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에서 우승을 기대했던 우리나라는 동메달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사실 아시아 국가에서 야구 강국은 일본과 대만 정도밖에 없기 때문에 동메달의 결과는 상당히 충격적이었죠.
대만전 패배는 그렇다쳐도 일본과의 경기에서 10:7 로 진 것은 충격을 넘어서 굴욕적인 결과였습니다. 왜냐구요!? 당시 일본 야구 국가대표는 프로 선수가 아닌 사회인 야구 선수들로 구성했기 때문입니다.
▶정말 오뎅장수..?
"나고야의 오뎅 장수에게 오승환이 쓰리런 홈런을 맞았다" 라는 비아냥이 한 때 유행했었습니다.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 당시에 도하참사라고 불렸던 한일전 패배 이후에 나왔던 말이었죠. 말 자체가 사실은 아니었지만 일본 사회인야구가 조명을 받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사실입니다. 오뎅장수로 알려진 선수는 사실 대학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 혼다에서 뛰다가 요미우리로 1차 지명을 받은 '조노 히사요시' 입니다. 프로에 데뷔하자마자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고 이듬해(2011년)에는 리그 타율 1위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죠.
즉, 오승환 선수가 당시에 홈런을 맞아도 크게 이상하지 않을 실력의 선수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회인 야구 소속이라는 점에서 그 일이 크게 다가왔던 것이죠. 어쨌든 아시아 최다 세이브를 올리며 특급 마무리로 활약하고 있었던 오승환였기에 국내 야구팬들에게는 매우 충격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사회인야구인으로 꾸리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
일본 야구계는 아시안게임에 출전할 대표팀을 구성할 때 대부분 고교, 대학 야구부 출신으로 사회인야구 기업팀에 소속된 선수들로 꾸립니다. 90년대까지는 올림픽에도 사회인야구와 대학야구팀이 주축이 되어 대표팀을 꾸렸지만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부터 프로 선수들 위주로 대표팀을 선발하고 있죠. 사회인야구인들의 목표가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국가대표 이기도 합니다.
▶일본 사회인야구의 역사
1878년 신바시 철도국의 철도관계자들이 만든 신바시 스포츠클럽을 일본 최초의 야구팀이자 최초의 사회인야구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신바시 사나가와에 '보건장'이라는 운동장을 만들어 활동했는데 이 곳이 일본최초의 야구장이었죠. 이후에는 사회인야구가 점차 발전하면서 1927년 일본 최초의 실업야구대회 '도시대항야구대회'가 출범했습니다.
▶일본 사회인야구의 분류
1) 기업팀, 회사등록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식 야구팀으로 해당 기업에서 선수를 선발해 운영하며 선수들은 월급을 받으면서 야구를 합니다. 신인 드래프트에서 원하는 팀에 뽑히지 않거나 지명이 아예 되지 않았을 때 기업팀에 입단하게 됩니다. NTT나 미쓰비시 같은 대형 기업들은 공장별로 야구팀을 운영하고 있죠. 애초에 프로 무대를 지망한 선수들이기 때문에 한 곳에서 오랫동안 머무는 선수는 별로 없습니다. 기업팀에서 선수 경력을 이어가다가 20대 후반에 프로에 진출하는 선수들도 많죠.
2) 클럽팀
자발적으로 모여 운영되는 경식 야구팀. 기업들이 컨소시움을 만들어 운영하기도 하며 유명인사가 팀원을 모아 운영하기도 하죠. 기업 소속팀이 아니기 때문에 따로 월급을 받지 않으며 오히려 참가비를 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클럽팀은 일본야구연맹에 정식 등록되어있어서 일본야구연맹이 주최하는 3대 대회(도시대항, 일본선수권, 클럽선수권)에 출장할 수 있습니다.
3) 풀뿌리 야구팀
우리나라의 사회인야구와 비슷한 사회인야구팀을 말합니다. 동네 야구수준에서부터 제법 전문적인 수준까지 다양한 팀이 존재하죠. 풀뿌리 야구팀은 나무배트가 아닌 알루미늄 배트를 사용하며 주로 연식야구공을 사용합니다. 경식구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인야구와는 다른 점입니다.
▶일본 사회인야구의 객관적인 수준은..!?
일본의 사회인야구팀은 프로 2군팀과 종종 연습경기를 가지는데 사회인야구팀이 이길 때가 더 많다고. 사회인야구는 수비가 특히 좋고 권위있는 전국구 토너먼트 대회는 2개뿐이기 때문에 엄청난 긴장감 속에서 경기를 뛴다고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야구를 하기 때문에 기본기가 탄탄한 선수들이 많고 실제로 프로에서 데려오기도 합니다. 사회인 야구팀 일본생명에서 뛰던 고바야시 세이지는 드래프트 1순위가 아니면 프로에 가지 않겠다고 발언하고 2년뒤에 정말로 1순위 지명으로 프로에 데뷔했습니다. 이를 보면 일본의 사회인야구는 수준이나 규모를 봤을 때 세미 프로에 근접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