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거제 2시간대"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 본격화

입력
기사원문
김서연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북 김천~경남 거제 단선 구간
정거장 5곳 신설·2027년 개통목표
오는 2027년 개통 목표로 국가균형발전 사업 최대 규모인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 추진이 본격화된다. 이로써 서울에서 경남 거제까지 2시간50분대에 이동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3일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사업은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를 거쳐 공구별로 일괄입찰 방식과 기타공사 방식으로 추진된다.

남부내륙철도는 경북 김천시에서 경남 거제시까지 단선철도 177.9㎞를 잇는 사업으로 최고 속도는 250㎞/h이다. 정거장은 성주·합천·고성·통영·거제 등 5곳과 차량기지 1곳을 신설한다. 오는 2027년 개통 목표다.

이 사업은 2019년 선정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23개 사업 중 사업비가 최대 규모다. 국비만 4조8015억원이 투입된다. 향후 건설이 완료되면 수도권에서 출발한 KTX, SRT가 경부고속철도를 거쳐 김천역에서 거제시까지 운행하는 노선과 진주역에서 경전선을 활용해 마산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고속철도 서비스의 소외지역인 영남 서부지역이 서울에서 KTX와 SRT를 이용해 2시간50분대에 연결이 가능해진다.

국토부는 "남해안 관광산업 활성화 등 지역 경제에 활성화와 인구유입 및 지역산업 회복 등 수도권과의 격차를 해소하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 결과, 남부내륙철도 사업에 따른 생산효과는 약 11조4000억원, 고용 효과는 8만9000명으로 추산됐다.

또 수서~광주(2022년 기본계획 수립중), 이천~충주(지난해 12월 개통), 충주~문경(2023년 개통예정), 문경~김천(2022년 예비타당성조사 중) 사업이 완공되면 남부내륙철도는 경기·충청·경상권을 잇는 핵심 노선으로서 경부 축에 집중된 철도수송체계를 분산할 수 있는 새로운 철도교통망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광주~대구 철도(달빛내륙철도)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남부내륙철도와 환승역으로 해인사역(가칭)을 설치하는 등 신규 역사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