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badminton 음성듣기

두산백과

비슷한 글7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네트를 중앙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shuttlecock:깃털공)을 쳐서 네트를 넘기는 경기.

제89회 전국체육대회 배드민턴 여자단식

구기(球技)의 하나이며, 셔틀콕이 마루에 떨어지기 전에 쳐 넘겨야 하는 것이 배드민턴의 특징이다. 경기규칙은 1939년에 국제배드민턴연맹(International Badminton Federation:IBF)이 제정한 후 여러 차례 개정되어 22개조로 되어 있으며, 세계 각국이 이 규칙에 따르고 있다.

역사

배드민턴의 발상(發祥) 및 발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2세기경 영국 왕실의 기록에 배드민턴과 비슷한 놀이를 행한 기록이 전해진다. 현재와 같은 경기의 원형(原型)은 인도 봄베이의 근교인 푸나 지방에 옛날부터 있던 놀이이다. 처음에는 양가죽으로 만든 공을 손바닥으로 쳐 보내는 것이었는데, 이것이 발전하여 코르크에 새의 깃털을 꽂아서 라켓으로 쳐서 보내는 놀이로 변하였다.

1873년 당시 인도에 주둔한 영국군 장교가 귀국 후 영국 그로스터셔에 거주하는 T.D.보퍼트의 영지인 배드민턴 마을에 있는 그의 별장에서 푸나 게임을 소개하였다. 그리하여 이 경기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배드민턴이라 하게 되었다. 그후 1890년에 이르러 일정한 코트와 네트의 높이에 의한 배드민턴 게임이 활발해지자, 1893년 9월 최초로 영국 배드민턴 협회가 창립되었고, 1899년에는 제1회 전 영국 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이후 유럽 각국은 물론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던 동남아시아 국가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영국 배드민턴 협회의 창립에 이어 캐나다(1921)·뉴질랜드(1927)·덴마크(1930)·네덜란드(1931)·프랑스(1934)·미국(1937)·일본(1946) 등에서도 협회가 창설되었다. 1934년 런던에서 9개국 대표가 모여 국제 배드민턴연맹을 결성하였고, 1939년에는 경기규칙을 제정하였다. 그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침체되었다가 1945년 전쟁이 끝나면서 활기를 되찾았다. 1949년 국제 배드민턴 연맹의 초대 회장직을 맡은 G.A.토머스경이 기증한 높이 70cm의 순은제(純銀製) 컵을 쟁탈하는 남자 국제선수권대회가 3년마다 열리며, 여자경기로는 1956년부터 영국 선수권자인 H.S.유버부인이 기증한 높이 약 50cm의 순은제 컵을 쟁탈하는 국제대회가 토머스컵 대회와 마찬가지로 3년마다 1번씩 열리고 있다. 또 1952년에 시작된 덴마크 오픈 배드민턴 대회와 1955년부터 스웨덴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

아시아 경기대회에서는 1958년의 제3회 일본 도쿄대회 때 오픈 종목으로 열린 후, 1962년 제4회 자카르타대회 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 실시되었다. 한편, 1978년 2월 25일 홍콩에서 세계 배드민턴연맹(WBF)이 창설되었는데, 여기에 연맹한 국가는 한국·중국·북한을 비롯하여 27개국에 이른다. 또 아시아 국제 배드민턴 대회로서 1980년부터 타이완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와 1980년부터 제1회 일본 오픈배드민턴 선수권대회가 열리고 있다. 그후 IBF와 WBF간의 논쟁을 일원화하기 위한 노력 끝에 1981년 IBF로 통합하기로 결정하였고, 이로써 연맹에 가입한 나라는 70여 개국에 이른다.

경기장

배드민턴의 정식대회는 실내 경기장에서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셔틀콕의 비행성을 지켜 주기 위해 외기의 통풍을 모두 차단한 장소이어야 한다. 경기장은 단식경기장과 복식경기장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후자보다 약간 좁다. 경기장의 천장높이는 마루바닥에서부터 최저 8m가 되어야 하고, 조명은 모두 인공조명으로 코트마다 네트 중앙 위쪽에 300~500lx의 조도(照度)가 필요하며 선수가 코트에서 경기를 하는 데 직사광선이 눈에 들어가지 않는 조건이어야 한다. 마루에 대한 규정은 없으나, 경기자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근래에는 두께 10cm의 매트를 이용하고 있다.

네트의 높이는 중앙부가 1.524m, 지주쪽이 1.55m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물눈(網目)은 가로·세로 1.9cm인 정사각형이어야 한다. 네트의 상단은 백색 헝겊이어야 한다. 네트 색은 갈색이어야 한다.

