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

tteokguk / Sliced Rice Pasta Soup

두산백과

비슷한 글6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맑은 장국에 가래떡을 얄팍하게 썰어 넣어 끓인 국.

떡국
국가 한국
구분
주재료 가래떡

원래는 새해 아침(歲旦)에 먹는의 절식(節食)으로, 묵은 해가 가고 천지만물이 갱생부활(更生復活)하는 날은 엄숙하고 청결하여야 한다는 원시 종교적 의미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떡국을 먹으면서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했다. 떡국을 먹는 풍습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 따르면,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매우 오래됐으며, 상고시대 이래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飮服) 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떡국에 관한 기록은 조선 중기의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에 병갱(餠羹)이라는 명칭이 처음 보이는데, 그때의 병갱이 지금의 떡국과 같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고 국수·수제비·떡국을 모두 아우른 것으로 보인다. 이후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흰떡을 엽전과 같이 잘게 썰어서 간장국에 섞어서 쇠고기와 꿩고기와 고춧가루를 섞어 익힌 것을 병탕(餠湯)이라 한다"는 기록이 있는데, 병탕이 곧 떡국이다. 꿩고기를 구하기가 어려워 닭고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은 떡국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밖에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와 《경도잡지(京都雜志)》 등 조선시대의 도성인 한양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책들에서 떡국을 만드는 내용 등을 볼 수 있는데, 모두 세찬(歲饌)으로 빠져서는 안 될 음식이라고 하였다. 주재료인 가래떡은 과거에는 권모(拳摸) 또는 백병(白餠)이라고 불렀는데, 그 형태를 길고 가늘게 만든 데에는 무병장수를 비는 뜻이 담겨 있다. 떡국을 먹음으로써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으로 여겼으며, 나이를 물을 때 "병탕을 몇 사발 먹었느냐"고 묻기도 하였으며, 여기서 유래하여 떡국을 첨세병(添歲餠)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과거에는 꿩고기 또는 닭고기로 떡국의 국물을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주로 쇠고기를 쓴다. 쇠고기는 고명할 것은 도톰하게 썰어 갖은양념을 하여 구워 놓고, 장국할 것은 잘게 썰어 파를 넣고 끓인다. 달걀은 황·백을 갈라 지단을 부치고 채쳐 놓는다. 흰떡을 얄팍하게 썰어서 팔팔 끓는 맑은 장국에 넣는다. 떡이 위로 떠오를 때 그릇에 담아 쇠고기 구운 것, 지단·김·잣 등을 웃기로 얹는다.

관련 동영상

설날엔 왜 떡국을 먹을까?

더 알아보기

확장영역 접기
참조항목
가래떡 , , 절식 , 한국요리
역참조항목
조롱이떡국 , 오조니 , 생떡국 , 곤떡국
카테고리
생활> 식생활> 요리> 한국요리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