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배당투자, 단순 고배당주보다는 배당성장주에 주목”

입력
수정2021.12.13. 오전 8:58
기사원문
유준하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증권 보고서[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연말 배당주 시즌이 다가오면서 현재 매크로 환경은 배당 투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만한 시기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온다. 특히 단순 배당수익률이 높은 고배당 주보다 안정적인 실적으로 연속해서 배당을 주는 배당성장주에 주목할 것을 권했다.

13일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코스피 역사적 변동성은 다양한 이슈를 반영해 서서히 높아진 상태”라며 “월초 오미크론 사태로 시장이 급변하면서 안정적인 배당투자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을 것”이라고 봤다.

배당 투자는 통상 금리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안전자산인 채권이나 예금에 대한 금리가 높다면 배당투자를 꺼리기 때문이다. 가격 변동성이 있는 주식보다 안정한 자산을 찾는 일반적인 심리 때문인데 현재 시장 벤치마크인 국고채 3년 금리는 1.8%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이는 작년 배당을 기준으로 계산한 코스피 배당수익률과 동일하다”면서 “배당 수익률을 올해 예상배당금으로 계산하면 약 2.1%로 배당수익률이 보다 높게 확인된다”고 짚었다.

이어 일반적으로 배당투자는 단순 배당수익률이 높은 고배당주를 살펴왔지만 그동안 고배당주가 12월에 꼭 안정적이란 법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10년간 고배당주의 12월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높은 배당에도 불구하고 배당 기산일 다음인 배당락을 맞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단점이 있다는 게 김 연구원 설명이다.

그는 “반면 안정적인 실적으로 연속해서 배당을 주는 배당 성장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며 “배당성장주는 배당락에도 불구하고 12월 수익률이 양호하고 변동성도 시장보다 낮다”고 강조했다.

현재 KRX 배당성당주 기준은 시가 총액 상위 50% 및 거래대금 상위 70% 이내, 최근 7사업연도 연속 배당 등이다. 당기순이익 역시 연속 플러스를 기록한 기업을 기준으로 선별한 배당성장주는 삼성전자(005930), 한전기술(052690), NAVER(035420), LG이노텍(011070), 삼성SDI(006400) 등이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