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경상북도 방언
dbeh**** 조회수 4,248 작성일2011.05.11

경상북도 방언에 대해서 알으켜주세요

내공 30걸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7개 답변
7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pwn2901
시민

경상북도지역별 방언의 어휘

 

 

표준어

방언

대구, 경주 중심

안동, 의성 중심

상주, 선산 중심

 신

 체

칠곡, 경산 : 목

달성 : 모가지

군위 : 모가지

영천 : 목, 매간지, 매가지

봉호, 울진, 예천 : 목

안동, 영양 : 모가지, 목

의성 : 목, 모간지, 매간지

상주 : 모간지

선산 : 모가지, 목

금릉 : 모가지

문경 : 목

대가리

칠곡, 경산, 군위 : 대가리

달성 : 대갈빼기

영천 : 대가리, 대갈통, 대그빠리

봉호, 울진, 영천 : 대가리

예천 : 대갈빼기

안동 : 대가리, 댁빠리

의성 : 대가리, 대가빠리

상주 : 대가리, 대가빠리

선산, 금릉 : 대가리

문경 : 대가리, 대검빠리

혓바늘

성주, 군위, 영천 : 새빠널

칠곡 : 햇빠널

경산 : 셋빠널

달성 : 새빠널

울진, 영양, 의성 : 새빠널

봉화 : 새빠널, 햇빠널

예천 : 해빠널

안동 : 혀빠널

상주 : 시빠널

선산 : 시바널

금릉 : 싯빠널

문경 : 햇빠널

여드름

영일 : 이디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이더럼

청송 : 이드럼

봉호 : 이디러미

울진 : 이드럼

예천 : 이디래미, 이드래미

의성 : 여드럼

상주, 선산, 금릉 : 이드럼

문경 : 이대러미

콧구멍

칠곡 : 콧구무

경산 : 코꾸무, 꼬꾸냥

청송 : 코꾸냥

달성 : 코구녕, 코꾸무

고령 : 코귀녕

군위 : 코쿵기

영풍 : 코꾸무

봉화 : 코꿍개

울진 : 코궁개

안동 : 코꾸멍

영양 : 코꾸개, 코꾸무

의성 : 코구녕

상주 : 코꾸녕

선산 : 코꾸멍

금릉 : 코꾸녕

문경 : 코꾸무

 동

 작

식히-고

영일 : 시기고

성주, 칠곡, 경산, 청도 : 시쿠고

청송 : 시쿡코

달성 : 시쿠고

군위 : 시쿠코

안동, 봉화, 영풍, 영양 :

시키고

의성, 예천 : 시쿠코

울진 :시고고

문경, 선산, 금릉, 상주 :

시쿠코

붓-어서

상주, 군위 : 부우서

칠곡 : 부우가

영일, 경산, 월성, 청송 :

