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간 종적감춘 이중섭 '흰소'…드디어 나왔다

입력
수정2021.06.14. 오전 9:54
기사원문
전지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건희 기증품 희귀작 살펴보니

월북이후 묘연했던 이쾌대 작품
이중섭 日 유학시절 은지화 3점
흙을 재료로 쓴 천경자 '만선'도

전문가들도 "실물로 본건 처음"
근현대미술사 귀중한 사료확보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사들이 찾아헤매던 이중섭 `흰 소`. [사진 제공 = 삼성]
경북 칠곡 출신 화가 이쾌대(1913~1965)는 1947년 성북회화연구소를 열어 물방울 화백 김창열, 조각가 전뢰진 등 한국 대표 작가들을 가르쳤으나 1953년 월북했다. 북한에 간 후 어떤 그림을 그렸는지 알 수 없었는데 지난주 대구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 중 1960년작 '항구'를 통해 그 의문이 풀렸다. 북한에서 용인된 사실주의 기법으로 석양에 물든 바다에 정박한 배들을 그린 풍경화다.

최은주 대구미술관장은 30일 "서울에 있을 때 작품과 화풍이 많이 달라져 생애 후반기 작품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당시 북한에서 사용된 유화물감 성분도 분석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월북 작가가 그린 그림이 어떻게 이건희 삼성 회장 손에 들어갔을까. 미술계는 북한에 있던 이쾌대 작품이 중국 판매상에게 넘어간 뒤 한국으로 들어와 이 회장에게 팔린 것으로 추정한다.

월북 화가 이쾌대가 1960년 북한에서 그린 `항구`. [사진 제공 = 삼성]
삼성가가 전국 국공립 미술관에 쾌척한 '세기의 기증품' 중에는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희귀작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 미술계가 감탄하고 있다. 이번에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이중섭(1916~1956) '흰 소'는 2016년 덕수궁 전시 '이중섭: 백년의 신화'를 준비하던 학예연구사들이 애타게 찾았지만 종적을 알 수 없어 포기했던 작품이다. 1972년 현대화랑에서 열린 이중섭의 첫 유작전에 출품됐던 작품으로 1975년 '꽃 화가' 김종학이 소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그 이후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 없었다. 이중섭은 흰 소를 통해 내면을 표출해왔는데 이 작품 속 흰 소는 저돌적이지 않으면서 아주 힘이 없는 상태도 아니다. 현존하는 이중섭 '흰 소' 연작은 5점 정도로 알려져 있다.

김환기(1913~1974) 작품 중 가장 규모가 큰 1950년대 회화 '여인들과 항아리'(281×568㎝)는 1980년대 중앙일보 사옥에 걸렸다가 호암미술관 수장고에 들어간 후 밖에 나오지 않았던 작품이다. 가로 6m에 육박하는 벽화 같은 작품이어서 전시가 쉽지 않았으며 둘둘 말린 상태로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됐다. 화면 중앙에 김환기 자신을 투영한 목이 긴 사슴이 당당하게 서 있다. 파리 유학 직전 자신감에 차 있을 때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중앙일보 계열 잡지 '계간미술'에 근무했을 때 봤던 작품을 이번에 다시 보게 돼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증작인 이인성(1912~1950)의 1949년 회화 '다알리아'는 1950년 사망 직전 작품으로 가치가 높다. 장욱진(1917~1990) 그림 '나룻배'(1951) 뒷면에는 소녀가 그려져 있어 주목받고 있다. 6·25전쟁 중에 그림 재료가 부족해 양면으로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인성이 죽기 직전 그린 `다알리아`. [사진 제공 = 삼성]
광주시립미술관에 기증된 이중섭의 1940년 은지화 3점 역시 희귀작이다. 지금까지 미술학계에서는 이중섭이 1950년 6·25전쟁 이후 미군이 버린 양담배 은지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는 게 정설이었으나 일본 유학 시절에도 은지화를 그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임종영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은지화 시작 시점이 달라지는 귀한 그림"이라며 "자료를 찾아보니 시인 고은이 쓴 '이중섭 평전'에 일본 유학 시절부터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은지화를 그렸다고 언급돼 있었다. 이중섭의 일본인 부인이 '도쿄에 살 때 남편이 나중에 살림이 피면 큰 작품으로 해보려고 은지화에 밑그림을 그렸다'고 증언한 자료도 찾았다"고 설명했다.

전남도립미술관이 기증받은 천경자(1924~2015)의 '꽃과 나비' '만선'은 1970년대 동양화의 가능성을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했던 작품이다. 흙에 물감을 섞어 종이 위에 바른 '만선'은 재료 질감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시중에 흔치 않은 천경자 그림이다. 이지호 전남도립미술관장은 "그동안 사진으로만 봤던 작품을 이번에 처음 보게 됐다"고 말했다.

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깊이 있는 미술·문화재 기사를 신속하게 받아보려면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전지현 기자]

▶ '경제 1위' 매일경제, 앱으로 편하게 보세요
▶ 매일경제 지식레터 '매콤달콤' 받아보세요
▶ 매경이 알려주는 '취업비법' 한달간 무료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안녕하세요.. 문화스포츠부에서 미술과 문화재 현장 소식을 전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