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인구 줄어드는 지역일수록 화재 더 일어난다, 서울 행정동 중 화재 최다발생 지역은 역삼1동

입력
기사원문
김기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일수록 화재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행정동 가운데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강남구 역삼1동으로 나타났다.

SH공사 연구진이 지난해 12월 학술지 ‘주택도시연구’에 발표한 ‘서울시 도시화재 발생의 공간분석 및 도시쇠퇴 특성과의 관계’ 논문에 따르면 주거지역의 경우 인구가 감소할수록, 기초생활수급자 및 저소득 독거노인의 거주비율이 높을수록 화재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파트 비율이 낮을수록, 저층 노후주택 비율이 높을수록 화재 발생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2019년 5년 동안 서울시 주거지역 가운데 화재가 집중적으로 많이 발생한 지역(빨간색)과 적게 발생한 지역(파란색)의 분포도. 주택도시연구, SH공사 제공.


연구진은 2015~2019년 사이 서울의 장소별 화재 발생 통계와 화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이 활용한 변수는 인구증가율, 인구밀도, 노령화지수, 기초생활수급자 수, 독거노인 비율 등 인구·사회 관련 통계와 상업활력지수, 평균 공시지가, 노후 저층주택 비율, 아파트 비율 등 경제활동, 물리·환경여건 관련 통계들이다.

연구진은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노후 저층 주거지가 화재발생에도 취약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내용”이라며 “비교적 화재경보시설 등이 잘 갖춰진 아파트 단지에 비해 기반시설이 열악한 노후 저층 주거지가 화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여건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거주하며 물리적으로 쇠퇴한 주거지역이 화재 재난에도 취약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다.

연구진은 또 “예상과 달리 차량통행 불가 필지 비율이 높으면 화재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필지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구가 적고, 경제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지역 특성으로 인해 화재가 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거주지역과 달리 비주거지역의 경우 경제 및 상업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 화재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존 도심부의 상업지와 노후 저층주택지역이 혼합돼 있는 곳이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분석했다.

2015~2019년 5년 동안 서울시 비주거지역 가운데 화재가 집중적으로 많이 발생한 지역(빨간색)과 적게 발생한 지역(파란색)의 분포도. 주택도시연구, SH공사 제공.


지역별로는 서울시 행정동 중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역삼1동으로 연 평균 82.2회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삼1동은 주거지역(21.6회) 및 비주거지역(47.7회)으로 구분해도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의 경우 화재 발생이 집중된 지역은 도봉구와 강북구 일대, 은평구와 강서구, 금천구, 관악구 일대로 나타났다. 강남구 논현동 일대와 강서구 성내동 일대도 화재 발생이 집중된 지역으로 나타났다. 그밖의 주거지역의 경우 강서구 화곡1동과 화곡2동이 각각 연간 화재 발생 건수가 19.4회, 18.2회로 나타났다.

반대로 종로, 중구, 용산 일대는 화재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주거 비중이 낮아 주거지역 화재발생 건수 또한 낮게 집계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주거지역과 달리 비주거지역의 화재 발생은 종로구를 비롯한 도심부와 동대문구 일대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또 강남·서초구 일대가 가장 넓은 지역에 걸쳐 화재 발생이 집중되는 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외 마포구, 영등포구, 구로구 등 일부 지역도 화재 발생이 집중됐다. 이는 도시계획상 도심·부도심을 중심으로 화재 발생이 집중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비주거지역의 경우 종로1·2·3·4가동(44.4회), 서교동(40.8회)순으로 화재 발생 건수가 많았다.

연구진은 화재발생 원인의 50% 이상이 부주의에 의한 것임을 고려할 때 동일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화재는 도시특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화재발생에 도시 공간적 특성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며 “이는 지역특성에 맞는 화재발생의 재난대응이 필요함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저층 노후주거지는 고령자 및 독거노인의 거주비율이 높아 노후된 실내외의 전기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쉽지 않으므로 도시재생사업 등과 연계해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주택관리체계와 화재예방시설 및 통합관리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자 프로필

주로 환경, 생태, 기후변화, 동물권, 과학 분야의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쓰기 위해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에서 열공 중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