버어가

청도 : 버어서

달성 : 버어가주고

안동, 영풍, 봉화 : 부우서

의성, 울진, 영양 : 버어서

예천 : 부우가

상주, 문경 : 부어가지고

선산 : 부우서

 동

 작

숨기-어

성주, 청도, 고령 : 숭카

칠곡, 군위 : 숭기

경산 : 숭카, 감차, 가물리

월성 : 숭가

청송, 달성 : 숭개

영천 : 감차, 숭가라, 가물리

안동 : 감차

의성, 봉화, 영양 : 숭카

예천 : 감차

영풍 : 숭가, 갈무래

울진 : 슁개

상주 : 숭카

문경 : 숭기

선산 : 숭이

금릉 : 숭키

나누-어/

가르-어

영일, 경산, 군위 : 농가

성주, 칠곡, 고령 : 갈라

월성 : 노너, 농거

청송 : 농가, 갈라

영풍 : 갈라

울진, 의성, 안동 : 노내

영양 : 농가, 갈러

봉화 : 갈라, 노나

예천 : 노나

상주, 문경 : 노나

선산 : 농가, 농가서

금릉 : 갈라

쌓-고

영일, 경산, 청도 : 재고, 동개고

성주, 군위, 고령 : 재고

칠곡 : 싸코, 재이고

청송 : 재이고

영풍, 울진 : 재이고

의성 : 쌓고

봉화, 예천, 안동 : 재고

상주 : 동개고

선산 : 재고

금릉 : 재고, 개고

 음

 식

두부

영일 : 두부, 조포

칠곡 : 두부

경산 : 조피, 두부

청도, 청송 : 두부

달성 : 조푸

안동, 봉화, 울진 : 두부

의성 : 조포

예천 : 두비, 두부

영풍 : 두부, 석간장

영양 : 더부

상주 : 더부

문경 : 두부, 조포

선산, 금릉 : 두부

간장

영일 : 장물, 지랑

칠곡, 경산, 달성 : 지렁

청도 : 간장

청송 : 장물, 지랑

군위 : 장물, 지렁, 간장

고령 : 지렁, 지렁장

안동 : 장물, 간장, 기랑

의성 : 지렁물

예천, 영양 : 장물, 지랑

영풍, 울진, 봉화 : 장물

상주, 선산 : 지랑

문경 : 장물

금릉 : 장

오이지

영일, 월성 : 물왜지

달성 : 무리, 장애찌

고령 : 무리, 장앗찌

안동 : 물왜지

의성, 울진 : 물이지

영풍 : 물위지

문경 : 물이짠지

 음

 식

부추

영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정구지

달성 : 정구지, 소푸

안동 : 저욱지, 부추

의성, 영풍 : 정수지

예천 : 부추

봉화 : 분초, 정구지

울진 : 덩구지

영양 : 정고지

상주, 문경, 선산, 금릉 : 정구지

튀밥

영일 : 살튀밥

성주 : 티밥, 박상

칠곡 : 퀴배비

경산 : 티밥

월성, 청송, 달성 : 박상

군위 : 튀밥

안동, 예천, 영풍 : 티밥

의성 : 튀밥

봉화 : 살티밥

울진 : 티밥

상주 : 퇴배기, 박상

문경 : 티밥

선산 : 튀배비

금릉 : 쌀튀밥

 

경상북도지방의 방언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경상북도 방언은 단모음의 체계가 6모음체계로써 'ㅐ'와 'ㅔ', 'ㅡ'와 'ㅓ'가 비변별적이며 단모음 'ㅚ, ㅟ'도 없음으로 국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장과 성조가 변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의 분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자음중 'ㅅ과 ㅆ'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변별적인 특징을 가진다.

문법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가 특이한데 주격조사인 '-이가'가 실현되고 있으며 공동격조사는 '-하고'와 '-캉'이 있으며, 부정문에서는 짧은 형식의 부정문을 쓰는 점이 타지역과 달리 특이할만하다. 어휘부분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방언권의 구획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음식, 신체, 동작에 관한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지역의 음운체계를 보면 경주방언은 단모음 7개를 가지고 있었고 안동방언의 음소체계는 19자음체계에 /s/와 /s'/의 변별이 있으며, 6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상주방언은 6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우리가 속해있는 경상북도의 방언연구를 하였다.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방언을 분석해 보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방언연구에 있어서 어형의 변천문제나 어휘의 의미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실제 답사를 하지 않고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음식

부침개 - 찌짐

부추 - 정구지

사과 - 능금

장아찌 - 짠지

무 - 무시

멸치 - 메르치

냉이 - 날새이

김 - 짐

국수 - 국시

밀가루 - 밀가리

김치 - 짐치

고추 - 꼬치

 

음식에 관한 사투리들
간지메 : 통조림
개역 : 미숫가루
것 : 먹이
괴기 : 고기
바당괴기 : 바닷고기
돗괴기 : 돼지고기
쇠괴기 : 쇠고기
독괴기 : 닭고기
곤떡 : 쌀떡
곤밥 : 쌀밥
놈삐 : 무우
대사니 김치 : 마늘장아찌
마농 : 마늘 , 파
모몰 초배기 : 메밀 수제비
촐래 : 반찬
촘지금 : 참기름
짐치(짐끼) : 김치
촙쏠 : 찹쌀
조팝 : 조밥

 

 

001. 가자!

- 표준어로 '잘 가~'란 뜻입니다.


002. 욕 봤다.

- '수고했습니다.'란 뜻이예요.


003. ○○하라캐라~

- 예를 들면, 인사하라 캐라~. 정도? '인사 하라고 해.' 이런 뜻이예요.


004. 어꼬~ (어꼬와 으꼬 사이 정도의 발음...?)

- '아니~'란 뜻이예요.


005. 띵가먹지마래이.

- '떼어 먹지 마.' 정도? 그니까...... 음................... 돈 빌려가서 꼭 갚으란 뜻이예요.^ ^


006. 밥 뭇나?

- '밥 먹었니?'란 뜻이죠.


007. ○○해삐라~

- 예를 들면, 빨래 개삐라~. '빨래 개버려라.'라는 뜻이예요.


008. 보소, 보라카이.

