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편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정확한 정의와 아이에게 필요한 역량,
그리고 현재 입시제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보았습니다.
( * 1편 아직 안 보신 분들은 이 글 아래에 있는 링크를 클릭해 꼭 읽어보세요! ☺ )
오늘은 자기주도학습 계획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D
자기주도학습을 완성하는 3단계 공부법
자기주도학습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들마다 학습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공부방법도 달라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크게 3단계로 자기주도학습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목표를 정하고 계획 세우기
자기주도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이의 현재 공부방법을 살펴보고, 학습목표를 정합니다. 처음 자기주도학습을 할 때에는 아이가 달성할 수 있는 작은 목표를 정하고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부터 어려운 목표를 정하면 실패 경험이 많아지기 때문에 스스로 학습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게 되죠.
목표를 정하면 아이의 학습 계획을 세웁니다. 학습 계획은 크게 연간, 월별, 일주일 단위, 일별로 순서대로 작성합니다. 일별로 계획을 세울 때에는 학습 시간으로 세우지 않고 학습 분량을 기준으로 세울 수 있어야 아이의 평균 학습 분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부 과목 순서를 정할 때에는 개념이나 원리 과목은 먼저 계획하고, 암기 과목은 제일 나중으로 배치합니다. 아이가 어려워하는 것을 먼저 학습하면 뒤로 갈수록 쉬운 과목이기 때문에 성취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부 계획을 세울 때부터 그런 부분까지 고려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2단계] 계획대로 학습 실천하기
아이는 계획표대로 학습을 진행하는데, 습관이 되기 전까지 부모나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어야 합니다. 하나의 행동이 변화되어 습관화되려면 최소 21일은 걸린다고 합니다. 아이의 습관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교사나 부모가 개입을 해야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개입’이라는 것은 칭찬과 시간관리에 대한 코칭입니다.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잘 실천했으면 칭찬해 주고,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있으면 격려를 하며 자신감을 얻도록 도와줍니다.
또 하나는 꼼꼼한 시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기주도학습은 꼼꼼한 시간관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일단 아이가 작성한 계획표대로 실천하게 하고, 부모나 교사가 관찰하면서 아이의 수행도를 파악하여 중간점검을 하며 아이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코칭합니다.
[3단계] 나만의 공부법 만들기
과목별로 아이가 쉽게 할 수 있는 공부방법을 찾습니다. 아이의 학습 정도를 한 달 정도 관찰한 후 아이와 계획을 수정할 때 학습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아이만의 과목별 학습 방법을 정합니다.
그날 공부한 내용을 자신의 용어로 말해보는 방법, 오답노트를 활용하는 방법, 인터넷 강의나 참고서를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부하며 자기만의 공부법을 찾아 꾸준히 훈련하면 성적도 올라가고 학습에 대한 자신감도 함께 높아지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