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휴가 복귀 안한 추미애 아들에 전화했더니 집이라더라"

입력
수정2020.08.28. 오전 3:48
기사원문
좌동욱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통합당, 당직병 증언 영상 공개
秋 발언과 배치…파장 예고
사진=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군 휴가 미복귀’ 의혹을 뒷받침하는 참고인의 증언을 담은 동영상이 27일 공개됐다. “복귀를 하지 않아 전화했더니 서 일병(추 장관 아들)이 ‘집’이라고 대답해 택시를 타고 부대로 오라고 했다”는 통화 내용 등이 담겼다. 관련 의혹에 대해 ‘검언유착’, ‘소설’이라며 강력히 부인한 추 장관의 그간 발언과 배치되는 내용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김도읍 미래통합당 의원이 이날 공개한 3분30초 분량의 인터뷰 영상에 따르면 2017년 6월 25일 당직병이던 카투사 병장 A씨는 “당시 선임 병장으로부터 사유가 없는 미복귀자가 한 명 있다고 보고를 받았다”며 “‘출타장부’를 확인해 보니 (서 일병) 복귀 날짜는 23일로 되어 있는데 복귀자 서명란에 사인이 안 돼 있어 미복귀 사실을 알게 됐다”고 진술했다. 휴가 복귀 예정일이 이틀이나 지난 후에도 부대로 복귀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A씨는 “확인 후 (서 일병에게) 전화를 해서 ‘지금 복귀해야 하는데 아느냐’고 물었더니 ‘안다’고 하더라, 당연하게 안다고 하길래 ‘지금 어디냐’고 물었더니 집이라고 했다”며 “그래서 ‘그럼 택시 타고 부대로 오라’고 했고 ‘알겠다’고 해서 전화를 종료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서 일병이) 안 들어온 것을 보고하지 않아서 큰일났다고 생각하고 있었다”며 “그런데 대위 한 명이 들어오더니 ‘네가 (서 일병에게) 전화를 한 당직병이 맞느냐’고 해서 ‘맞다’고 했더니, (서 일병) 휴가는 내가 처리했으니 미복귀라고 하지 말고 휴가자로 해서 보고 올리라고 해서 그렇게 처리했다”고 말했다.

A씨는 해당 사건이 벌어진 후 동료 병사들 사이에서 “‘엄마가 당대표면 휴가 미복귀해도 저렇게 되는구나’, ‘설마 모양 빠지게 추 대표가 직접 통화를 했겠나’, ‘추 대표가 직접 전화했다더라’는 등의 말이 돌았다”고 주장했다.

추 장관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다. 그의 아들은 당시 주한 미8군 소속 카투사로 근무했다. 추 장관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아들의 휴가 미복귀 외압’ 의혹에 대해 “외압을 행사할 이유도 없고 하지도 않았다”고 부인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믿고 보는 #기자 '한경 기자 코너'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대학시절 지나가다 우연히 청강한 수업때문에 기자가 됐습니다. 경제, 금융, 산업 분야를 주로 취재했고 지금은 실리콘밸리에 단기 특파원으로 있습니다. 한 가정의 남편이면서 두명의 아이를 둔 아빠입니다. 진실을 알기가 쉽지 않은 복잡 다단한 세상에서 상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