- '이보세요' 이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009. 회목삭한 색.

- 연분홍색을 뜻해요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두부

조포

부침개

찌짐

메밀

미물, 메물

부추

정구지

수수

수끼

쌀밥

이밥

쇠고기

소고기

무말랭이

오그락지

무시

국수

국시

밀가루(가루)

밀가리(가리)

수제비

수지비

기름(참기름)

지름(참지름)

도라지

돌개

고추장

꼬장

콩나물

콩지름

메주

미주

 엿기름

 엿질금

 김치

짐치

 강냉이

 강내이

 모과

모개

 오이

 무리

 복숭아

복숭. 복상

달래

달내이

씀바귀

신내이

냉이

날새이

이퍼리

외, 참외

겉절이

지러지, 지래기

밀기울

밀지불

머루

멀구



 

 

 

이상 허무쩝쩝답변이었습니다~

하지만 꼭 채택해주시길..

2011.05.19.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eoy****
초수

경상북도지역별 방언의 어휘

 

 

표준어

방언

대구, 경주 중심

안동, 의성 중심

상주, 선산 중심

 신

 체

칠곡, 경산 : 목

달성 : 모가지

군위 : 모가지

영천 : 목, 매간지, 매가지

봉호, 울진, 예천 : 목

안동, 영양 : 모가지, 목

의성 : 목, 모간지, 매간지

상주 : 모간지

선산 : 모가지, 목

금릉 : 모가지

문경 : 목

대가리

칠곡, 경산, 군위 : 대가리

달성 : 대갈빼기

영천 : 대가리, 대갈통, 대그빠리

봉호, 울진, 영천 : 대가리

예천 : 대갈빼기

안동 : 대가리, 댁빠리

의성 : 대가리, 대가빠리

상주 : 대가리, 대가빠리

선산, 금릉 : 대가리

문경 : 대가리, 대검빠리

혓바늘

성주, 군위, 영천 : 새빠널

칠곡 : 햇빠널

경산 : 셋빠널

달성 : 새빠널

울진, 영양, 의성 : 새빠널

봉화 : 새빠널, 햇빠널

예천 : 해빠널

안동 : 혀빠널

상주 : 시빠널

선산 : 시바널

금릉 : 싯빠널

문경 : 햇빠널

여드름

영일 : 이디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이더럼

청송 : 이드럼

봉호 : 이디러미

울진 : 이드럼

예천 : 이디래미, 이드래미

의성 : 여드럼

상주, 선산, 금릉 : 이드럼

문경 : 이대러미

콧구멍

칠곡 : 콧구무

경산 : 코꾸무, 꼬꾸냥

청송 : 코꾸냥

달성 : 코구녕, 코꾸무

고령 : 코귀녕

군위 : 코쿵기

영풍 : 코꾸무

봉화 : 코꿍개

울진 : 코궁개

안동 : 코꾸멍

영양 : 코꾸개, 코꾸무

의성 : 코구녕

상주 : 코꾸녕

선산 : 코꾸멍

금릉 : 코꾸녕

문경 : 코꾸무

 동

 작

식히-고

영일 : 시기고

성주, 칠곡, 경산, 청도 : 시쿠고

청송 : 시쿡코

달성 : 시쿠고

군위 : 시쿠코

안동, 봉화, 영풍, 영양 :

시키고

의성, 예천 : 시쿠코

울진 :시고고

문경, 선산, 금릉, 상주 :

시쿠코

붓-어서

상주, 군위 : 부우서

칠곡 : 부우가

영일, 경산, 월성, 청송 :

