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이자'라더니…인터넷은행 대출금리 최고 10% 육박
젊은 층이 많이 쓰는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금리가 연 10% 가까이로 치솟았습니다. 지점 없이 인터넷으로만 거래하는 대신 싼 이자로 돈을 빌려주겠다던 설립 취지와는 다른 모습인데요. 소비자들 사이에선 이래서야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과 무슨 큰 차이가 있냐는 불만이 나옵니다.
오원석 기자입니다.
[기자]
직장인 최은지씨는 지난해 3월 한 인터넷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11월 한 차례 금리를 깎아달라고 요구해 금리를 3%대까지 낮췄지만, 한 달 만에 다시 1%포인트 가까이 올린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최은지/직장인 : 금리 인하돼가지고 좀 이제 덜 이자가 나가겠구나 했는데, 바로 한 달 만에 바뀌어버리니까 조금 되게 당황스러웠어요.]
지난해 12월 기준 5개 시중은행의 일반신용대출금리는 평균 3.78%.
그런데 인터넷은행인 K뱅크는 5.71%, 카카오뱅크는 9.79%에 달합니다.
인터넷은행들은 신용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빌려주는 중금리대출을 늘렸기 때문에 평균금리가 높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인터넷 은행의 금리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상봉/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그게 이제 은행하고 기업하고의 차이일 수 있어요. 기업은 보다 많은 이윤을 내야 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과 무슨 차이가 있냐고 불만을 터뜨립니다.
지점이 없는 대신 비용을 줄여 싼 이자로 돈을 빌려주겠다던 설립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는 겁니다.
실제 저축은행 중에는 연 10% 안팎의 금리에 대출을 해주는 곳이 여럿 있습니다.
인터넷은행에 월급계좌를 두고 주거래은행으로 쓰는 소비자들은 앞으로 대출금리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대출을 조이고 있어, 주거래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에선 대출을 받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상디자인 : 송민지)
기자 프로필
항상 사람을 생각합니다.
Copyright ⓒ JTB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3
JTBC 헤드라인
더보기
JTBC 랭킹 뉴스
오전 8시~9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
고3 남학생, 휴대폰 쥔 손으로 여교사 폭행... '수업 중 폰게임 지적' 이유
-
“시장님은 연차쓰고 대선 출마 중”
-
"붕괴 위험" 새벽 2시 안전 문자 울렸다…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통제
-
"환상 속의 한동훈" 또 서태지 소환...윤석열 계엄 '시대유감'은?
-
팀장 없는 날을 뭐라 부를까… X세대는 “무두절”, Z세대는 “어린이날”변화하는 관가 직장 문화 최근 세종시에 있는 한 중앙 부처 A 사무관은 갓 입사한 후배 공무원이 “오늘은 어린이날”이라고 하길래 날짜를 다시 확인했다고 한다. 알고 보니 ‘과장이 출장으로 하루 종일 자리를 비워, 과
-
[단독]‘MZ조폭에 8400만원 금품-향응받은 혐의’ 경찰간부 기소
-
“이제 못 볼 수도” 청와대 관람객 갑자기 증가…무슨 일? [수민이가 궁금해요]
-
“중국산? 더 이상 적수 아니다”...전기차 30만대 분량 ‘이것’ 공급하는 기업은
-
[단독] 고려대 의대 본과 3·4학년 110여명 유급 결정실습 불출석, 수업 일수 못 채워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한창인 가운데 고려대가 수업 일수를 채우지 않은 본과 3·4학년생을 유급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유급 대상은 해당 학년의 절반 이상으로 110명이 넘을 전망이다
-
"1년하고 하루 더 근무 뒤 퇴사, 연차수당 챙기니 괘씸"…갑론을박
-
지지층 대선후보 적합도…민주 이재명 87.9%, 국힘 김문수 46.3%
-
"주말까지 여행·외출 절대 안돼"…10년 만에 돌풍 경계령 내린 中 베이징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