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 사업, 고양시의 관리계획 불허로 중단"

입력
수정2019.09.26. 오후 4:4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소은 기자] [내년부터 사업 전반에 대한 마스터플랜 수립 계획]

난지물재생센터 주변 현황.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내년부터 고양시와 함께 난지물재생센터 전반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지속가능한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물재생센터의 시설개선사업 및 주민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며 서울시가 상생협약 이후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개선사업이 시행되지 못했다는 고양시 측의 주장에 반박했다.

난지물재생센터는 1987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서울시 소유 부지에 조성됐다. 서울시 물재생시설 4곳(난지·서남·탄천·중랑) 중 유일하게 서울 바깥에 있는 시설로 하루 하수처리 용량은 86만㎥, 분뇨처리량은 4500㎘에 달한다.

시설 낙후로 인한 악취와 침전물로 인근 주민들의 불만이 빗발치자 서울시는 2012년 5월 고양시와 함께 2030년까지 총사업비 3049억원을 들여 3단계에 걸쳐 센터를 지하화하고 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공동합의문을 체결했다. 그러나 현재는 악취를 개선하고 주민친화시설을 설치하기로 한 단기사업부터 중단된 상태다.

서울시 관계자는 "2012년 상생협약 후 예산을 편성해 사업을 추진했으나 고양시에서 센터 내 서대문구 음식폐기물처리시설의 불법 증축사항을 문제삼아 GB(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 변경을 불허하면서 사업이 중단됐다"고 해명했다.

이어 "환경개선사업의 예산을 확보해도 GB관리계획 문제로 미집행이 우려된다"며 "고양시에서 GB관리계획 변경에 적극 협조하면 예산을 확보해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서울시가 난지센터 유휴부지에 협잡물을 무단으로 매립·야적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하수처리시설 기계고장 해결을 위해 청소하는 과정에서 협잡물이 발생해 부득이하게 야적했으나 현재 원상복구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토양오염이 의심된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현재 오염 여부를 분석 중이며 결과에 따라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난지물재생센터로 인해 인근 난점마을의 암 발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다거나 하수 방류수로 인해 인근 하천에 끈벌레와 기형 물고기가 나타났다는 주장도 근거가 없다며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끝으로 "앞으로 나올 마스터플랜에는 장기적 하수처리 계획과 주민친화공간 조성 등 부지 활용 계획이 담길 것"이라며 "이와 별도로 지역 주민에 대한 실질적 지원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은 기자 luckysso@mt.co.kr

▶부잣집 며느리들의 말못할 사정 [변호사상담]
▶버핏의 6가지 지혜 [투자노트] 네이버 구독 추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