버어가

청도 : 버어서

달성 : 버어가주고

안동, 영풍, 봉화 : 부우서

의성, 울진, 영양 : 버어서

예천 : 부우가

상주, 문경 : 부어가지고

선산 : 부우서

 동

 작

숨기-어

성주, 청도, 고령 : 숭카

칠곡, 군위 : 숭기

경산 : 숭카, 감차, 가물리

월성 : 숭가

청송, 달성 : 숭개

영천 : 감차, 숭가라, 가물리

안동 : 감차

의성, 봉화, 영양 : 숭카

예천 : 감차

영풍 : 숭가, 갈무래

울진 : 슁개

상주 : 숭카

문경 : 숭기

선산 : 숭이

금릉 : 숭키

나누-어/

가르-어

영일, 경산, 군위 : 농가

성주, 칠곡, 고령 : 갈라

월성 : 노너, 농거

청송 : 농가, 갈라

영풍 : 갈라

울진, 의성, 안동 : 노내

영양 : 농가, 갈러

봉화 : 갈라, 노나

예천 : 노나

상주, 문경 : 노나

선산 : 농가, 농가서

금릉 : 갈라

쌓-고

영일, 경산, 청도 : 재고, 동개고

성주, 군위, 고령 : 재고

칠곡 : 싸코, 재이고

청송 : 재이고

영풍, 울진 : 재이고

의성 : 쌓고

봉화, 예천, 안동 : 재고

상주 : 동개고

선산 : 재고

금릉 : 재고, 개고

 음

 식

두부

영일 : 두부, 조포

칠곡 : 두부

경산 : 조피, 두부

청도, 청송 : 두부

달성 : 조푸

안동, 봉화, 울진 : 두부

의성 : 조포

예천 : 두비, 두부

영풍 : 두부, 석간장

영양 : 더부

상주 : 더부

문경 : 두부, 조포

선산, 금릉 : 두부

간장

영일 : 장물, 지랑

칠곡, 경산, 달성 : 지렁

청도 : 간장

청송 : 장물, 지랑

군위 : 장물, 지렁, 간장

고령 : 지렁, 지렁장

안동 : 장물, 간장, 기랑

의성 : 지렁물

예천, 영양 : 장물, 지랑

영풍, 울진, 봉화 : 장물

상주, 선산 : 지랑

문경 : 장물

금릉 : 장

오이지

영일, 월성 : 물왜지

달성 : 무리, 장애찌

고령 : 무리, 장앗찌

안동 : 물왜지

의성, 울진 : 물이지

영풍 : 물위지

문경 : 물이짠지

 음

 식

부추

영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정구지

달성 : 정구지, 소푸

안동 : 저욱지, 부추

의성, 영풍 : 정수지

예천 : 부추

봉화 : 분초, 정구지

울진 : 덩구지

영양 : 정고지

상주, 문경, 선산, 금릉 : 정구지

튀밥

영일 : 살튀밥

성주 : 티밥, 박상

칠곡 : 퀴배비

경산 : 티밥

월성, 청송, 달성 : 박상

군위 : 튀밥

안동, 예천, 영풍 : 티밥

의성 : 튀밥

봉화 : 살티밥

울진 : 티밥

상주 : 퇴배기, 박상

문경 : 티밥

선산 : 튀배비

금릉 : 쌀튀밥

 

경상북도지방의 방언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경상북도 방언은 단모음의 체계가 6모음체계로써 'ㅐ'와 'ㅔ', 'ㅡ'와 'ㅓ'가 비변별적이며 단모음 'ㅚ, ㅟ'도 없음으로 국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장과 성조가 변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의 분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자음중 'ㅅ과 ㅆ'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변별적인 특징을 가진다.

문법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가 특이한데 주격조사인 '-이가'가 실현되고 있으며 공동격조사는 '-하고'와 '-캉'이 있으며, 부정문에서는 짧은 형식의 부정문을 쓰는 점이 타지역과 달리 특이할만하다. 어휘부분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방언권의 구획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음식, 신체, 동작에 관한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지역의 음운체계를 보면 경주방언은 단모음 7개를 가지고 있었고 안동방언의 음소체계는 19자음체계에 /s/와 /s'/의 변별이 있으며, 6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상주방언은 6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우리가 속해있는 경상북도의 방언연구를 하였다.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방언을 분석해 보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방언연구에 있어서 어형의 변천문제나 어휘의 의미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실제 답사를 하지 않고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yu.ac.kr/~koredu/webzine8/hak1.htm

2011.05.15.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k****
시민

경상북도지역별 방언의 어휘

 

 

