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톡QR체크인! 커피전문점 방문자명단양식 작성 대신 카톡 큐알코드 안심번호 사용방법
상황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일상 생활 속에서 시설 이용 시 방문자명단 출입자명단을 작성하고 있다. 가능하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은 피하고 여행이나 야외 활동도 최소화하고 있지만, 1년 넘게 이런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제는 어쩔 수 없는 이유로 사람이 모여 있는 곳을 출입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생일, 결혼, 제사 등 가족들이 모이는 가족 행사는 물론이고, 회사 생활도 온라인 자택근무 뿐 아니라 회사에 출근해야 하는 상황도 있다.
이렇게 일상 생활을 하다 보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방문할 때 출입자명단을 작성한다. 출입자명단 대신 보다 쉽고 안전하게 개인 정보를 남길 수 있도록 QR코드를 사용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 QR체크인 기능과 개인안심번호 기능 사용 방법을 소개한다.
관련 글 : 네이버 QR코드 체크인 방법과 음식점 노래방 방문시 핸드폰번호 대신 입장용 안심번호 만들기
개인 QR코드 체크인 기능은 네이버, 카카오톡, PASS 앱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 중 필자는 네이버 앱을 설치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 스마트폰 유저 중 많은 분들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카카오톡 QR체크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카카오톡 QR코드 체크인 및 안심번호 사용 기능은 카카오톡 실행 후 화면 아래쪽에 위치한 '#' 메뉴를 누른 후 화면 중간에 위치한 QR 체크인' 메뉴를 누르면 된다.
집합시설 출입을 위한 QR체크인 개인 정보 관련 동의 후 카카오톡 전화번호 인증 과정이 진행된다. 카톡 QR체크인 기능은 월 1회 사용자 전화번호 인증 과정을 진행한다.
개인 인증까지 완료하고 나면 위와 같이 출입자명단 작성 대신 사용 가능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QR체크인 코드가 생성된다. 15초 단위로 화면 갱신 되며, 화면 중간에 위치한 '개인안심번호'는 QR코드 관련 장비가 준비되지 않은 곳에 일반 전화번호 대신 개인안심번호를 장부 명단에 작성하면 된다.
카카오톡은 QR 체크인 기능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드폰을 2번 흔들면 QR코드가 자동 실행될 수 있는 'QR 체크인 쉐이크' 기능을 제공한다. QR체크인 화면 아래쪽 링크 메뉴를 누르면 위와 같이 QR 체크인 쉐이크 기능이 활성화/비활성화된다.
해당 기능을 켜 놓은 상태에서는 카카오톡 실행 후 핸드폰을 2번 흔들면 별도 메뉴 이동 없이 카톡 QR체크인 기능이 실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