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쑥

黃花蒿, Annual Wormwood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비슷한 글8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개똥쑥[黃花蒿]
Artemisia annua L.
  • 과명 국화과(Asteraceae)
  • 약전 CP, KHP
  • 중약명 청호(青蒿) - 개똥쑥(黃花蒿, Artemisia annua L.)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
  • 학명 Artemisia annua L.

개요

쑥속(Artemis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주로 아시아, 유럽 및 북아프리카의 온대, 한온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 약 190종이 있는데 각지에 일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서북, 화북, 동북 및 서남 각지에 가장 많으며 약 23종이 약으로 사용된다.

개똥쑥은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중국에서 해발 1,500m 이하의 지역으로부터 해발 3,650m의 청장고원까지 모두 분포되어 있다.

‘청호’란 약명은 《52병방(五十二病方)》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초호(草蒿)란 별명으로 하품에 수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청호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했다. 청호는 중국 각지에서 모두 자생한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청호를 "국화과에 속하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 또는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로 등재하고 있다.

개똥쑥에는 주로 정유, 세스퀴테르펜락톤,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등 다양한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아르테미시닌을 대조품으로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청호에 대한 정성감별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똥쑥은 해열, 항염, 진통, 항말라리아, 항혈흡충(抗血吸蟲), 면역조절,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청호는 청열해서(清熱解暑), 제증(除蒸), 절학(截瘧) 등의 효능이 있다.

약재 청호[藥材靑蒿]
Artemisiae Annuae Herba

함유성분

지상부에는 정유성분으로(그 양과 품질은 생산지와 추출방법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 artemisia ketone, α-pinene, 1,8-cineole, camphor, α-selinene, borneol[참고문헌:1-3], β-caryophyllene, caryophyllene oxide, trans-β-farnesene, artemisic acid (artemisinic acid, arteannuic acid), deoxyqinghaosu, aromadendrene, spathulenol, cubenol[참고문헌:4-6], 세스퀴테르페노이 성분으로 qinghaosu (artemisinin, arteannuin), qinghaosu I (artemisinin A, arteannuin A), qinghaosu II (artemisinin B, arteannuin B), artemisinin C (arteannuin C), qinghaosu III (hydroartemisinin, deoxyartemisinin), qinghaosu IV~VI, arteannuins G, K, L, M, O[참고문헌:8], deoxyisoartemisinin B (epideoxyarteannuin B), 5a-[3’(15’),7’(14’),11’(13’)-trien] pentadecan yloxydihydroarteannuin B[참고문헌:9], dihydro-epideoxyarteannuin B, dehydroartemisinic acid, epoxyartemisinic acid, artemisinol, norannuic acid, annulide,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cirsilineol, eupatorin, penduletin, tamarixetin, rhamnetin, cirsimaritin, rhamnocitrin, chrysoeriol, patuletin, chrysosplenol D, chrysosplenetin[참고문헌:10], 그리고 쿠마린 성분으로 scopoletin, 6,8-dimethoxy-7-hydroxycoumarin, scoparon 등이 있다.

지상부에는 또한 농축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참고문헌:11].

약리작용

1. 항말라리아
개똥쑥에서 분리해 낸 아르테미시닌은 말라리아원충에 대하여 직접적인 살멸작용이 있다. 주요 작용은 말라리아원충의 막결합구조에 대해 선립체기능을 교란시킬 수 있다.

약을 주사한 후, 20시간이 되면 자살액포가 대량으로 집결되면서 말라리아원충의 와해를 유발하여 사망을 초래한다.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소량으로 사용하면 원숭이 체내의 말라리아원충을 제거할 수 있는데 그 의학적 원충 제거기능은 아르테수네이트를 정맥에 주사하는 것보다 강력하다.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알약은 발열을 완화시키고 말라리아원충을 제거하며 재발률을 억제하는 방면에서는 피페라퀸 인산염보다 우수하다[참고문헌:12].

2. 항균, 항바이러스
개똥쑥의 초제물(에칠에테르와 에탄올 추출 부위)과 아르테미신산은 in vitro에서 그람양성균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참고문헌:13].

키리소스페레놀과 키리소스프렌네틴은 베르베린과 함께 사용하면 황색포도상구균 내성균주를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참고문헌:10].

개똥쑥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단순포진과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막아 줄 수 있는데 그 항바이러스의 활성성분은 축합탄닌이다[참고문헌:11].

