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이어 마그네슘값 141% 치솟았다…자동차·스마트폰 불안

입력
수정2021.11.07. 오후 5:15
기사원문
김남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국발(發) 공급망 불안에 요소뿐 아니라 다른 제품의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한국은 원자재 해외 의존도가 높아 공급망 불안이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는 요소뿐 아니라 다른 제품의 공급망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점검하기로 했다.

마그네슘·알루미늄도 들썩
중국 전력난에 마그네슘, 알루비늄 등 원자재 생산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취솟고 있따. 사진은 중국 안후이성의 석탄화력발전소 모습. EPA
7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는 지난달 마그네슘 평균 가격이 t당 7596달러(약 901만원)였다고 밝혔다. 이는 KOMIS가 마그네슘 가격을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가격이다. 중국 정부의 탄소 배출 규제와 석탄 부족으로 인한 발전소 가동 제한으로 마그네슘 생산량이 급감한 탓이다. 실제 마그네슘 가격은 지난 7월(3151달러/t)만 해도 3000달러 수준을 유지했지만, 3개월 새 약 141%로 치솟았다. 마그네슘은 자동차·스마트폰·배터리 소재 등으로 주로 쓰이는데, 전 세계 약 80%가 중국산이다. 대표적인 비철금속인 알루미늄 가격도 역시 중국의 생산량 감소에 지난달 t당 2955달러(약 350만원)로 2008년 7월(3071달러/t)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지난 5월(1459달러/t)과 비교하면 5개월 새 약 102%가 뛰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1~9월 한국이 수입한 품목 1만2586개 중 특정 국가 의존도가 80%가 넘는 품목이 3941개(31.3%)라고 집계했다. 특히 이 중 중국 수입 비중이 80% 이상인 품목은 1850개로 미국(503개)·일본(438개)보다 더 많았다. 대표적으로 의료기기 및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산화텅스텐은 94.7%를 중국에서 수입한다. 전자제품 경량화에 활용되는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86.2%, 2차전지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은 83.5%를 중국 수입에 의존한다.

실제 이들 소재 가격은 중국발 공급 불안에 최근 수요 증가까지 겹치면서 급격히 치솟고 있다. 지난달 산화텅스텐 가격은 t당 3만1525달러(약 3740만원)로 2018년 6월(3만4375달러/t) 이후 가장 비쌌다. 수산화리튬도 지난달 가격(17만5000달러/t)이 올해 5월(8만6000달러/t)보다 103% 뛰었다.

“공급망 점검…내재화엔 한계”
경유 차량 운행의 필수품인 '요소수'가 품귀 현상과 함께 가격이 폭등하고 있는 가운데 7일 오후 대전의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을 알리는 안내문이 부착 돼 있다. 중앙포토
중국의 생산 감소로 일부 원자재 가격 상승 폭이 커지면서 일본 수출규제 이후 주요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공급망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주요 원자재를 다른 나라에서 수입해 재가공해서 파는 중간재 산업이 많은 한국은 이러한 공급망 문제에 취약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당장은 요소처럼 공급망에 심각한 차질을 겪을 제품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특정 국가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제품을 중심으로 재고 관리 등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현재 정부는 대외무역법에 근거해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물자 1600개를 전략물자로 지정해 수출입을 통제 관리하고 있다. 또 지난해 7월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발표하고, 산업 중요도와 해외 의존도가 높은 338개 품목을 별도로 정해 재고 관리와 국산화를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요소처럼 산업 핵심 소재는 아니면서 해외 의존도가 높은 범용 제품이다. 이들은 이번 중국 수입 제한처럼 언제든 공급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여타 다른 소부장 제품처럼 국산화 등을 추진하기엔 어려운 점이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경제성이 떨어져서 핵심 소부장이 아닌 모든 제품을 공급망 때문에 다 국내생산할 수는 없다”고 했다.

송기호 국제통상전문 변호사는 “공급망을 인위적으로 막았던 일본 수출규제와 달리, 요소는 탄소 중립과 호주 석탄 수입 마찰에 중국이 생산을 줄이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며 “이런 식의 공급망 차질은 앞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정부가 국제기구 등을 통해 특정 국가와 경제권이 자원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