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1차 접종하고 아팠다면…'감염됐던' 사람일 수도
이제 곧 40대 이하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이뤄집니다. 주로 화이자 백신을 맞을 텐데요, 1차 때와 2차 때 부작용은 어떨 때가 더 심하고 왜 그런 건지, 또 돌파감염에 걸리면 어떻게 되는지 김민 기자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자]
■ 1차 맞고 아팠다면 감염 이력?
1차를 맞고 많이 아팠다면 코로나에 걸렸던 사람일 수 있습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mRNA 백신은 두 번째 접종 이후 부작용이 더 심합니다.
그런데 코로나에 걸렸던 사람은 항체가 있기 때문에 첫 번째 접종에서 2차를 맞은 것과 같은 면역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더 아픕니다.
연구에 따르면 부작용을 겪을 가능성이 3~4배 정도 높았습니다.
피로나 두통, 발열 등도 더 심했습니다.
대신 2차 접종 땐 부작용이 거의 안 나타났습니다.
[천은미/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감염되신 분들은 이미 1차 접종하신 것과 똑같거든요. 부스터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부작용이) 더 강하게 나오고.]
항체도 수십배 더 만들어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만 연구진들은 부작용이 없다고 해서 백신이 효과가 없는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 돌파감염 땐 항체 더 많이?
돌파감염은 겪고 나면 부스터 샷이라고 불리는 추가 접종을 한 효과가 있습니다.
코로나에 걸렸다가 나으면 더 강해지는 겁니다.
한국에선 돌파감염률이 0.03% 정도로 낮고 대부분 증상이 가볍습니다.
다만, 면역억제제를 쓰는 장기이식환자들은 굉장히 위험합니다.
그래서 미국과 이스라엘에서는 부스터샷을 서둘러 맞히고 있습니다.
[정재훈/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 과학적 원리상으로 보면 접종 완료 후에 다시 감염됐다는 것은 항체 유도 능력이 더 좋아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이렇게 항체가 강해지는 효과가 얼마나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영상디자인 : 정수임 / 영상그래픽 : 한영주)
기자 프로필
제 출입처는 우주입니다.
Copyright ⓒ JTBC.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3
JTBC 헤드라인
더보기
JTBC 랭킹 뉴스
오후 8시~9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