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이상하다 싶더니"…입주물량 실상은 완전 달랐다 [이유정의 부동산 디테일]

입력
수정2022.02.06. 오후 4:22
기사원문
이유정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불친절한 입주 통계
48만가구라지만 이것 저것 빼니 21만

국토교통부는 지난 금요일 ‘2021년 공급실적 및 12월 주택통계’ 보도자료를 내고 올해 전국 입주물량을 48만8000가구로 제시했다. 지난해(43만1000가구) 보다 13.1%가 늘어난 것으로 주택공급대책 등으로 각종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교롭게 같은날 한국부동산원도 민간업체인 부동산R114와 함께 조사한 입주물량을 공개했다. 부동산원은 이번을 시작으로 앞으로 반기마다 이 수치를 공개할 계획이다.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입주 예정 물량은 각각 35만6891가구다. 국토부 통계에 비해 13만가구 이상 적은 수준이다.

서울만 놓고 보면 3만6000가구로 정부(8만1000가구)와 두배 차이가 넘는다. 지난해에 비해선 23%가 줄어든다. 수도권도 지난해 수준인 19만여가구에 그친다. 입주물량에서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난 걸까.

국토부가 발표하는 입주물량은 예전부터 논란이 많았다. 민간업체들이 추산한 것에 비해 매번 ’지나치게‘ 많았기 때문이다. 지난해만 해도 추정치 차이가 두배를 넘었다. 시장에서 “공급부족으로 인해 시장이 불안해질 것“이라고 우려할 때마다 정부는 자체 추산한 숫자를 근거로 “공급은 충분“하다고 일축해 왔다.

통계 차이의 가장 큰 이유는 대상 주택이 달라서다. 시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공동주택만 계산해 제시하는 민간기관과 달리 정부는 빌라 단독주택 임대를 몽땅 포함해 발표한다. 민간에선 입주자모집 공고를 기준으로 입주가 확정된 물량만 통계로 잡지만, 정부는 인허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이유다. 정부통계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기자들이 굳이 따져묻지 않으면 서울 아파트만 따로 발라내 적시하지도 않았다. 수요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시장에서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숫자인 데도 말이다.

국토부 산하기관인 부동산원이 올해부터 입주물량을 발표하기로 한 것도 그 동안 끊이지 않던 잡음을 줄이려는 의도다. 부동산R114가 조사한 공동주택 입주물량 통계에 부동산원 자체 추정치, 임대물량 등을 반영해 숫자를 조정했다. 실제 국토부 통계에서 공동주택만 발라내면 35만7000가구로 숫자가 일치한다. 지난해에는 ’서울 공동주택‘이라는 같은 기준으로 따져도 민간과 정부통계가 1만가구 가량 차이가 났다.

그럼 앞으로는 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통계를 참고하면 되겠다 싶다. 하지만 이 마저도 현실과는 다르다. 서울 입주예정물량 3만6204가구 가운데 민간임대와 공공임대가 무려 1만7118가구에 달하기 때문이다. 민간임대야 그렇다 쳐도 공공임대는 웬만한 직장인은 자격이 안돼 고려대상이 아니다.

국토부가 발표한 48만8000가구에서 빌라 다가구 단독주택을 쳐내고 다시 한번 공공임대를 쳐내야 올해 부동산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통계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 굳이 엑셀로 계산해 보니 전국 기준 21만5000여가구다. 여기서 민간임대까지 빼면 16만3000가구에 그친다. 내가 살 수 있는 집이 매년 얼마나 공급되고 있는지, 추이는 어떤지 알기 위한 과정이 이렇게까지 피곤해야 할 일인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