아르테미시닌과 그의 유도체 아르테메테르는 in vitro에서 비록 직접적으로 콕사키바이러스 B3(CVB3)을 사멸시키지 못하지만 CVB3에 감염된 뒤 유전자 복제 등의 절차에서 항바이러스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참고문헌:15].

3. 항내독소
개똥쑥의 에탄올 추출물, 아르테미시닌을 위에 주입하면 Rat의 간선 지질과산화물(LPO),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P), 내독소, 종양괴사인자-α(TNF-α), 세포색소 P450의 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독소 쇼크로 인한 Mouse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고 Mouse의 평균 생존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간과 폐조직의 형태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다[참고문헌:16].

아르테수네이트는 in vitro에서 내독소 혹은 내독소 합병 인터페론으로 유발된 일산화질소(NO) 합성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Mouse의 근육에 아르테수네이트를 주사하면 복강대식세포의 내독소에 대한 반응성을 낮출 수 있고 내독소의 자극을 받아 생산된 NO의 수치를 뚜렷하게 감소할 수 있다[참고문헌:17].

4. 해열, 항염, 진통
개똥쑥의 줄기와 잎에 함유된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정상적인 Rat의 체온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물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부탄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신선한 효모로 인해 발열이 있는 Rat에게 뚜렷한 해열작용이 있다.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효모로 인한 Rat의 발바닥관절 종창, 단백질로 유발된 Mouse의 발바닥 종창,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 등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스코폴레틴을 위에 주입하면 효모로 유발된 Mouse의 발바닥관절 종창에도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경련 차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참고문헌:13].

5. 항혈흡충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아르테에테르 혹은 아르테메테르를 위에 주입하면 일본혈흡충에 감염된 Mouse를 치료할 수 있고 Mouse의 체내에 있는 일본혈흡충 유충과 성충에 대해 살멸작용이 있다[참고문헌:18].

6. 항종양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유도체 아르테수네이트는 인체유선암세포 MCF-7의 세포주기를 뚜렷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아르테수네이트로 유발된 MCF-7세포의 자멸과 직접적인 세포독성작용은 아르테미시닌보다 현저하게 강력하다[참고문헌:19].

아르테수네이트는 위암세포의 생장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위암세포의 자멸을 유도할 수 있다[참고문헌:20].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과 낙산염을 함께 사용하면 인체종양세포의 자멸을 촉진할 수 있다[참고문헌:21].

아르테미시닌을 먹이면 7,12-디메칠벤즈안트라센(DMBA)으로 유발된 Rat의 유선암의 발전을 늦출 수 있다[참고문헌:22].

7. 기타
디하이드로-에피데옥시아르테아누인과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에는 항위궤양 활성이 있고[참고문헌:7], 아르테미시닌에는 항심박부절[참고문헌:23], 면역조절[참고문헌:24] 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청호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허열(清虛熱, 허해서 나는 열을 깨끗이 제거함), 거골증(除骨蒸, 골증을 제거하는 것), 해서(解暑, 더위 먹은 것을 풀어 줌), 절학(截瘧, 말라리아의 발작을 미리 막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온사상음[溫邪傷陰, 온열병(溫熱病)으로 진음(眞陰)이 손상된 것], 야열조냉(夜熱早冷, 밤에 열이 나고 아침에 추위를 탐), 음허발열(陰虛發熱, 음허로 인한 발열), 노열골증[勞熱骨蒸, 오후나 밤이 되면서 저열이 발생하여 마치 골내(骨內)에서 외부로 향하여 투발(透發)되는 듯한 열감이 있는 병증], 서사(暑邪), 발열로 인한 두통구갈[頭痛口渴, 머리가 아프며 화조(火燥)로 인한 갈증], 학질한열(瘧疾寒熱, 말라리아에 걸려 오한과 발열이 왕래하는 증상), 황달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중서(中暑, 찬 기운을 받게 되어 일어나는 급성 병증), 치은염(齒齦炎, 잇몸에 생기는 염증), 코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개똥쑥은 세계에 널리 분포된 품종으로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및 후대의 의약서적들에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1970년대에 중국 과학자들은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을 분리하고 동시에 그 구조 및 항말라리아활성을 증명하였다.

이로부터 오직 생물알칼리 성분만이 항말라리아활성이 있다고 여기던 시각은 변화되었다[참고문헌:12-13].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합성유도체 아르테에테르, 아르테메테르, 아르테수네이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등도 광범위하게 임상에서 사용된다.

