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월세 금액, 시장과 도지사가 정한다" 與 법안 발의

입력
수정2020.07.20. 오후 9:3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시장과 도지사의 '표준임대료' 기준으로 정해야
민주당 윤호중 의원 대표발의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연합뉴스


일반 시민이 가진 아파트라 하더라도 전세 보증금과 월세 금액을 모두 정부가 지정해 주는 내용이 더불어민주당 발의 법안 개정안에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국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주거기본법·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윤호중 민주당 의원 대표발의)에 따르면, 앞으로 민간인도 자신이 가진 집을 세놓을 때 전세보증금이나 월세금은 시장·도지사가 정하는 ‘표준임대료’를 기준으로 정해야 한다. 표준임대료보다 일정 수준 이상 높이는 계약은 무효가 된다는 의미다.

표준임대료는 시장·도지사가 매년 정한다. ▲해당 주택의 공시가격 ▲주변 임대 시세 ▲물가 ▲은행 대출금리 등을 ‘고려해’ 산정한다.

계약기간도 기존 ‘2년’에서 세입자 희망에 따라 ‘6년’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또 이 법안 도입 이전 체결한 계약에 대해서도 상한제를 적용하는 특례조항을 넣어놨다.

법안 발의에는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 외에 윤후덕·이학영·윤관석·임호선·김종민·김성환·김정호·김영배·장경태·최인호 의원이 참여했다.

이들은 법안 제안 이유에 대해 최근 전세 시세 급등을 거론하면서 그 이유를 “임대료 인상에 관한 국가의 책임이 불분명하고 임대료 인상 범위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적었다.

[원우식 기자 ssikssik2@chosun.com]




유용원 군사전문기자의 밀리터리시크릿 '밀톡'
과학이 이렇게 재밌을수가~ '사이언스카페'
네이버에서 조선일보 받아보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