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정의

파주형인 이듬매기소리로, 긴 받음구의 후반에 ‘헤(이)리’라는 어휘가 나오는 논매는 소리.

개관

한강 이북에서 논을 매거나 회방아 때 부르는 메기고 받는 방식의 일노래 중에 홀호리류가 있다. 홀호리류는 받음구가 주로 입말로 엮어지는데 후반에 ‘호(로)리’, ‘훠러리’, ‘놀노리’, ‘허리’, ‘헤(이)리’ 등의 어휘가 붙는다. 홀호리류는 받음구의 짧고 긺과 형태상의 차이에 따라 고양형과 파주형, 자진놀노리로 나뉜다. 파주형인 <헤이리소리>는 고양형에 비해 받는소리가 두 배로 길기 때문에 쉽게 구별된다. <헤이리소리>에서는 받음구 후반의 특징적인 어휘 중에서 ‘헤(이)리’형을 선호한다. 자진놀노리는 고양형의 또 다른 변주형으로 경기도 고양시의 송포 호미걸이에서 불린다.

파주형인 <헤이리소리>는 경기도 파주시의 남부인 조리읍 대원리·와동동·탄현면 금산리·광탄면 용미리·야동동·월롱면 능산리 및 고양시의 일산동구 성석동 마골에 분포한다. 마골의 <헤이리소리>는 가까운 파주시 야동동 등 파주시에서 유입된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비해 고양형은 경기도의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일산서구 일산동·일산서구 대화동·덕양구 화전동과 양주시의 백석읍·광적면(효촌리), 구리시의 갈매동, 동두천시의 광암동과 지행동 및 파주시의 적성면 장현리에 분포한다.

사설

에- 네헤/ 호 호오이 오호 야하/ 명산대천에/ 불공을 말고/
에- 네헤/ 호 호오이 오호 야하/ 세월 봄철아/ 오고가지를 말어라/
에- 네헤/ 호 호오이 오호 야하/ 청춘호걸이/ 다 늙는다//
훠-/ 허 엉 어허야/ 서산 월릉/ 뽕나무 장수야/
훠-/ 허 엉 어허야/ 네 나무 한 동에/ 몟 냥씩이나 받느냐/
훠-/ 허 엉 어허야/ 네 떡 한 개에/ 몟 냥씩이나 받느냐//
허 허/ 허 허어 어허 양/ 놀면, 놀고/ 말며는 말았지/
허 허/ 허 허어 어허 양/ 오늘은 여기서 놀고/ 내일은 어데 노나/
허 허/ 허 허어 어허 양/ 무정세월아/ 오구 가지 마라/
허 허/ 허 허어 어허 양/ 이팔청춘이/ 다 늙어가누나//
오 호/ 오호오오 호오야/ 우리네 소리는/ 나무꾼의 소리라/
오 호/ 오호오오 호오야/ 앞집이 총각아/ 나무하러 가자/
오 호/ 오호오오 호오야/ 뒷집이 총각아/ 내 뒤를 따러라

내용

경쾌한 곡풍의 노래이다. 메김 선율과 받음 선율이 각각 3분박 4박(8분의12박, 3소박 4박) 네 마디씩이며, 받음구 후반에 ‘헤(이)리’라는 어휘가 나온다. 메김 선율의 첫 두 마디는 입말인 경우가 많다. <헤이리소리>나 홀호리류에서는 메김구에 ‘나무꾼소리’ 또는 ‘서산 나무꾼소리’라고 밝히는 경우가 있으나, 이들 지역에서는 대체로 <창부타령>·<청춘가>·<노랫가락> 등을 나무꾼소리로 애창한다.

지역사례

받음구의 예는 다음과 같다. 금산리에서는 “엥 헤 헤이/ 호 호이 오호 야앙/ 에 헤이 에 헤이리/ 로 호 오호 야하”로 부른다. 와동리에서는 “훠 훠/ 허 허허 어허야/ 에이 에 헤이리/ 노 호호 호오야”로 부르며, 야동리에서는 “어 허/ 어 허 허허 야하/ 에헤 헤 헤리/ 호 호오 호오야”, 마골에서는 “오 오호,/ 오호 오호 오호 오야/ 에 헤이 에 헤이리/ 로 호오 호오 야”로 부른다.

특징 및 의의

홀호리류는 그 사설에서처럼 서산의 나무꾼들로부터 유래한다는 가창자들의 전언과 더불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발전해간다는 진화론에 입각한 문화인류학적 견해를 따른다면, 양주시 송추의 서산에서 가까운 백석읍과 고양시에 분포한 고양형이 더 고형(古型)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파주형은 고양형이 파주에 전해진 뒤 재창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3

확장영역 접기

경기도논맴소리 자료총서4(이소라, 전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 2006년)
고양민요론(이소라, 고양문화원, 2007년)
파주민요론(이소라, 파주문화원, 1997년)

더 알아보기

확장영역 접기
집필
이소라(李素羅)/민족음악연구소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