개똥쑥 외에 쑥속 몇백 종 기타 식물 중에서는 아르테미시닌을 발견하지 못했고, 또 기타성분에 항말라리아활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합성유도체의 생산은 오직 천연자원에 의존한다.

그러나 세계 절대다수 지역에서 생장하는 개똥쑥 중의 아르테미시닌 함량은 아주 낮고 오직 소수 지역의 개똥쑥 중에만 아르테미시닌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공업적 생산가치가 있다.

개똥쑥 자원의 품질에는 생태 및 지역성이 있으며[참고문헌:25], 광범위한 야생자원 고찰을 반드시 진행하여 우수품종의 개똥쑥 품종을 선택하여야만 임상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르테미시닌 및 유도체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부단히 확대되어야 하며 이 분야의 연구는 이미 중요한 과학적 이슈가 되어 있다.

참고문헌>25

확장영역 접기

1. 董岩, 劉洪玲. 青蒿與黃花蒿揮發油化學成分對比研究. 中藥材. 2004., 27(8): 568-571
2. I Rasooli, MB Rezaee, ML Moosavi, K Jaimand. Microbial sensitivity to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annua L. Journal of Essential Oil Research. 2003., 15(1): 59-62
3. N Jain, SK Srivastava, KK Aggarwal, S Kumar, KV Syamasundar.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Artemisia annua L. ‘Asha’ from the plains of northern India. Journal of Essential Oil Research. 2002., 14(4): 305-307
4. 陳飛龍, 賀豐, 李吉來, 羅佳波, 吳忠, 于紅宇, 王立傑, 林敬明. 不同方法提取的青蒿揮發油成分的GS-MS分析. 中藥材. 2001., 24(3): 176-178
5. 邱琴, 崔兆傑, 劉廷禮, 田賞. 青蒿揮發油化學成分的GS/MS研究. 中成藥. 2001., 23(4): 278-280
6. Y Holm, I Laakso, R Hiltunen, B Galambosi. Variation in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Artemisia annua L. of different origin cultivated in Finland.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1997., 12(4): 241-246
7. MA Foglio, PC Dias, MA Antonio, A Possenti, RAF Rodrigues, E Ferreira da Silva, VLG Rehder, J Ernesto de Carvalho. Antiulcerogenic activity of some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Artemisia annua. Planta Medica. 2002., 68(6): 515-518
8. LK Sy, KK Cheung, NY Zhu, GD Brown. Structure elucidation of arteannuin O, a novel cadinane diol from Artemisia annua, and the synthesis of arteannuins K, L, M and O. Tetrahedron. 2001., 57(40): 8481-8493
9. T Singh, RS Bhakuni. A new sesquiterpene lactone from Artemisia annua leaves. Indian Journal of Chemistry, Section B:Organic Chemistry Including Medicinal Chemistry. 2004., 43B(12): 2734-2736
10. FR Stermitz, LN Scriven, G Tegos, K Lewis. Two flavonols from Artemisia annua which potentiate the activity of berberine and norfloxacin against a resistant strain of Staphylococcus aureus. Planta Medica. 2002., 68(12): 1140-1141
11. 張軍峰, 譚健, 蒲薔, 劉穎華, 劉月雪, 何開澤. 青蒿鞣質抗病毒活性研究. 天然產物研究與開發. 2004., 16(4): 307-311
12. YY Tu. The development of the antimalarial drugs with new type of chemical structure- qinghaosu and dihydroqinghaosu.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4., 35(2): 250-251
13. 黃黎, 劉菊福, 劉林祥, 李德鳳, 張毅, 牛惠珍, 宋紅月, 章春宜, 劉曉宏, 屠呦呦. 中藥青蒿的解熱抗炎作用研究. 中國中藥雜誌. 1993., 18(1): 44-48
14. 張軍峰, 譚健, 蒲薔, 劉穎華, 何開澤. 青蒿提取物抗單純疱疹病毒活性研究. 天然產物研究與開發. 2003., 15(2): 104-108
15. 馬培林, 李惠, 董欣, 李呼倫, 張鳳民. 青蒿素類藥物抗柯薩奇B組病毒的體外實驗研究. 微生物學雜誌. 2003., 23: 40
16. 譚余慶, 趙一, 林啟雲, 謝干瓊, 楊品純, 尹雪曼. 青蒿提取物抗內毒素實驗研究. 中國中藥雜誌. 1999., 24(3): 166-171
17. 梁愛華, 薛寶雲, 李春英, 王金華, 王嵐. 青蒿琥酯對內毒素誘導的一氧化氮合成的抑制作用. 中國中藥雜誌. 2001., 26(11): 770-773
18. 肖樹華, 殷靜雯, 梅靜艷, 尤紀青, 李英, 姜洪建. 蒿乙醚的抗血吸蟲作用. 藥學學報. 1992., 27(3): 161-165
19. 林芳, 錢之玉, 薛紅衛, 丁健, 林莉萍. 青蒿素和青蒿琥酯對人乳腺癌MCF-7細胞的體外抑制作用比較研究. 中草藥. 2003., 34(4): 347-349
20. 趙君寧, 何一然, 張振玉, 孫士其, 王書奎. 青蒿琥酯對人胃癌細胞增殖及凋亡的影響. 中國癌症雜誌. 2005., 15(4): 347-350
21. NP Singh, HC Lai. Synergistic cytotoxicity of artemisinin and sodium butyrate on human cancer cells. Anticancer Research. 2005., 25(6B): 4325-4331
22. H Lai, NP Singh. Oral artemisinin prevents and delays the development of 7, 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induced breast cancer in the rat. Cancer Letters. 2006., 231(1): 43-48
23. 王慧珍, 楊寶峰, 羅大力, 張晉, 廖淑傑. 青蒿素抗心律失常作用的研究. 中國藥理學通報. 1998., 14(1): 94
24. 舒貝, 馬行一. 青蒿素及其衍生物的免疫調節作用. 中國中西醫結合腎病雜誌. 2005., 6(3): 176-178
25. 鍾國躍, 周華蓉, 凌雲, 胡鳴, 趙萍萍. 黃花蒿優質種質資源的研究. 中草藥. 1998., 29(4): 264-267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은 국내외 약용식물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상용 약용식물 500여 ...더보기