표준어

방언

대구, 경주 중심

안동, 의성 중심

상주, 선산 중심

 신

 체

칠곡, 경산 : 목

달성 : 모가지

군위 : 모가지

영천 : 목, 매간지, 매가지

봉호, 울진, 예천 : 목

안동, 영양 : 모가지, 목

의성 : 목, 모간지, 매간지

상주 : 모간지

선산 : 모가지, 목

금릉 : 모가지

문경 : 목

대가리

칠곡, 경산, 군위 : 대가리

달성 : 대갈빼기

영천 : 대가리, 대갈통, 대그빠리

봉호, 울진, 영천 : 대가리

예천 : 대갈빼기

안동 : 대가리, 댁빠리

의성 : 대가리, 대가빠리

상주 : 대가리, 대가빠리

선산, 금릉 : 대가리

문경 : 대가리, 대검빠리

혓바늘

성주, 군위, 영천 : 새빠널

칠곡 : 햇빠널

경산 : 셋빠널

달성 : 새빠널

울진, 영양, 의성 : 새빠널

봉화 : 새빠널, 햇빠널

예천 : 해빠널

안동 : 혀빠널

상주 : 시빠널

선산 : 시바널

금릉 : 싯빠널

문경 : 햇빠널

여드름

영일 : 이디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이더럼

청송 : 이드럼

봉호 : 이디러미

울진 : 이드럼

예천 : 이디래미, 이드래미

의성 : 여드럼

상주, 선산, 금릉 : 이드럼

문경 : 이대러미

콧구멍

칠곡 : 콧구무

경산 : 코꾸무, 꼬꾸냥

청송 : 코꾸냥

달성 : 코구녕, 코꾸무

고령 : 코귀녕

군위 : 코쿵기

영풍 : 코꾸무

봉화 : 코꿍개

울진 : 코궁개

안동 : 코꾸멍

영양 : 코꾸개, 코꾸무

의성 : 코구녕

상주 : 코꾸녕

선산 : 코꾸멍

금릉 : 코꾸녕

문경 : 코꾸무

 동

 작

식히-고

영일 : 시기고

성주, 칠곡, 경산, 청도 : 시쿠고

청송 : 시쿡코

달성 : 시쿠고

군위 : 시쿠코

안동, 봉화, 영풍, 영양 :

시키고

의성, 예천 : 시쿠코

울진 :시고고

문경, 선산, 금릉, 상주 :

시쿠코

붓-어서

상주, 군위 : 부우서

칠곡 : 부우가

영일, 경산, 월성, 청송 :

버어가

청도 : 버어서

달성 : 버어가주고

안동, 영풍, 봉화 : 부우서

의성, 울진, 영양 : 버어서

예천 : 부우가

상주, 문경 : 부어가지고

선산 : 부우서

 동

 작

숨기-어

성주, 청도, 고령 : 숭카

칠곡, 군위 : 숭기

경산 : 숭카, 감차, 가물리

월성 : 숭가

청송, 달성 : 숭개

영천 : 감차, 숭가라, 가물리

안동 : 감차

의성, 봉화, 영양 : 숭카

예천 : 감차

영풍 : 숭가, 갈무래

울진 : 슁개

상주 : 숭카

문경 : 숭기

선산 : 숭이

금릉 : 숭키

나누-어/

가르-어

영일, 경산, 군위 : 농가

성주, 칠곡, 고령 : 갈라

월성 : 노너, 농거

청송 : 농가, 갈라

영풍 : 갈라

울진, 의성, 안동 : 노내

영양 : 농가, 갈러

봉화 : 갈라, 노나

예천 : 노나

상주, 문경 : 노나

선산 : 농가, 농가서

금릉 : 갈라

쌓-고

영일, 경산, 청도 : 재고, 동개고

성주, 군위, 고령 : 재고

칠곡 : 싸코, 재이고

청송 : 재이고

영풍, 울진 : 재이고

의성 : 쌓고

봉화, 예천, 안동 : 재고

상주 : 동개고

선산 : 재고

금릉 : 재고, 개고

 음

 식

두부

영일 : 두부, 조포

칠곡 : 두부

경산 : 조피, 두부

청도, 청송 : 두부

달성 : 조푸

안동, 봉화, 울진 : 두부

의성 : 조포

예천 : 두비, 두부

영풍 : 두부, 석간장

영양 : 더부

상주 : 더부

문경 : 두부, 조포

선산, 금릉 : 두부

간장

영일 : 장물, 지랑

칠곡, 경산, 달성 : 지렁

청도 : 간장

청송 : 장물, 지랑

군위 : 장물, 지렁, 간장

고령 : 지렁, 지렁장

안동 : 장물, 간장, 기랑

의성 : 지렁물

예천, 영양 : 장물, 지랑

영풍, 울진, 봉화 : 장물

상주, 선산 : 지랑

문경 : 장물

금릉 : 장

오이지

영일, 월성 : 물왜지

달성 : 무리, 장애찌

고령 : 무리, 장앗찌

안동 : 물왜지

의성, 울진 : 물이지

영풍 : 물위지

문경 : 물이짠지

 음

 식

부추

영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정구지

달성 : 정구지, 소푸

안동 : 저욱지, 부추

의성, 영풍 : 정수지

예천 : 부추

봉화 : 분초, 정구지

울진 : 덩구지

영양 : 정고지

상주, 문경, 선산, 금릉 : 정구지

튀밥

영일 : 살튀밥

성주 : 티밥, 박상

칠곡 : 퀴배비

경산 : 티밥

월성, 청송, 달성 : 박상

군위 : 튀밥

안동, 예천, 영풍 : 티밥

의성 : 튀밥

봉화 : 살티밥

울진 : 티밥

상주 : 퇴배기, 박상

문경 : 티밥

선산 : 튀배비

금릉 : 쌀튀밥

 

