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직후 전기·가스요금 인상…물가부담은 차기정부에?

입력
수정2021.12.27. 오후 9:31
기사원문
이상배 기자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전기와 가스요금이 대선 이후, 단계적으로 오릅니다. 전기 요금은 4인 가구 평균 월 1950원, 가스료는 4600원 인상이 전망됐습니다. 전기 등 공공요금은 한전이 발표하지만 기재부와 산업부 협의를 거쳐 결정되죠. 물가 부담을 차기 정부로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상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주일 전 서민물가 안정을 이유로 내년 1분기 공공요금을 동결 시킨 정부.

홍남기 / 경제부총리
"민생안정 측면에서 생활물가 안정에도 각별히 대응해 나가겠습니다.즉 내년도 물가가 올해보다 낮은 2.2% 수준에서…."

일주일 만에 전기와 가스요금 인상을 기습 발표했습니다.

전기료는 4월과 10월에 걸쳐 10.6%를 가스요금은 5,7,10월 3번에 나눠 16%가량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요금 인상으로 4인 가구 평균 전기요금은 월 1950원, 가스료는 4,600원이 오를 전망입니다.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는 "연료 가격 급등으로 요금 인상이 불가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민 부담을 늘리지 않기 위해 분산해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인상 시기가 내년 4월과 5월입니다.

공교롭게 내년 3월 대선 이후여서, 정치적 고려가 담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동욱 /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최소화했다는 노력을 보이고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올리고 그것이 정당한 것인데 그러한 모습 없이 넘기니까 그런 점에서 꼼수라고…."

현 정부가 물러나면, 국민들은 값비싼 에너지 요금 청구서를 받게 됐습니다.

TV조선 이상배입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