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관련 센터 오픈...협력사까지 지원
SKT는 구성원이 조직 신설 가능토록 추진
삼성SDS, ACT구성해 수평소통문화 확산
LG CNS, 코로나19 진단시스템 개발에 적용
‘민첩한’이라는 의미를 지닌 단어인 애자일은 원래 기업들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널리 활용돼 왔던 방법이다. 개발자가 짧은 주기로 먼저 제품을 출시하고 고객 반응을 살핀 뒤 수정과 개발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기업내 부서 간 경계를 없애 기민하게 협업토록 하고, 사업목표에 따라 구성된 팀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한다. 전 세계를 쥐락펴락하는 IT대기업 군단인 일명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의 성공 기반에는 이 같은 애자일 경영기법이 갈려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내에선 KT(030200)가이동통신사 중 가장 적극적으로 애자일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고객중심의 서비스 혁신과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애자일이 필수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 해 개발업무에 시범으로 적용됐다. 고객 서비스 향상과 최소한의 필수 기능만으로 구성된 솔루션(MVP) 시연, 피드백에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고객바로납부서비스’, ‘5G스트리밍게임 가상 조이스틱 사용성 개선’ 등이 태어났다.
소프트웨어와 시스템통합(SI)분야에선 삼성SDS가 가장 잰걸음을 걷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2015년 애자일코어팀(ACT)을 조직해 ‘짧은 개발주기를 통한 지속적인 개선’이라는 업무방식을 사내 전체에 전파시키고 있다. ACT는 품질, 디자인, 사업, 개발 등 사내 조직들과 소통해 팀원 간 수평 적 문화를 정착시켰다. 덕분에 의사결정 속도도 높아졌다. 삼성SDS 관계자는 “고객 요구 사항에 대응하는 리드타임(고객주문에서 납품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이 개선됐다”며 “임직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면서 만족도도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서비스 상품 개발에 애자일을 활용한 경우도 있다. LG CNS가 대표 사례다. LG CNS는 최근 임직원을 위해 코로나19 자가진단 서비스를 개발했다. 빠른 실행과 피드백의 애자일 방식으로 1~2주 소요될 개발을 3일만에 마쳤다. 김홍근 LG CNS CTO(전무)는 “사내 벤처 등 ‘애자일 경영’이 녹아든 기업문화를 통해 직원들에게 새로운 성장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코로나19로 기업 리더에겐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애자일 전략이 필요해졌다”고 설명하며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순위 선정에 애자일 전략 실행 수준을 반영하기도 했다. /김성태기자 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