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IOC선수위원 완장 찬 미녀새의 '선전포고'

입력2016.08.19. 오후 4:49
수정2016.08.19. 오후 4:51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본문 듣기를 종료하였습니다.


IOC 선수위원 당선이 확정되자 기뻐하는 이신바예바
"이제 아무도 러시아 못 건드린다"…러 육상선수 출전금지에 거듭 불만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 = 러시아 육상계의 조직적인 도핑 파문에 휩싸여 리우올림픽 출전이 물거품이 된 '미녀새' 옐레나 이신바예바(34)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에 당선되자마자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이신바예바는 19일(한국시간) 총 4명을 뽑는 IOC 선수위원 투표에서 후보자 23명 중 4위를 차지해 가까스로 선수위원 배지를 달았다.

이신바예바는 기다렸다는 듯이 쓴소리를 날렸다. 선전포고에 가까웠다.

그녀는 당선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그동안 국제스포츠계에서 매우 불공정한 처사를 받아왔다"며 "내가 IOC 선수위원으로 있는 한 다시는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우올림픽 출정식서 눈시울을 붉힌 이신바예바
이신바예바의 발언은 IOC 선수위원에게 부여된 '권력'을 최대한 자국의 이익을 지키는 데 쓰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IOC 선수위원은 동·하계올림픽 개최지 투표권 등 IOC 위원과 똑같은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 한번 선출되면 8년간 임기가 보장되기 때문에 꽤 오랜 기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앞서 이신바예바는 IAAF가 연대책임을 물어 러시아 육상선수 전원에 올림픽 출전 금지 처분을 내린 것은 부당하다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소송을 냈다가 기각당했다.

마지막 올림픽을 준비하며 흘린 땀방울들은 그렇게 한번에 다 말라버렸다.

그녀는 지난 16일 리우데자네이루에 도착한 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림픽 출전을 불허한 세력을 절대로 용서하지 않겠다", "이번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 우승자는 영원히 2등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등 불편한 심기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

이신바예바는 20일 리우 현지에서 선수생활 은퇴 공식 기자회견을 연다.

그녀는 세계 기록을 28번 갈아치웠다.

gorious@yna.co.kr

고상민

기자의 기사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구독에서 해당 기자의 기사가 제외됩니다.

Copyright ⓒ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 섹션 분류 안내오분류 제보하기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