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LG전자·애플 “국내에는 5G 스마트폰만 출시”

입력
기사원문
박정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20 유출 이미지

삼성전자, LG전자, 애플은 올 하반기 국내에 내놓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모두 5세대(5G) 이동통신 모델로만 출시한다. 5G 단말이 이통 시장에서 주류로 안착하는 원년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20 시리즈와 갤럭시폴드2, 갤럭시Z 플립 5G 등 하반기 플래그십 라인업을 모두 5G로 준비하고 있다.

다음 달 5일 온라인으로 개최하는 하반기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제품을 발표하고, 같은 달 21일부터 갤럭시노트20 시리즈 국내 판매를 시작한다.

애플은 아이폰12 시리즈를 국내 총 4종, 6가지 색상으로 내놓는다. 디스플레이 크기는 두 가지로, 각각 성능에 따라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로 구성됐다. 글로벌 시장에서 롱텀에벌루션(LTE) 모델도 판매할 계획이지만 한국에서는 이통사의 의견을 수용, 5G 모델만 출시한다. 국내 출시는 10월로 예정돼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아이폰 이용자는 고가 요금제 가입 비중이 높은 편”이라면서 “5G 아이폰 출시와 함께 5G 요금제로의 전환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르면 10월 새로운 폼 팩터를 적용한 코드명 '윙'을 5G 모델로 선보인다. 메인 디스플레이가 가로로 회전하는 구조다. 6.8인치 메인 디스플레이 아래에 가로·세로 비율이 약 1대1인 4인치 보조화면을 장착한 형태다.

LG 윙 예상 이미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로 LG 벨벳과 동일한 퀄컴 스냅드래곤765 5G를 탑재한다.

반면에 LTE 스마트폰 신제품은 삼성전자 갤럭시A21, LG Q31 등 중저가 모델이 전부다. 관심도가 대체로 낮은 모델로, LTE가 사실상 비주류 시장으로 밀려나는 구도다.

이통사도 하반기를 기점으로 5G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5G 단말에 대한 공격적 마케팅 전개와 더불어 커버리지 확장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 관계자는 “종전과 달리 하반기 5G 스마트폰 포트폴리오가 늘어나는 만큼 5G 가입자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내 5G 가입자 1000만 돌파에도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 차세대 인공지능(AI) 서비스의 디자인 방법론과 사례
▶ 네이버 홈에서 [전자신문] 구독하기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 단말 유통 시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제품 스펙의 이면에 담긴 이야기를 찾아 전하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