경상북도지방의 방언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경상북도 방언은 단모음의 체계가 6모음체계로써 'ㅐ'와 'ㅔ', 'ㅡ'와 'ㅓ'가 비변별적이며 단모음 'ㅚ, ㅟ'도 없음으로 국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장과 성조가 변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의 분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자음중 'ㅅ과 ㅆ'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변별적인 특징을 가진다.

문법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가 특이한데 주격조사인 '-이가'가 실현되고 있으며 공동격조사는 '-하고'와 '-캉'이 있으며, 부정문에서는 짧은 형식의 부정문을 쓰는 점이 타지역과 달리 특이할만하다. 어휘부분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방언권의 구획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음식, 신체, 동작에 관한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지역의 음운체계를 보면 경주방언은 단모음 7개를 가지고 있었고 안동방언의 음소체계는 19자음체계에 /s/와 /s'/의 변별이 있으며, 6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상주방언은 6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우리가 속해있는 경상북도의 방언연구를 하였다.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방언을 분석해 보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방언연구에 있어서 어형의 변천문제나 어휘의 의미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실제 답사를 하지 않고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yu.ac.kr/~koredu/webzine8/hak1.htm

2011.05.17.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tmdr****
평민

표준어

방언

대구, 경주 중심

안동, 의성 중심

상주, 선산 중심

 신

 체

칠곡, 경산 : 목

달성 : 모가지

군위 : 모가지

영천 : 목, 매간지, 매가지

봉호, 울진, 예천 : 목

안동, 영양 : 모가지, 목

의성 : 목, 모간지, 매간지

상주 : 모간지

선산 : 모가지, 목

금릉 : 모가지

문경 : 목

대가리

칠곡, 경산, 군위 : 대가리

달성 : 대갈빼기

영천 : 대가리, 대갈통, 대그빠리

봉호, 울진, 영천 : 대가리

예천 : 대갈빼기

안동 : 대가리, 댁빠리

의성 : 대가리, 대가빠리

상주 : 대가리, 대가빠리

선산, 금릉 : 대가리

문경 : 대가리, 대검빠리

혓바늘

성주, 군위, 영천 : 새빠널

칠곡 : 햇빠널

경산 : 셋빠널

달성 : 새빠널

울진, 영양, 의성 : 새빠널

봉화 : 새빠널, 햇빠널

예천 : 해빠널

안동 : 혀빠널

상주 : 시빠널

선산 : 시바널

금릉 : 싯빠널

문경 : 햇빠널

여드름

영일 : 이디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이더럼

청송 : 이드럼

봉호 : 이디러미

울진 : 이드럼

예천 : 이디래미, 이드래미

의성 : 여드럼

상주, 선산, 금릉 : 이드럼

문경 : 이대러미

콧구멍

칠곡 : 콧구무

경산 : 코꾸무, 꼬꾸냥

청송 : 코꾸냥

달성 : 코구녕, 코꾸무

고령 : 코귀녕

군위 : 코쿵기

영풍 : 코꾸무

봉화 : 코꿍개

울진 : 코궁개

안동 : 코꾸멍

영양 : 코꾸개, 코꾸무

의성 : 코구녕

상주 : 코꾸녕

선산 : 코꾸멍

금릉 : 코꾸녕

문경 : 코꾸무

 동

 작

식히-고

영일 : 시기고

성주, 칠곡, 경산, 청도 : 시쿠고

청송 : 시쿡코

달성 : 시쿠고

군위 : 시쿠코

안동, 봉화, 영풍, 영양 :

시키고

의성, 예천 : 시쿠코

울진 :시고고

문경, 선산, 금릉, 상주 :

시쿠코

붓-어서

상주, 군위 : 부우서

칠곡 : 부우가

영일, 경산, 월성, 청송 :

