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결과 분석…전문가들 "민주, 박지현 다시 데려와야"

입력
기사원문
변덕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입장 표명을 하기 위해 당대표 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비대위는 6.1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 총 사퇴 의사를 밝혔다. [한주형 기자]
6·1 지방선거에서 완패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전원 사퇴한 가운데 정치 전문가들은 "민주당이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을 다시 데려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이 변화의 상징이자 2030여성 지지층의 구심점이 되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은 변화와 쇄신의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박창환 정치 평론가는 2일 매경닷컴과의 통화에서 "민주당 차원에서 박지현 비대위원장을 키워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다음 총선에서 2030여성들이 결집할 수 없다"고 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도 "박 위원장은 이번에 존재감을 부각했고 적기에 올바른 목소리를 내는 젊은 정치인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실히 부각시켰다"며 "대중의 힘을 얻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민주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종훈 정치 평론가는 민주당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혁신비대위 체제'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평론가는 "다음 총선까지 기간이 긴데다 그사이에 마땅한 이벤트가 없다"며 "민주당이 진지하게 쇄신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전당대회를 치르지 말고 혁신비대위 체제를 구성해 이를 중심으로 당을 재건하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지도부가 1일 오후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 마련된 지방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6·1재보궐선거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전문가들은 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서는 "선거에서 중도층 표심이 여당으로 돌아섰고 야당엔 '2차 심판론'이 강하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이번 선거는 여당에 유리할 수밖에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민심이 여당에 힘을 실어줬다기보다는 '변화와 쇄신'이 부재한 야당을 심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민주당 내 성비위 사건이 터졌고 이후 진보 지지층 내부갈등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 평론가는 "(민주당은) 중도표심이 떠나간 상태에서 진보 지지층이라도 결집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떠나가게 했다"며 "이번 지선 투표율이 저조했는데, 대부분 진보 지지층이 투표를 외면한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이 '586 용퇴론' 등 당 쇄신안을 주장한 것이 이번 선거에 어떻게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읍소전략'을 통해 변화를 꾀하려 했다"는 평가와 "박 위원장의 발언으로 분란만 일으켰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박지현 위원장이 이대로('586 용퇴론' 등 쇄신없이) 가면 진다고 경고 사인 울린 셈"이라며 "막판에 읍소전략으로 간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훈 평론가는 "박지현 위원장의 '쇄신론'은 옳은 말"이라면서도 "하지만 뼈 아픈 점은 그 발언으로 결국 진보 지지층 내부 갈등을 유발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공포 후 이틀 후인 5일 서울 서초동 반포대로에서 바라본 서울중앙지검(오른쪽)과 서울고검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중도층'의 변심과 진보 지지층의 투표 포기가 선거 결과에 크게 작용했다고 봤다.

박창환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박탈)' 법안 강행 처리로 중도층 표를 다 잃었다"면서 "또 민주당이 변화·쇄신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자 지지층도 투표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전체 유권자 중 진보와 보수 지지층이 각각 30%씩이라고 가정한다면 중도층은 40% 정도 된다. 이번 선거에선 40% 중 20%는 기권하고 20%는 국민의힘을 지지한 것"이라며 "중도층으로 분류되는 2030과 소상공인·자영업자가 민주당에 실망해 등을 돌린 것"이라고 진단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