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멀미약 잘못 먹으면 녹내장 유발"
녹내장은 안압과 관련한 시신경이 손상돼 시야 결손이 생기는 질환이다. 세계 3대 실명질환 중 하나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든 감기약, 알레르기약, 멀미약 등을 먹은 뒤 녹내장이 생길 수도 있다. 항히스타민제 부작용 중 하나가 동공 확대이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녹내장은 안압이 평소보다 높아지면서 시신경이 손상되는 사례가 일반적”이라며 “동공이 확대되면 안구 안에 있는 액체인 방수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좁아지고 안압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동공 확대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 발작으로 이어지는 환자도 있다.
최근 많은 사람이 복용하는 다이어트약도 녹내장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다이어트약에 많이 사용되는 성분은 토피라메이트다. 항경련제로 많이 사용되는데 이 약을 복용하면 부작용으로 식욕 부진이 생기기 때문에 다이어트약으로 널리 사용된다. 토피라메이트를 복용하면 항히스타민제처럼 눈 안쪽 구조물이 붓는다. 부종 때문에 방수가 빠져나가는 통로의 전방각이 좁아지고 방수가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해 안압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 녹내장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약을 복용한 뒤 안압이 높아지는 폐쇄각 녹내장 발작이 생길 때까지는 기간이 걸린다. 하루 만에 폐쇄각 녹내장이 생기기도 하고 2개월 후 생기기도 한다. 환자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천차만별이다. 정 교수는 “어떤 원인으로든 안압이 높아지면 시신경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안압이 높아질 위험이 큰 환자는 일반의약품을 복용하기 전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전방각이 좁은 폐쇄각 녹내장 환자가 대표적이다. 이 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감기약, 멀미약 등을 먹은 뒤 안압이 높아질 위험이 높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한경닷컴 바로가기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Copyright ⓒ 한국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3
한국경제 헤드라인
더보기
한국경제 랭킹 뉴스
자정~오전 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
문형배 키운 김장하 ‘줬으면 그만이지’ 신드롬…책 판매 22배 급증
-
재생하기 재생시간01:51
산불 비상인데 연쇄 방화?…영상 속 여성 "호기심에" -
130명중 100명이 반수…몰락하는 '지방 로스쿨'“정원이 130명인데 100명이 반수 준비를 하더라고요.” 한 지방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1학년 학생 A 씨는 입학 후 바로 법학적성시험(LEET·리트) 책을 다시 펼쳐들었다. 그는 “서울 로스쿨로 가기 위한 반수
-
“죽으면 돈이 다 무슨 소용”...내가 쓸 수 있게 된다는 사망보험금
-
트럼프 “내 모발 다 적시려면 15분 서있어야”···미국 샤워기 수압제한 폐지
-
재생하기 재생시간01:54
[단독] "김 여사, 기갑차 몰아보고 싶다고.." 옆에 태우고 '관저 드라이브'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