이다. 건물은 가야산 정상인 두리봉을 뒤로하고 깃대봉, 단지봉, 오봉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앞에는 비봉산을 마주보고 있다. 판전 건물 자리는 표고 645m이고 기본 방향은 서남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판전은 남향 건물로서 앞쪽보다 뒤쪽의 온도가 낮고 공중 습도가 높다.

공기의 이동은 판전 건물 뒷면의 살창으로 들어와 판전 속에 머물다가 빠져 나갈 때는 앞으로 나가기 마련이다. 판전으로 공기가 들어갈 때 습한 공기는 아래에 처져 있으므로 위 창보다 아래 창을 약간 작게 하여 습한 공기가 적게 들어가게 설계했다. 그러나 바깥 공기는 건물 높이 4m 정도에서는 아래 위 습도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으므로 살창은 1.5배 정도로 큰 차이는 두지 않았다.

판전 속에 들어간 공기는 경판이 가지고 있는 수분을 빼앗아 들어올 때보다 무거워지고 아래로 처진다. 이런 습한 공기는 앞면 살창을 통해 빨리 빠져나가 버릴 수 있도록 앞면 아래 창은 위 창보다 4배 이상 크게 만들었다. 반면에 건조하여 위로 올라간 공기는 오랫동안 판전 안에 머무를 수 있게 판전 앞면 위 창은 아주 작게 했다.

한편 경판을 판전 안에 어떻게 쌓아두어야 가장 효과적일까? 경판이 갈라지거나 썩고 벌레 먹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다음은 주어진 공간에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장수를 쌓아야 한다. 건물의 평수를 함부로 넓히는 일은 건축비도 문제지만 관리가 어렵다.

조상들은 마치 책꽂이처럼 여러 층의 선반을 만들었다. 평면으로 늘어놓기보다 당연히 많이 들어간다. 선반은 무거운 경판을 견뎌내야 하므로 튼튼함이 기본이다. 선반이 넘어지지 않도록 사각 기둥을 세우고 서로 연결했다. 경판꽂이는 판전의 가운데 한 줄, 뒤 벽 쪽에 한 줄로 건물의 길이 방향인 동서로 길게 두 줄로 배치했다.

대류 현상으로 판전 안의 공기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는 판전 벽에 붙어 있는 살창로 공기의 수평 이동을 편리하게 해둔 설계와 함께 판전 안의 공기 자연 순환장치를 합리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여러 층의 선반을 만들고 선반이 넘어지지 않도록 사각 기둥을 세워 서로 연결했다. 건물의 방향대로 동서 길게 두 줄로 배치된 경판꽂이의 사이로 발생하는 대류 현상으로 판전 안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3 현재의 보존 노력

경판의 보전 관리를 위하여 경판의 상세한 상태 파악을 목적으로 '경판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었다. 이는 각 경판의 호적에 해당하는 고유번호, 배열위치, 경판의 치수, 중량, 판목의 수종, 변형, 생물학적 조사(미생물과 곤충), 칠의 성분분석, 마구리 금속 장식판 및 못의 성상 등 각 경판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는 작업이다.

또한 장경판전에 관하여 각 건물 도면 작성, 건물기둥의 손상(부식) 부위와 벽면 상세도, 판전 내부의 온습도와 분진 성분 조사를 통해 경판의 안전한 보존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1999년부터 문화재청과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에서는 고려대장경의 디지털 영상화 및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을 시작하였고 2008년에 완료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경판의 배열도 작성, 경판의 제원조사, 경판의 디지털 촬영, 경판의 전·후면 상태조사, 판가의 해체보수, 경판 마구리 보수, 사진과 자료에 의한 관리 프로그램화 작업, 판전 내 바닥 다지기, 신판가 철거, 방범시스템 설치 등이 있다.

  • 발행일2011. 09. 23.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