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덩이' 서울 지하철, 역이름 팔기 더 쉬워진다

입력
수정2021.11.25. 오전 6:06
기사원문
기성훈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서울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의 재정난 해결을 위해 지하철 유상 역명병기 사업 기준을 완화했다. 더 많은 수익 창출을 위해서 거리 등 기준 확대적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24일 공사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공사 재정난 극복을 위한 수익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역명병기 사용기관 선정기준을 완화했다.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은 그대로 두고 그 옆 또는 밑 괄호 안에 추가 역명을 넣는 것을 말한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수익원 발굴을 위해 지난 2016∼2017년 시작했다. 통합 후엔 추가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지만, 재정난이 극심해진 공사는 올해 다시 사업을 재추진했다. 지하철 2·5호선 을지로4가역(BC카드), 지하철 2호선 역삼역(센터필드) 등 현재 26개 역사(환승역 포함)에 유상 역명병기가 적용돼 있다.

유상 역명병기는 공개 입찰을 통해 결정한다. 낙찰자는 3년 동안 원하는 기관명을 대상 역에 추가할 수 있다. 응찰 금액이 같으면 공익기관, 학교, 병원, 기업체, 다중이용시설 순으로 우선 결정된다.

서울시는 역병병기 사용 기관의 거리제한과 의료기준 선정기준을 변경했다. 대상역에서 입찰 대상 기관 또는 회사의 거리 제한을 최대 1km에서 2km로, 종합·전문·상급병원 및 병상수 등의 의료기관 제한을 의료법에서 정한 의료기관으로 확대했다. 병원의 경우, 이미 인지도가 있는 전문병원·대형병원은 기준에 적합하고, 실질적으로 광고를 통한 홍보를 원하는 중소병원은 기준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다른 도시철도 운영기관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유상 역명병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부산·인천교통공사·대구도시철공사는 병상수·병원분류로 제한하지 않으며, 공사 이미지 저해 또는 안내 필요성 불필요할 경우 제외한다는 단서 조항만으로 운영하고 있다. 거리 기준도 인천교통공사는 2km를, 한국철도공사는 8km(서울 4km)로 제한으로 하고 있다.

서울시가 역명병기 사용기관 선정기준 완화한 것은 공사의 재정난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공사는 지난해 1조1137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도 1조7000억원 안팎의 손실이 예상된다. 6년째 동결된 지하철 기본요금,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 지하철 환승 할인 등이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에 따라 공사의 올해 예상 운수 수입 감소액도 5014억원으로 전년(4515억원) 대비 약 11% 증가할 전망이다.

공사 관계자는 "공사 재정난 극복을 위해 유상 역명병기 사업 확대가 필요했다"면서 "향후 새로운 부대사업 수익을 창출해 공사 재정난 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