  • 저자

    1982년 북경중의약대학 학사 1985년 중국중의과학원 석사 1992년 도쿄약과대학 박사 홍콩침례대학(香港浸會大學) 중의약학원 부원장, 석좌교수 홍콩 공인 중의사(中醫師) 홍콩 중약표준과학위원회 위원 국제고문위원회 위원 홍콩중의중약발전위원회 위원 중국약전위원회 위원 오랜 기간 중의약 교육, 연구 및 국제교류에 힘을 쏟고 있다. 저서 《당대약용식물전(當代藥用植物典)》(중·영문판) 《상용중약재감별도전(常用中藥材鑑別圖典)》(중·일·영문판) 《중약현미감별도감(中藥顯微鑑別圖鑑)》(중·영문판) 《홍콩 혼용하기 쉬운 중약》(중·영문판) 《백방도해(百方圖解)》, 《백약도해(百藥圖解)》 시리즈

    더보기
  • 저자

    샤오페이건(蕭培根) 1953년 하문대학(厦門大學) 이학(理學) 학사 1994년 중국공학원 원사 2002년 홍콩침회대학 명예 이학 박사 중국의학과학원약용식물연구소 연구원·명예 소장 국가중의약관리국중약자원이용과보호중점실험실 주임 <중국중약잡지> 편집장 , 등의 편집위원 북경중의약대학 중약학원 교수, 명예 소장 홍콩침회대학 중의약학원 객원교수 오랜 기간 약용식물 및 중약 연구에 종사하며 약용 계통학 창설 저서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신편중약지(新編中藥志)》 등 대형 전문도서 다수

    더보기
  • 역자

    전북대학교 농학 박사 충남대학교 약학 박사 경운대학교 한방자원학부 겸임교수 역임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장 역임 現 중국 하얼빈상업대학 약학원 객좌교수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생약학회 부회장 저서 《원색한약재감별도감》(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등 다수

    더보기
  • 역자

    원광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졸업 우석대학교 한의학과 졸업 원광대학교 한의약학 석사 원광대학교 의학 박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역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겸임교수 역임 現 서원대학교 제약공학과 교수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강사 농수산물유통공사 강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부소장 한국생약학회 정회원 저서 《신농본초 양생법》(상·하) 등 다수

    더보기
  • 감수

    전북대학교 농학 박사 충남대학교 약학 박사 경운대학교 한방자원학부 겸임교수 역임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장 역임 現 중국 하얼빈상업대학 약학원 객좌교수 전라남도 천연자원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생약학회 부회장 저서 《원색한약재감별도감》(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등 다수

    더보기
  • 제공처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