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번엔 유럽서 도청 논란…몰타대사관 통해 유럽집행위 스파이활동 가능성

입력
수정2020.05.22. 오후 12:09
기사원문
이재철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몰타대사관, 유럽집행위 본부와 마주
2007년 몰타대사관 리모델링 때 中접근
도청기 심은 가구 4억원 상당 무료제공
이후 몰타대사관 거점으로 집행위 첩보활동
몰타정부 "가구 받은 건 맞지만 도청 어불성설"
유럽매체, "친중 몰타, 유럽 내 中이익 확대 관문 역할"


중국 국기
중국이 지중해 섬나라인 몰타를 이용해 유럽 내 스파이활동을 벌인 혐의가 제기돼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중국 정부가 몰타대사관에 도청장치를 심고 해당 건물과 지척에 있는 유럽집행위원회를 타깃으로 스파이 행위를 벌였다는 의혹이다. EU를 하나의 국가로 보자면 유럽집행위는 예산과 정책을 총괄하는 '행정부'에 해당한다.

르몽드, 더 가디언 등 유럽 매체 보도를 종합하면 벨기에 정보당국은 몰타대사관의 과거 리모델링 공사 문제를 집중 들여다보고 있다.

주EU 몰타대사관은 도심 아키메드가를 경계로 유럽집행위 본부와 마주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2007년 몰타 정부가 대사관 리모델링을 하는데 중국이 접근해 새 대사관에 들일 각종 가구와 TV 등 집기를 공짜로 제공했다는 것이다.

약 4억원에 육박하는 중국의 편의 제공을 몰타 정부가 흔쾌히 수락했고 대사관 리모델링이 완성됐다.

이후 13년이 흐른 지금 브뤼셀 정부는 당시 제공된 집기에 도청장치가 심어졌을 가능성을 집중 조사 중이다.

이 과정에서 몰타 정부가 중국의 對EU 스파이 행위를 돕기 위해 유럽집행위와 마주한 자신의 대사관 빌딩을 이용하도록 묵인했을 가능성까지도 거론되고 있다.

벨기에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르몽드와 인터뷰에서 "아직 어떤 증거도 나오지 않았지만 몰타 대사관 활동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확인했다.

인구 40만명 규모의 지중해 섬나라인 몰타는 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중국의 세계 경제패권 전략인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또 중국 국영기업 상하이전력은 몰타의 에너지기업인 인스테랄타 지분 33%를 매입하는 등 경제적 결속력이 커지고 있다.

유럽 매체들은 중국이 EU 회원국 중 가장 관계가 좋은 몰타를 관문(Gateway)으로 활용해 EU 내 중국의 이해관계를 확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르몽드와 인터뷰에서 벨기에 국토안보부가 몰타대사관에 대한 조사를 확인하자 몰타와 중국은 즉각 허위사실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몰타 정부는 "중국으로부터 2007년 가구와 TV 제공 요청을 받았지만 TV는 들이지 않았고 가구만 받았다"며 "(13년이 지난 지금) 당시 받은 가구의 80%는 없어졌다"고 밝혔다.

또한 "브뤼셀에 있는 대사관은 첨단 기술과 높은 수준의 보안 방침이 적용되고 수시로 도청장치에 대한 점검이 이뤄진다"라며 "중국이 몰타대사관을 도청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중국 역시 르몽드 보도를 시작으로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자 "이는 거짓된 정보"라고 일축했다.

[이재철 기자]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매부리TV 구독하고 에어팟프로 득템!!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