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량

박문각 시사상식님의 프로필 사진

박문각 시사상식

공식

2017.04.05. 04:5867 읽음

[요약] 자동차 엔진 실린더 내부의 체적(부피)을 산출한 양

외국어 표기
排氣量(한자)
displacement volume(영어)

자동차 엔진 실린더 내부의 체적(부피) 공간의 크기가 바로 배기량을 산출하는 기준이다. 배기량을 산출하는 실린더의 체적(부피)은 실린더 안의 상단 연소실에서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 폭발력에 의해 엔진 힘을 만들어 내는 피스톤이 상하 왕복 운동을 하는 공간을 말하는데, 이때 공기와 연료의 혼합으로 인한 폭발로 피스톤이 실린더 상단에서 하단까지 밀려 내려갔을 때의 공간 부피만큼이 배기량이다.

배기량의 척도를 알려 주는 실린더의 크기는 주로 cc나 리터로 표기하며 엔진 배기량의 산출은 각 기통의 '배기량 X 기통 수'로 계산한다. 배기량이 크면 클수록 엔진의 크기가 크고 그에 비례하여 힘이 강하다. 이는 기통 내의 실린더의 공간이 커 배기량이 큰 만큼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 또한 그 양이 많아 강한 폭발력(연료와 공기의 연소성)으로 피스톤을 밀어내기 때문이다.

2012년 8월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관리법의 규정에 따르면 자동차는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로 구분된다. 이는 배기량에 따라 다시 구분되는데, 승용차의 경우 배기량 2,000cc 이상은 대형, 1,600~2,000cc 미만은 중형, 1,600cc 미만은 소형, 1,000cc 미만은 경형 등으로 분류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