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세아향의 IT트랜드 이야기

이통사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QoS 제한 속도로 넷플릭스 시청 가능할까?

세아향님의 프로필 사진

세아향

공식

9만 팔로워

2018.12.15. 07:5531,904 읽음

오늘 SKT는 4만원대 데이터 요금제 T플랜 레귤러를 출시했다. 5만원 이하 신규 요금제 출시로 중저가 요금제의 선택 폭을 넓힌 것이다. T플랜 레귤러는 월 4만 3000원에 데이터 2GB 제공, 밤 12시부터 오전 7시까지 데이터를 75% 할인 제공한다.

일반 사용자가 잘 모르는 하나의 추가 사항이 있으니 바로 'QoS' 관련 내용이다.

SK텔레콤 티월드 요금제 소개 사이트에 있는 T플랜 레귤러 요금제 관련 상세 내용이다. 그 중에서 2GB 항목을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데이터 2GB(기본 제공량 소진 후, 400kbps 이용 가능)

보통 기본 제공되는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알고 있지만 몇몇 요금제는 QoS를 통해 무제한 요금제처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QoS란 무엇이며 왜 무제한이지만 무제한이 아닌 듯 보이는지 살펴보려 한다.


QoS가 뭐야?

QoS는 Quality of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 품질'을 의미한다. QoS는 다른 응용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흐름 등에 우선 순위를 정하여 데이터 전송에 특정 수준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싶지만 통신 시설의 부하를 막기 위해서 요금제마다 정해진 기본 데이터 사용 이후에는 QoS 제한속도 이하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 헤비 유저들이 무제한 요금제를 적극(?) 활용하면서 일반 유저들의 통신 서비스 품질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속도제한을 하겠다는 것이다.


400kbps 속도 제한은 얼마나 빠른거야?

T플랜 레귤러 요금제에서 제한하는 400kbps 속도는 얼마나 빠를까? 1초에 400kb를 전송 가능하다. 여기서 b는 소문자로 비트를 의미한다. 우리는 보통 파일 사이즈를 말할 때 대문자 B 바이트를 사용한다. 즉 1바이트는 8비트이므로... 400kb는 곧 50kB(kilobyte)다.

50KB 저화질 이미지 하나를 다운로드 받아서 화면에 보여주는데... 400kbps 속도는 1초가 걸린다. 1MB 사진이라면... 약 20초가 걸린다. 텍스트 위주의 웹 사이트 서핑이라면 충분히 사용 가능한 수준이지만 이미지가 많거나 영상 재생의 경우는 인내심을 요하는 속도다.


400kbps로 넷플릭스 · 유튜브 시청 가능할까?

속도 제한 400kbps 상태에서 동영상 서비스 '넷플릭스(Netflix)'의 정상적 콘텐츠 시청이 가능할까? 

아래 내용은 넷플릭스 고객 센터를 통해 확인한 Netflix에서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스트리밍당 권장되는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다.

초당 0.5메가비트 - 필수 대역폭 연결 속도 
초당 1.5메가비트 - 권장 대역폭 연결 속도 
초당 3.0메가비트 - SD 권장 화질 
초당 5.0메가비트 - HD 권장 화질 
초당 25메가비트 - UHD 권장 화질

400kbps는 초당 0.4메가비트로 넷플릭스의 핈 대역폭 연결 속도보다 느리다. 결국 버퍼링을 경험할 수 있는 속도인 동시에 기본 사용 환경에 부합하지 않는 느린 속도다.

유튜브(YouTube)의 시스템 요구 사항을 봐도 500kbps 이상의 인터넷 연결 속도를 원한다. 유튜브 역시 QoS 상태에서는 정상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