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김두찬관' 개관... 그는 '학살 의뢰자'였다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두찬 전 사령관, 예비검속자 총살 집행 의뢰 인물... "예비검속 유족회와 회의 후 대응"

[오마이뉴스 박광홍 기자]

 
 지난 11월 26일, 해병대 교육훈련단에는 교육생들의 양질의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해 복합교육센터 '김두찬관'이 개관했다.
ⓒ 해병대 페이스북

  
신축된 해병대 교육센터의 이름이 제주4·3사건 당시 예비검속 학살 책임자의 이름으로 명명되어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11월 26일 경북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는 복합교육센터 '김두찬관'이 개관되었다. 김두찬관은 CBT(Computer Based Training) 교실, 야외교육장, 대강당, 분임토의실, 전쟁연습실로 구성된 복합교육센터다. 당시 해병대 측은 제5대 해병대사령관으로서 '항일운동가이자 해병대 전력의 선구자'로 김두찬 전 사령관을 소개하며 개관 취지를 밝히고, 해당 인물의 유족들까지 초청해 개관식을 열었다.
 
그러나 김두찬 전 사령관은 제주4·3사건 당시 자행된 예비검속 학살에 맞닿은 인물이다. 

1950년 8월 30일, 제주 주둔 해병대 정모참모로 근무 중이던 김 전 사령관은 '성산포경찰서에 예비구속 중인 D급 및 C급에서 총살 미집행자에 대해서는 총살집행 후 그 결과를 9월6일까지 육군본부 정보국 제주지구CIC 대장에게 보고하도록 이에 의뢰함'이라는 공문을 성산포경찰서에 발송하였다.
 
그러나 당시 성산포경찰서장이었던 문형순 전 서장은 해당 공문에 대해 "부당(不當)하므로 불이행(不履行)"이라며 총살 명령을 거부하고, 성산포경찰서에 구금돼 있던 예비검속자 221명을 풀어줬다. 

문형순 전 서장과 같은 총살명령 불이행 사례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에서는 약 1천 명 정도의 예비검속자들이 해병대사령부 주도로 총살 후 암매장되거나 수장되었다.

학살 피해지역인 제주도 출신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교육생들이 거치는 교육훈련단의 신축 건물에 김 사령관의 이름이 사용되자, 해병대가 4.3사건 희생자와 제주도민을 우롱하면서까지 흑역사 미화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두찬관 개관을 알리는 해병대 공식 페이스북 게시물에는 "'민에게는 양이 되고 적에게는 사자가 되자'는 해병대 교육훈련은 그냥 아무 의미 없는 문구이냐", "4·3희생자 유족을 둔 해병대 출신으로서 실망스럽다"라는 비판적 댓글이 달렸다.

한편 송승문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장은 12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김두찬관 개관 소식을 지난 11일에 들었다. 미리 알았더라면 이분이 제주에 파견와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 깊이 알아보고, 교육센터를 짓는 과정에서 항의했을 텐데 제대로 행동하지 못해 아쉽다"며 "오는 14일 예비검속 유족회와 회의를 할 예정이다. 회의를 통해 자문을 거처 대처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마이뉴스에서는 누구나 기자가 될 수 있어요
▶네이버에서 오마이뉴스 채널을 구독하세요
▶용감하게 성교육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