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집' 공모에…사업자 · 소비자 '시큰둥', 왜?

입력
수정2021.09.12. 오후 9:52
기사원문
임태우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집값의 10%만 낸 뒤 10년 동안 월세로 살면 살던 집을 분양받을 수 있는 '누구나집' 정책을 내놨죠. 무주택자에게 부담 없이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취지이지만 주택 수요자도, 공급에 참여할 민간 사업자도 시큰둥합니다.

왜 그런 것인지, 임태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누구나집' 정책은 집값의 10%만 내면 이후 10년 동안 주변 시세보다 5~15% 싼 월세로 장기 거주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10년 뒤에는 입주 당시 미리 정해놓은 가격으로 우선 분양받을 수도 있습니다.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 : 왜 (개발) 이익을 사업자가 다 가져가는가? 이것을 임차인에게 돌려주겠다는 게 '누구나집' 프로젝트의 핵심인 것입니다.]

정부가 공공택지를 제공하면 민간 사업자는 아파트를 짓고 10년짜리 임대사업을 한 뒤 분양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인천 검단 등 6개 사업지에 약 6천 가구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정부가 최근 이 아파트를 건설할 민간 사업자 모집에 들어갔는데,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 건설사의 참여가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최소 5%의 내부 수익률을 보장하겠다는 정부 방침에도 대형 건설사들은 10년의 임대기간과 분양 이후 하자 보수 비용을 고려하면 사업성이 좋지 않다고 봅니다.

특히 부동산 조정 국면이 찾아와 10년 뒤 대규모 분양 포기 사태가 벌어지면 그 물량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합니다.

[건설사 관계자 : 브랜드적으로 좀 임팩트가 있는 대형사들 같은 경우는 (참여)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가 않습니다.]

입주민 입장에서도 '브랜드 아파트'가 참여하지 않으면 분양을 받아도 시세 차익이 작아 시들할 수밖에 없습니다.

10년 장기 거주 조건이 오히려 족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창무/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 (10년 뒤) 가족 수가 늘면 훨씬 더 다른 대형 주택을 원할 수도 있고 그래서 수요자 입장에서도 굉장히 기회가 위축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죠.]

'누구나집' 시범사업이 현실성을 가지려면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한 조금 더 면밀한 유인 분석과 조건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 영상편집 : 박진훈) 


[네이버홈에서 'SBS 뉴스'를 구독하세요!]
https://media.naver.com/channel/promotion.nhn?oid=055

기자 프로필

2007년 매일경제신문에서 첫 기자생활을 시작한 임태우 기자는 2011년 SBS로 둥지를 옮겼습니다. 임 기자는 이공계 출신으로 평소 글쓰기에 관심이 많고 호기심도 많아 기자라는 직업을 택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살아있는 현장을 누비며 시청자들에게 재밌으면서도 영감을 던져주는 멋진 콘텐츠를 제공하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