버어가

청도 : 버어서

달성 : 버어가주고

안동, 영풍, 봉화 : 부우서

의성, 울진, 영양 : 버어서

예천 : 부우가

상주, 문경 : 부어가지고

선산 : 부우서

 동

 작

숨기-어

성주, 청도, 고령 : 숭카

칠곡, 군위 : 숭기

경산 : 숭카, 감차, 가물리

월성 : 숭가

청송, 달성 : 숭개

영천 : 감차, 숭가라, 가물리

안동 : 감차

의성, 봉화, 영양 : 숭카

예천 : 감차

영풍 : 숭가, 갈무래

울진 : 슁개

상주 : 숭카

문경 : 숭기

선산 : 숭이

금릉 : 숭키

나누-어/

가르-어

영일, 경산, 군위 : 농가

성주, 칠곡, 고령 : 갈라

월성 : 노너, 농거

청송 : 농가, 갈라

영풍 : 갈라

울진, 의성, 안동 : 노내

영양 : 농가, 갈러

봉화 : 갈라, 노나

예천 : 노나

상주, 문경 : 노나

선산 : 농가, 농가서

금릉 : 갈라

쌓-고

영일, 경산, 청도 : 재고, 동개고

성주, 군위, 고령 : 재고

칠곡 : 싸코, 재이고

청송 : 재이고

영풍, 울진 : 재이고

의성 : 쌓고

봉화, 예천, 안동 : 재고

상주 : 동개고

선산 : 재고

금릉 : 재고, 개고

 음

 식

두부

영일 : 두부, 조포

칠곡 : 두부

경산 : 조피, 두부

청도, 청송 : 두부

달성 : 조푸

안동, 봉화, 울진 : 두부

의성 : 조포

예천 : 두비, 두부

영풍 : 두부, 석간장

영양 : 더부

상주 : 더부

문경 : 두부, 조포

선산, 금릉 : 두부

간장

영일 : 장물, 지랑

칠곡, 경산, 달성 : 지렁

청도 : 간장

청송 : 장물, 지랑

군위 : 장물, 지렁, 간장

고령 : 지렁, 지렁장

안동 : 장물, 간장, 기랑

의성 : 지렁물

예천, 영양 : 장물, 지랑

영풍, 울진, 봉화 : 장물

상주, 선산 : 지랑

문경 : 장물

금릉 : 장

오이지

영일, 월성 : 물왜지

달성 : 무리, 장애찌

고령 : 무리, 장앗찌

안동 : 물왜지

의성, 울진 : 물이지

영풍 : 물위지

문경 : 물이짠지

 음

 식

부추

영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정구지

달성 : 정구지, 소푸

안동 : 저욱지, 부추

의성, 영풍 : 정수지

예천 : 부추

봉화 : 분초, 정구지

울진 : 덩구지

영양 : 정고지

상주, 문경, 선산, 금릉 : 정구지

튀밥

영일 : 살튀밥

성주 : 티밥, 박상

칠곡 : 퀴배비

경산 : 티밥

월성, 청송, 달성 : 박상

군위 : 튀밥

안동, 예천, 영풍 : 티밥

의성 : 튀밥

봉화 : 살티밥

울진 : 티밥

상주 : 퇴배기, 박상

문경 : 티밥

선산 : 튀배비

금릉 : 쌀튀밥

 

경상북도지방의 방언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경상북도 방언은 단모음의 체계가 6모음체계로써 'ㅐ'와 'ㅔ', 'ㅡ'와 'ㅓ'가 비변별적이며 단모음 'ㅚ, ㅟ'도 없음으로 국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장과 성조가 변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의 분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자음중 'ㅅ과 ㅆ'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변별적인 특징을 가진다.

문법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가 특이한데 주격조사인 '-이가'가 실현되고 있으며 공동격조사는 '-하고'와 '-캉'이 있으며, 부정문에서는 짧은 형식의 부정문을 쓰는 점이 타지역과 달리 특이할만하다. 어휘부분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방언권의 구획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음식, 신체, 동작에 관한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지역의 음운체계를 보면 경주방언은 단모음 7개를 가지고 있었고 안동방언의 음소체계는 19자음체계에 /s/와 /s'/의 변별이 있으며, 6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상주방언은 6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우리가 속해있는 경상북도의 방언연구를 하였다.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방언을 분석해 보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방언연구에 있어서 어형의 변천문제나 어휘의 의미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실제 답사를 하지 않고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2011.05.17.

