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근법

Perspective 음성듣기 , 遠近法

두산백과

비슷한 글11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인간의 눈으로 보는 공간사상(空間事象:3차원)을 규격된 평면(平面:2차원) 위에 묘사적으로 표현하는 회화기법.

투시도법이라고도 한다. 그림의 모양은 보는 눈의 위치가 높은 곳에 있을 때는 조감도 모양이 되고 반대로 낮은 곳에 눈이 있을 때는 충관도(蟲觀圖:고층빌딩을 올려다볼 때의 구도)가 된다. 또한 그리려고 하는 사물에 대해서 화면을 평행으로 설정하느냐 비스듬히 설정하느냐에 따라 각각 평행투시도가 되기도 하고 사투시(斜透視)의 도형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눈의 거리와 시야, 그리고 시각의 관계로 그림모양이 결정된다. 또 이론적으로는 도상(圖上)에서 무한 거리에 있는 점의 투시는 소실점과 일치하므로 눈의 위치에 따라서 설정된 지평선상에 있게 된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기초로 원근법이 성립된 것은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이지만 공간사상의 원근관계를 그리려는 생각은 옛날부터 있었음을 미술작품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서양의 원근법

서양에서는 눈에 들어오는 사상(事象)을 그리기 위해 옛날 그리스 화가 폴리그노토스(BC 5)는 원근법적 관계로 자연의 표현을 생각했다고 전하나 조감도풍(風)의 그림 형식과 화면상의 위치관계로 가까운 것은 아래로, 먼 것은 위쪽으로 그리는 형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아폴로도로스는 광선에 의한 사물의 현상에서 음영화법(陰影畵法)을 창시했는데, 그는 여기에서 색채의 농담변화로 공간감각을 느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과학적 화법인 선원근법(線遠近法)과 빛깔의 농담에 의한 대기원근법(大氣遠近法, 색원근법)은 그레코로만 시대의 폼페이 벽화 유품에서 이미 발견되었다. 중세회화에서 볼 수 있는 조형성과 장식성의 특질은 관념적인 의미를 존중하여, 자연을 재현하는 묘출(描出)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13세기 무렵에 나타난 시각론(視覺論)은 르네상스에서의 원근화법의 바탕을 이루었다. 14세기 조토의 여러 작품은 무대장치와 비슷한 공간구성이라고 할 원근관계를 배려하였다.

한편 피렌체파의 화가들은 시점을 고정시켜 놓고, 이에 대응하는 일정한 점을 화면 중앙에 설정한 후 지평선을 상정하여 화면규격에 평행하는 몇 개의 선과 한 점에 집중하는 선형체(線形體)와의 관계를 탐구, 화법으로서의 선원근법이 확립되었다. 이와 같은 선원근법 연구와 함께, 공간감각을 느낄 수 있는 색채와 명암의 농담과 강약이 대상의 크기나 물체의 위치를 묘출시키는 효력을 알게 됨으로써 조형공간이 표현된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이것은 인상파의 출현까지 회화에 있어서 기본적이며 불가결한 요소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신인상파에 이르자, 회화의 구성이론이 단순한 물리적 선원근법과 대기원근법만이 아니라, 색면구성이나 평면화로 조형성을 이루자는 순수화론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회화의 형식은 일순하여 원시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근대화하였고 감각적인 인간성을 강조하였다.

동양의 원근법

동양회화에서도 먼 데 있는 것을 화면 위쪽, 가까운 데 있는 것을 아래쪽에 그리는 방법은 오래된 형식이었다. 동진(東晉)의 고개지(顧愷之)의 《여사잠도(女史箴圖)》를 보면 먼 위치의 것은 작게, 가까운 것은 짙은 빛깔로 그리고 먼 곳은 엷게 그려 원근의식을 나타냈다. 또 먼 것은 가까운 것에 의해서 형태가 가려지는 부조(浮彫)수법도 원근인식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을 종합한 조감도적 구도가 이 작품에 병존한다.

동양에서의 원근법은 유송(劉宋)의 화가 종병(宗炳)의 산수화론에서 볼 수 있다고 사가(史家)들은 주장한다. 산수화의 황금시대라고 할 수 있는 당말(唐末)에서 오대(五代) 북송(北宋)에 이르는 삼원법의 조형인식은 고도의 인간 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원인(遠人)은 눈이 없고, 원수(遠水)는 물결이 없다"는 교훈은 원근표현 수법의 깊은 뜻을 말해준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