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실거주 피하고 보자’…재건축 단지들 조합 설립 잰걸음

입력
수정2020.07.31. 오후 4:5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 경기도 과천주공 8·9단지 전경>

신반포2차, 압구정 현대, 과천 주공 등 수도권 지역 재건축 단지들이 최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 단지들은 그동안 내외부 여러 사정으로 인해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지만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조합원들 사이에 규제를 피하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조합 설립 절차를 빠르게 밟아나가고 있습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신반포2차 아파트, 서울 강남구 압구정5구역(한양1·2차), 경기도 과천주공10단지 등이 조합 설립을 위한 동의서 접수 요건을 채웠습니다. 조합설립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조합원 75%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해당 단지들은 모두 이 요건을 채운 상태입니다.

압구정3구역(구현대), 압구정1구역(미성1·2차), 과천주공 8·9단지 등 또다른 수도권 재건축 추진 단지들도 조합설립을 위한 동의서 접수 및 관련 절차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천주공 8·9단지'의 경우 지난 5월20일에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은 뒤 현재까지 60%에 가까운 조합 설립 동의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서울과 경기 지역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최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는 배경에는 규제 회피 심리가 깔려 있다는 분석입니다. 지난 '6.17 부동산 대책'에는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단지 조합원은 2년 실거주해야 분양권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는데, 올해 안에 조합을 설립하면 이 규제를 적용받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규제를 피하려는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다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과천주공 8·9단지 최경주 재건축 추진위원장은 "우리 단지의 경우 외부거주인 조합원 비율이 56%에 달해 2년 실거주 규제에 부담을 갖는 조합원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동의서 접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인만 부동산 연구소의 김인만 대표는 "정부의 재건축 규제 강화로 오히려 재건축 추진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그린벨트 해제 논의가 무산되면서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통한 주택공급에 대한 기대 심리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손석우 기자(sukwoo79@sbs.co.kr)


언제어디서나 SBSCNBC [온에어click]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