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스·닌텐도 잘~나가네" 日 "한국은 선택적 불매중" 조롱

입력
수정2020.10.03. 오전 8:04
기사원문
신윤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7월 일본 정부가 일방적으로 취한 반도체 일부 품목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로 국내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시작된지 1년이 넘게 지났다. 이로 인해 인기리에 팔리던 일본산 맥주, 자동차, 의류 등 많은 일본 제품들이 직격탄을 맞고 극심한 판매부진에 시달렸다. 견디다 못한 닛산 자동차는 철수를 발표했고, 수입 맥주 시장 점유율 1위 였던 아시히 맥주는 한때 발주량 0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유니클로는 불매운동 시작이래 폐점한 점포수만 전국적으로 총 22곳에 달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대체제가 없는 경우 불매운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일부 국민들은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일부 상품에는 왜 적용되지 않느냐며 "선택적 불매운동" 이자 "이중 잣대"라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대표적 상품이 닌텐도 '스위치'와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플스)' 등 콘솔 게임기다. 국내에서 올해 2분기 스위치의 판매량은 9만964대로 전년 동기대비 2배가 넘게 늘었고, 같은 기간 스위치의 게임 타이틀 판매량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 7월 닌텐도 한국 지사가 발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부터 올해 3월 까지 닌텐도의 한국내 매출액, 영업익, 순이익은 각각 2305억원, 126억원, 97억원에 달했다. 올해 초에는 스위치의 대표 타이틀 '모여라 동물의 숲 (모동숲)'이 선풍적 인기를 끌며 품귀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코로나19 위험이 고조된 상황임에도, 당시 매장 앞에는 이른 아침부터 모동숲을 사기 위해 줄을 선 고객들로 장사진을 이룬바 있다. 심지어 중고 물품 사이트에서 정가보다 4,50% 웃돈을 주고 거래되기도 했으며, 지난 6월 한 쇼핑몰이 정가보다 17% 할인된 가격에 파는 이벤트를 열자 문의 전화가 1시간에 56만건이나 몰렸다.

오는 11월 발매를 앞둔 '플레이스테이션5 (플스5)' 역시 국내 예약 판매량이 순식간에 매진돼 화제가 됐다. 이달 18일 부터 홈플러스·SSG닷컴·하이마트 등 온라인 쇼핑몰 11곳에서 예약 판매가 실시됐던 플스 5는 판매시작 몇분 만에 매진이 됐고, 사이트가 다운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또한 예약 판매와 관련된 인터넷 게시판에는 플스 5의 2차 예약판매 일정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기도 했다.

25일 일본 주간지 '슈칸신쵸'(週刊新潮)의 인터넷판인 '데일리 신초'는 "한국의 일본 제품에 대한 선택적 불매의 애처로움"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같은 상황을 전했다. 데일리 신초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남편을 비롯해 현재 한국 정부의 주요 공직자들 수십 명이 일본산 차를 타고 있다는 사실이 보도됐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않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데일리 신초는 "선택적 불매란,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싶지만 대체제가 없을 경우 어쩔수 없이 일본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에 대해 "겉으로는 자존심을 지키려는 듯 하지만 결국 자기 정당화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 하기도 했다.

한편, 데일리 신초는 콘솔 게임기 이외에 소니, 니콘, 캐논 등 일본 회사의 카메라도 불매운동에서 빗겨간 품목이라고 소개했다. 데일리 신초는 한국의 일본 제품 불매가 전반적으로 지난해 대비 상당히 느슨해진 듯 하며, 기존의 전면적 불매 대신 선택적 불매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해당 기사는 일본 최대 포탈 야후 재팬의 국제분야 뉴스 중 한때 가장 많이 읽힌 기사로 선정 됐으며 1천2백건이 넘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신윤재 기자]

▶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 궁금한 제조과정 영상으로 보세요. '이렇게 만들죠'
▶ 매일매일 색다른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하세요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