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美'칠 결단 내렸다… 전기차·UAM 등 위해 8.4조원 투자 밝혀

입력
수정2021.05.15. 오전 6:18
기사원문
박찬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아 미국 조지아 공장 작업현장. /사진제공=기아

현대차그룹이 2025년까지 74억 달러(약 8조3879억원) 투자를 밝히며 미래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제품 경쟁력 강화와 생산설비 향상 등에 대한 투자 외에 ▲전기차 ▲수소 ▲UAM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미래성장 동력 확보에 투자 자금을 집행할 방침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업계 일부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줄 선물 중 하나라는 평을 내놓기도 했지만 관련업계에서는 지나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모든 업체가 같은 고민을 하는 상황에서 중장기계획을 발표했을 뿐이라는 것.

현대차그룹이 이날 미국에서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한 것은 미 정부 정책 대응 차원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정부의 통상 정책이 이전 트럼프 정부보다 더 강력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감이 실리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앞다퉈 미국 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서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의 투자도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는 선택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현대차그룹이 2025년까지 74억달러 투자를 밝혔지만 현지 업체와 비교할 경우 오히려 보다 큰 규모의 투자를 위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대표적으로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2025년까지 전동화·자율주행분야에만 270억달러(약 30조456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한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그룹의 투자규모는 연간 20조원 수준이며 앞으로 5년 동안 총 100조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미국 투자금액은 연간 약 1.7조원이다. 핵심 연구개발(R&D) 기반이 국내에 위치한 만큼 국내투자비중이 클 수밖에 없다.



현지 신공장 대신 친환경 설비 확충에 집중 결정


현대차 미국 HMMA 공장 전경.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차와 기아는 전기차 모델의 미국 현지 생산을 추진하고 현대차는 내년 중 첫 생산을 시작한다. 현지 시장 상황과 미국의 친환경차 정책 등을 검토해 생산설비 확충 등 단계적으로 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모델의 현지 생산을 추진하는 것은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과 맞닿아 있다. 업계에서는 미국 전기차 시장이 2025년 240만대, 2030년 480만대, 2035년 800만대 등으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수소 생태계 확산을 위해 미국 정부 및 기업들과 적극 협력한다. 미 연방 에너지부(DOE)와 수소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혁신 및 글로벌 저변 확대를 위한 협력을 지속하고, 현지 기업들과 ▲수소충전 인프라 실증 ▲항만 등과 연계된 수소전기트럭 활용 물류 운송 ▲수소전기트럭 상용화 시범사업 ▲연료전지시스템 공급 등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수소충전 전문기업과 수소전기트럭 기반의 수소충전 인프라에 대한 실증사업을 준비하고 있으며, 항만과 내륙 물류기지 간의 수소전기트럭을 활용한 물류 시범사업을 펼친다. 대형 물류기업과 올 하반기부터 수소전기트럭 상용화 시범사업도 전개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미국 엔진, 발전기 분야 전문 기업인 '커민스'(Cummins)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다수의 업체와 연료전지시스템 보급을 위해 협업 검토를 진행 중이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사업 추진으로 미래 혁신 성장 분야의 경쟁력도 확고히 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전기차 미국 생산을 위한 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기차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확고한 전동화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라며 "미국 전기차 신규 수요 창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전기차 생산 물량의 이관은 없으며 국내 공장은 전기차 핵심 기지로서 역할을 지속하게 된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현지에서 새로운 공장을 짓지 않고 친환경차 생산만을 밝힌 것은 국내 노조와의 협약 때문"이라며 "삼성·SK 등과 달리 미국 현지업체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만큼 섣부른 투자를 단행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라고 전했다.



'친환경차'로 미국 살리려는 바이든의 속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산업의 심장 미시건주를 방문,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바이든 정부는 과감한 친환경 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기후변화협약에 재가입한데 이어 지난달 22일 바이든 대통령 주도로 열린 화상 정상회담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재확인했다.

바이든은 청정에너지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인프라에 앞으로 4년 동안 2조달러(약 2187조원) 투자를 공언한 바 있다. 특히 ‘2050년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전기차 인프라 등 친환경 인프라 확충에 4000억달러(약 437조원)를 집행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다만 미국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은 미국 내 일자리 확보 정책의 일환인 만큼 이를 냉철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시각이다. 바이든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은 ▲‘미국산’ 친환경차 300만대 이상 구매 유도 ▲전기차 공공 충전소 50만개 구축 ▲친환경차 보조금 ▲저공해차 생산 인센티브로 요약된다.

지난 1월 바이든 대통령은 정부기관의 공용차를 미국산 부품 50% 이상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바이 아메리카’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도 이 같은 기조에 따른 것이다.

업계는 올 여름 강화될 온실가스 대책에 관심을 갖고 있다. 오는 7월 미 환경보호청(EPA)이 보다 강화된 온실가스 강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와 함께 친환경차 지원 프로그램의 수혜 조건도 까다롭게 다듬으려는 움직임도 보인다는 것. 전미자동차노조는 미국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대해서만 보조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미국 현지 생산 계획을 밝힌 것은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차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국 내 전동화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찬규 기자 star@mt.co.kr

▶뜨거운 증시, 오늘의 특징주는? ▶여론확인 '머니S설문'
▶머니S, 네이버 메인에서 보세요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움직이는 모든 것을 취재하는 산업1부 모빌리티팀의 팀장 박찬규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