경기용구

◎ 라켓
라켓은 무게·모양·재질 등에 대한 제한이 없다. 순목재로 된 것, 샤프트만 스틸로 된 것, 순스틸로 된 것 등이 있는데, 근래는 특수 카본이나 파이버제(製)를 많이 사용한다. 라켓에 치는 줄(거트)은 양의 장(腸)으로 만든 시프(sheep)가 가장 탄력성이 있고 내구성이 강하여 선수는 대개 시합 때 이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연습 때는 나일론 또는 실크 제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 셔틀콕
셔틀콕은 새의 깃털을 반구상(半球狀)의 코르크에 꽂은 것으로, 무게는 4.53∼5.50 g이다. 코르크의 지름은 2.54∼2.87 cm이고 깃털의 수는 14∼16장, 깃털 끝에서 코르크대(臺)까지의 길이는 6.4∼7.0 cm여야 한다. 그리고 셔틀콕은 경기자가 한쪽 끝에서 언더핸드로 쳐서 반대편 백바운더리 라인 안쪽의 53~99 cm 사이에 떨어지는 공인구(公認球)여야 한다. 깃털은 물새의 것을 사용한 수조구(水鳥球)와 닭의 깃털을 사용한 육조구(陸鳥球)가 있는데, 최근에는 수조구의 생산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여 육조구를 많이 사용한다. 이 밖에 레크리에이션용으로 나이론계·플라스틱제가 있다.

 

◎ 복장
경기자의 복장은 항상 상·하 백색의 단일색을 원칙으로 하되, 복장의 1/3 정도는 색깔을 허용한다. 하의(下衣)는 남자는 반바지 또는 긴 바지, 여자는 스커트나 반바지를 착용해야 하고, 상의(上衣)는 남녀 모두 반소매 또는 긴 소매의 단정한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 국내경기에서는 경기자의 소속을 명시하도록 권하고 있으나, 국제경기에서는 허용되지 않고 있다.

경기규칙과 방법

남자단식·남자복식·여자단식·여자복식·혼합복식의 5종목이 있다. 서브권에 따라 득점을 하는 방식이었으나, 2006년 5월 서브권이 없이도 득점할 수 있는 랠리포인트제로 경기규정이 변경되었다. 경기의 승패는 국내외 대회 모두 3게임 가운데 2게임을 먼저 이기는 것으로 결정되며, 한 게임은 21점을 선취하는 편이 승리한다. 해당 랠리에서 이긴 편이 득점하며, 20:20 동점인 경우(초등부는 16:16)에는 2점을 연속 득점한 편이, 29:29 동점인 경우(초등부는 24:24)에는 30점(초등부는 25점)에 먼저 도달한 편이 승리한다.

코트의 변경은 첫 번째 게임이 종료된 뒤와 세 번째 게임이 시작하기 전, 그리고 세 번째 게임을 할 경우에 한 편이 11점(초등부는 9점)을 취득하였을 때 이루어진다.

서버와 리시버는 양편 서비스 코트 안에 대각선으로 서야 하고, 셔틀은 서버의 허리 아래서 쳐야 한다. 단식경기는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오른쪽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왼쪽에서 서비스한다.

복식경기도 서비스하는 위치는 단식경기와 같고, 서버로부터 대각선 위치에 선 선수가 리시버가 된다. 리시버측의 선수는 해당 선수가 서비스하여 점수를 얻기 전까지는 서로 코트의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리시브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하여 중단된 경우에 서비스측이 점수를 획득하며 서버는 다시 서비스를 한다. 서비스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하여 중단된 경우에는 리시브측이 점수를 획득하며 서버가 된다. 이 경우 한쪽 편에 한 번의 서비스 권한을 부여한다.

복식경기에서 서비스 권한은 ①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경기를 시작한 최초의 서버로부터 ② 선(先) 리시버의 파트너에게로 넘어가는데, 이때 서비스는 왼쪽 서비스 코트로부터 시작되며, ③ 먼저 서비스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이어지고, ④ 먼저 리시브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이어진다. 이상과 같은 순서가 반복되어 서비스 권한이 주어진다.

반칙규정은 서비스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서버가 서비스하는 도중 헛스윙을 하였을 경우, 경기 도중 셔틀이 코트 밖에 떨어지거나 네트 밑 또는 네트 사이로 통과하였을 경우, 선수의 라켓 또는 네트 이외의 다른 곳에 셔틀이 닿을 경우, 셔틀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네트를 넘어 셔틀을 치거나 헛쳤을 경우, 라켓이나 선수의 몸이 네트에 닿았을 경우, 셔틀을 연속하여 2번 이상 쳤을 경우 등에 적용된다.

경기 도중에 예기치 못한 우발적인 사고 및 행동, 곧 리시버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비스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레트(lets:경기중단 및 무효)가 선언된다. 레트가 선언된 경우에 바로 전에 서비스한 선수의 서브권은 유효하며 그 선수가 다시 서비스한다.

경기는 연속하여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각 게임 도중 한쪽편이 11점(초등부는 9점)에 먼저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60초 이내의 인터벌(interval)이 허용된다. 또 첫 번째 게임과 두 번째 게임, 두 번째 게임과 세 번째 게임 사이에 120초 이내의 인터벌이 허용된다. 경기자는 셔틀이 경기 진행중이 아닌 경우에만 지도를 받을 수 있고, 경기가 종료할 때까지 심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코트를 떠날 수 없다.

