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물폭탄, 일제때 배수시설론 속수무책

입력
수정2020.08.03. 오전 10:11
기사원문
김지애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집중호우 빈도·강수량 급증했지만 하수도 시설은 수십년前 기준 설치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주민들이 2일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토사가 덮쳐 아수라장이 된 마을을 수습하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다. 경기도와 충북, 충남 지역에는 한때 시간당 1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져 곳곳에서 산사태, 제방 붕괴, 도로 유실 등 피해가 속출했다. 안성=권현구 기자

지난달 말부터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집중호우의 빈도와 양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인데도 현재 대다수 하수도 시설이 과거 기준으로 설치돼 늘어난 수량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배수 시설을 보완·확충해야 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미흡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기상청은 지난달 28일 발간한 ‘2020 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에서 “지난 106년(1912~2017년) 동안 연평균 강수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강수량은 10년에 11.6㎜씩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여름철 집중호우(하루 80㎜ 이상 강수) 강수량도 10년에 7.54㎜, 일수는 0.07일씩 늘고 있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그러나 현재 설치돼 있는 하수도 시설은 이런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조원철 연세대 명예교수는 2일 “전국 배수시설 중에는 일제강점기에 설치된 것을 아직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며 “빗물 처리 용량이 20~30㎜에 불과한 것도 많다”고 설명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중부지방에 집중호우가 내린 이날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에서는 시간당 102.5㎜(오전 8시), 충북 충주에는 시간당 74.5㎜(오전 6시)의 비가 내렸다. 지난달 23일 부산 초량동 제1지하차도 침수 사고 역시 배수펌프 등 방재시설이 있었지만 관측 이래 9번째로 많은 양의 시간당 강수량을 감당하지 못해 벌어졌다.

빗물 저류시설 등 보완책이 도입되고 있지만 도심에는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한계도 있다. 조 명예교수는 “전날 폭우로 침수된 상습 침수지역인 서울 강남역은 땅값이 비싸 저류시설을 건설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와 지방 간 방재 역량 차이로 지방이 재해에 더 취약하다는 점도 지적된다. 이날 붕괴된 경기도 이천 산양저수지에 대해 김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국 1만8000여개 저수지 중 약 1만5000개 읍·면 단위의 작은 저수지들은 설계 기술이 부족한 시기에 만들어져 재해에 취약하다”며 “시설을 강화해야 하지만 재정이 충분하지 않은 지방에서는 우선순위가 밀리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산사태 등 집중호우에 따른 부차적인 사태가 방재 설계에서 간과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지난달 30일 대전 코스모스아파트 침수는 빗물뿐 아니라 산사태로 떠내려온 흙이 배수로를 막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설계 단계에서 지형의 영향을 고려해 설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배수시설의 확충과 보완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상호 부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하수도 규격을 확대하고 부족한 빗물 저류시설 등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2010년대 이후 새로 만드는 저류시설은 서울의 경우 시간당 95㎜까지 처리할 수 있다”면서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돼 지자체들이 선뜻 실행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국민일보 홈페이지 바로가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