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carbon neutral, 炭素中立

두산백과

비슷한 글3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요약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기업이나 개인이 발생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탄소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다시 말하면 대기 중으로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상쇄할 정도의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는 대책을 세움으로써 이산화탄소 총량을 중립 상태로 만든다는 뜻이다.

탄소중립을 실행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숲을 조성하여 산소를 공급하거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무공해에너지인 태양열·태양광·풍력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방법, 둘째,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방법 등이 있다. 탄소배출권(이산화탄소 등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이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돈으로 환산하여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기 위해 지불한 돈은 삼림을 조성하는 등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늘리는 데에 사용된다.

탄소중립 배경

2018년 10월, 제48차 IPCC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온도가 상승한 관측 데이터를 보여주며, 지구온난화는 인간활동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지구온난화가 현재와 같이 진행된다면 2021년에서부터 2040년 사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1.5℃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1.5℃를 넘어선다면, 폭염, 폭설, 산불, 태풍 등 이상기후 현상이 더 빈번하게 그리고 그 피해는 더 크게 발생되므로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하여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한 국제사회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 또한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을 채택했으며, 우리나라 또한 2016년 11월 파리협정을 비준했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2℃ 보다 더 큰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신기후체제가 시작되는 2021년을 기준으로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에서도 탄소중립 선언을 시작했다. 2020년 10월 28일,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한 한국 이외에도 유럽, 일본, 영국, 캐다나 등을 포함한 유럽과 16개국은 법제화했으며, 미국, 중국, 터키 등 33개국이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외 태국, 브라질, 인도, 베트남 등 총 18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탄소중립 정책 현황

국제사회의 주요국들은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각국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을 발표하거나 시행 중이다. 유럽연합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유럽그린딜을 발표했으며, 중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5%로 확대할 예정이다. 미국의 경우, 탈석탄을 포함하여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를 확대할 예정이며, 일본 또한 2030년까지 화력발전을 축소 및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약 36~38%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그린수소, 차세대 전지 등 신유망 산업을 육성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등의 목표를 담고 있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탄소중립의 어려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원 대부분을 신재생에너지 등과 같은 에너지 전환이 이뤄져야한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생산과 공급이 용이한 화석연료에 비해 생산과 공급이 불안정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넓은 설비면적과 설비용량을 확보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온실가스를 흡수하거나 포집하는 기술 개발은 경제적부담과 함께 기술을 상용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출처

출처 도움말
확장영역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