국제경기

하계올림픽경기대회에서는 1972년 제20회 뮌헨대회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 혼합 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이후 중단되었다가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서 다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 혼합 복식 등 5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고,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과 여자 단식·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대회부터 혼합 복식이 추가되어 5개 세부 종목의 경기가 열리고 있다. 한편,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남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여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혼합 복식 등 7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른다.

올림픽 외에 세계배드민턴연맹(Badminton World Federation;BWF)이 주관하는 주요 국제대회는 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BWF World Championships), 토머스컵(The Thomas Cup) 대회, 우버컵(The Uber Cup) 대회, 수디르만컵(The Sudirman Cup) 대회, 월드 슈퍼시리즈(BWF World Superseries), 세계청소년배드민턴선수권대회 등이 있다.

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는 1977년 창설된 뒤 1983년 제3회 대회까지 3년 주기로 개최되다가 1985년 제4회 대회부터 2년 주기로 홀수 연도에 개최되었고, 2005년 제14회 대회부터 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 5종목의 경기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른다. 한국의 박주봉이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3회 우승으로 가장 많은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토머스컵 대회는 세계남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49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2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세계배드민턴연맹의 전신인 국제배드민턴연맹(International Badminton Federation;IBF) 초대 회장을 지낸 조지 앨런 토머스(George Alan Thomas)의 이름을 딴 것이다.

유버컵 대회는 세계여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57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4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전영오픈배드민턴선수권대회에서 총 13회 우승을 차지한 영국의 베티 우버(Betty Uber)의 이름을 딴 것이다.

토머스컵과 유버컵 대회는 각 대륙별로 예선을 실시하여 본선에 진출할 12개국을 각각 선발한다. 본선에서는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뒤 상위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린다.

수디르만컵 대회는 세계혼합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하며, 1989년에 창설된 뒤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인도네시아배드민턴연맹를 설립한 딕 수디르만(Dick Sudirman)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으로 팀을 이루어 먼저 3종목에서 승리한 팀이 상위 단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풀리그 방식으로 예선을 치른 뒤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준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월드슈퍼시리즈 대회는 2007년에 창설되었다. 1년 동안 코리아오픈·말레이시아오픈·전영오픈·인도오픈·인도네시아오픈·싱가포르오픈·중국마스터즈·일본오픈·덴마크오픈·프랑스오픈·중국오픈·홍콩오픈 등 12개 오픈 대회를 치른 뒤 12월에 랭킹 1~8위만 참가하는 슈퍼시리즈 파이널 경기를 치러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2011년부터 12개 오픈 대회 가운데 상금 규모가 큰 5개 대회(코리아오픈·전영오픈·인도네시아오픈·덴마크오픈·중국오픈)를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대회라고 한다.

한국의 배드민턴

우리나라에 배드민턴이 전해진 것은 1945년 YMCA(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기독교청년회)를 통해서 소개되었다. 초창기에는 비닐로 만든 셔틀콕을 사용하는 등 레크리에이션 성격의 운동으로 인식되어 활발히 전개되지 못하였다. 6·25전쟁 후 깃털로 된 셔틀콕이 나왔으며, 동양인에게 적합한 운동이라는 평가를 받아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1957년 11월 15일 이종구 등 34명의 창립 발기인이 모여 협회의 정간과 경기규정을 제정하면서 KBA(Korea Badminton Association:대한배드민턴협회)가 정식으로 창립되면서 널리 보급되어, 그해 12월 5일 숙명여자고등학교 체육관에서 강습회를 겸한 창립기념 남녀배드민턴대회를 가졌다.

1959년에는 ABF(Asia Badminton Federation:아시아배드민턴연맹)에 가입하였고, 1961년 10월 15일 제42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시범경기를 가졌고, 이듬해 1월 25일 대한체육회의 정식 산하단체로 승인되었으며, 7월에는 BWF(Badminton World Federation:국제배드민턴연맹)에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1963년 10월 대구에서 열린 제43회 전국체육대회 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66년 12월 아시아경기대회에 남녀 선수 각각 2명이 참가하여 여자부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70년 12월 제6회 방콕(Bankok) 아시아경기대회에 여자선수 4명이 참가하여 3위에 입상하였고, 이듬해 8월에는 자카르타(Jakarta)에서 열린 제3회 ABC 선수권대회에서 여자단식 준우승과 복식 3위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배드민턴은 1970년대까지 국제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나타내지는 못했으나,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세계무대에서도 크게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1981년 1∼3월 사이에 타이완(홍콩)을 시작으로 일본·스웨덴·영국에서 열린 오픈 배드민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황선애가 4관왕을 차지한 것을 비롯하여, 남자부 복식경기에서도 1982년 3월 덴마크 오픈 배드민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은구·박주봉 조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뒤 아시아경기대회·세계선수권대회·덴마크오픈선수권대회·올림픽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경기대회 때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황혜영이 여자단식에서 우승하였으며, 여자복식·혼합복식에서 우승, 남자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관련 이미지5

전체보기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