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거품 꺼지기 전 80년대 일본과 비슷"…한국 경제 두고 英 이코노미스트 경고

입력
기사원문
방영덕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한국 경제가 자산 거품이 꺼지기 전인 1980년대 일본과 비슷하다고 분석하며 몇 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5일(현지시간)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우선 한국은 일본처럼 수출로 부를 축적해서 일본의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넘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는 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에서처럼 줄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80년대 후반 일본과 현재 한국 경제에는 모두 금융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지는 지적했다.

이어 현재 한국의 토지 가치가 일본의 문제가 정점에 도달했을 때와 비슷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진단했다.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토지 가치는 2013년 GDP대비 4배에서 현재 5배로 뛴 상태다. 일본의 문제가 정점에 도달했을 때 토지 가치는 GDP의 5.4배였다.

대출이 급격히 늘어나 가계부채가 증가한 것도 일본의 8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근거다.

한국의 개인과 기업은 빠른 속도로 대출을 늘린 결과 가계부채는 작년 9월 기준 GDP 대비 107%에 달했다. 이는 독일(58%), 미국(79%)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일본은 호황기에 자산가치와 부채가 함께 증가하다가 거품이 터지며 자산가치는 사라지고 부채는 남았다. 이후 기업과 가계 모두 빚 줄이기에 나서면서 경제가 위축됐는데 이를 '대차대조표 불황'이라고 부른다.

한국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중에 주요국 중 거의 처음으로 금리를 올렸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긴축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이코노미스트지는 "이 또한 80년대 느낌을 준다면서 일본에선 중앙은행이 자산거품을 터뜨리려고 금리를 급하게 올리면서 문제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의 정치인, 중앙은행, 감독당국이 자산가격 급등을 두고 연착륙 하느라 애쓰는 동안 일본과의 무서운 유사점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은 일본의 경험에서 배울 수 있을 것"이라며 "최악의 시나리오를 이해하는 것이 피하는 것보다 쉬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