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중대형 상가 공실률 ‘역대 최고’…강남 공실률마저 사상 첫 10%돌파

입력
기사원문
유병훈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올해 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12.4%로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핵심 상권으로 꼽히는 서울 강남 상권마저도 공실률이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내수경기 침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온라인 시장 성장이 결부된 결과로 분석된다.

서울 강남의 대형 오피스빌딩/상가정보연구소

3일 수익형부동산 연구개발기업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2.4%로, 지난 2분기 0.4%포인트 증가했다. 지난 분기 대비 공실률이 상승하지 않은 지역은 전분기 대비 0.8%포인트 하락한 경기도(9.0%,)와 0.4%포인트 하락한 경남(13.9%) 뿐이었다.

서울을 포함한 전국 광역시 등 주요 도시도 상황은 좋지 않았다. 전국 주요 도시 중 공실률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대전으로, 대전의 3분기 공실률은 지난 분기 13% 대비 1%포인트 증가한 14%를 기록했다. 이어 △서울 8.5%(0.6%포인트 증가), △인천 13.7%(0.4%포인트 증가), △광주 14.8%·대구 16.2%(0.3%포인트 증가), △부산 13.2%·울산 15%(0.1%포인트 증가)의 순으로 공실률이 상승했다.

서울시 강남 지역의 3분기 평균 공실률은 11.3%로, 지난 분기 9.8% 대비 1.5%포인트 증가해 공실률 통계가 집계된 이래 처음 10%를 초과했다. 서울 강남구 내에서 공실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강남대로 상권으로 3분기 강남대로 공실률은 지난 분기 8.5% 대비 7.9%포인트나 늘어난 16.4%를 기록했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몇 해 전부터 온라인 시장 성장과 사용자 증가로 오프라인 매장 중심인 상가 시장의 분위기는 침체된 모습을 보였다"며 "여기에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어 상가 시장의 분위기는 얼어붙어 있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 위험이 지속되며 강남과 같이 사람이 많이 찾았던 상권도 유입 인구가 줄어 상권의 분위기는 침체된 모습을 보였다"며 "이러한 침체된 분위기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종식, 내수 경기 호전 등의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유병훈 기자 itsyou@chosunbiz.com]




▶네이버에서 조선비즈를 구독 하세요
▶삼성 품은 이곳… 제2의 이태원으로 급부상
▶올해 '이 기업들' 투자 안하면 영영 기회 없다

저작권자 ⓒ 조선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