6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lwn****
시민

경상북도지역별 방언의 어휘

 

 

표준어

방언

대구, 경주 중심

안동, 의성 중심

상주, 선산 중심

 신

 체

칠곡, 경산 : 목

달성 : 모가지

군위 : 모가지

영천 : 목, 매간지, 매가지

봉호, 울진, 예천 : 목

안동, 영양 : 모가지, 목

의성 : 목, 모간지, 매간지

상주 : 모간지

선산 : 모가지, 목

금릉 : 모가지

문경 : 목

대가리

칠곡, 경산, 군위 : 대가리

달성 : 대갈빼기

영천 : 대가리, 대갈통, 대그빠리

봉호, 울진, 영천 : 대가리

예천 : 대갈빼기

안동 : 대가리, 댁빠리

의성 : 대가리, 대가빠리

상주 : 대가리, 대가빠리

선산, 금릉 : 대가리

문경 : 대가리, 대검빠리

혓바늘

성주, 군위, 영천 : 새빠널

칠곡 : 햇빠널

경산 : 셋빠널

달성 : 새빠널

울진, 영양, 의성 : 새빠널

봉화 : 새빠널, 햇빠널

예천 : 해빠널

안동 : 혀빠널

상주 : 시빠널

선산 : 시바널

금릉 : 싯빠널

문경 : 햇빠널

여드름

영일 : 이디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이더럼

청송 : 이드럼

봉호 : 이디러미

울진 : 이드럼

예천 : 이디래미, 이드래미

의성 : 여드럼

상주, 선산, 금릉 : 이드럼

문경 : 이대러미

콧구멍

칠곡 : 콧구무

경산 : 코꾸무, 꼬꾸냥

청송 : 코꾸냥

달성 : 코구녕, 코꾸무

고령 : 코귀녕

군위 : 코쿵기

영풍 : 코꾸무

봉화 : 코꿍개

울진 : 코궁개

안동 : 코꾸멍

영양 : 코꾸개, 코꾸무

의성 : 코구녕

상주 : 코꾸녕

선산 : 코꾸멍

금릉 : 코꾸녕

문경 : 코꾸무

 동

 작

식히-고

영일 : 시기고

성주, 칠곡, 경산, 청도 : 시쿠고

청송 : 시쿡코

달성 : 시쿠고

군위 : 시쿠코

안동, 봉화, 영풍, 영양 :

시키고

의성, 예천 : 시쿠코

울진 :시고고

문경, 선산, 금릉, 상주 :

시쿠코

붓-어서

상주, 군위 : 부우서

칠곡 : 부우가

영일, 경산, 월성, 청송 :

버어가

청도 : 버어서

달성 : 버어가주고

안동, 영풍, 봉화 : 부우서

의성, 울진, 영양 : 버어서

예천 : 부우가

상주, 문경 : 부어가지고

선산 : 부우서

 동

 작

숨기-어

성주, 청도, 고령 : 숭카

칠곡, 군위 : 숭기

경산 : 숭카, 감차, 가물리

월성 : 숭가

청송, 달성 : 숭개

영천 : 감차, 숭가라, 가물리

안동 : 감차

의성, 봉화, 영양 : 숭카

예천 : 감차

영풍 : 숭가, 갈무래

울진 : 슁개

상주 : 숭카

문경 : 숭기

선산 : 숭이

금릉 : 숭키

나누-어/

가르-어

영일, 경산, 군위 : 농가

성주, 칠곡, 고령 : 갈라

월성 : 노너, 농거

청송 : 농가, 갈라

영풍 : 갈라

울진, 의성, 안동 : 노내

영양 : 농가, 갈러

봉화 : 갈라, 노나

예천 : 노나

상주, 문경 : 노나

선산 : 농가, 농가서

금릉 : 갈라

쌓-고

영일, 경산, 청도 : 재고, 동개고

성주, 군위, 고령 : 재고

칠곡 : 싸코, 재이고

청송 : 재이고

영풍, 울진 : 재이고

의성 : 쌓고

봉화, 예천, 안동 : 재고

상주 : 동개고

선산 : 재고

금릉 : 재고, 개고

 음

 식

두부

영일 : 두부, 조포

칠곡 : 두부

경산 : 조피, 두부

청도, 청송 : 두부

달성 : 조푸

안동, 봉화, 울진 : 두부

의성 : 조포

예천 : 두비, 두부

영풍 : 두부, 석간장

영양 : 더부

상주 : 더부

문경 : 두부, 조포

선산, 금릉 : 두부

간장

영일 : 장물, 지랑

칠곡, 경산, 달성 : 지렁

청도 : 간장

청송 : 장물, 지랑

군위 : 장물, 지렁, 간장

고령 : 지렁, 지렁장

안동 : 장물, 간장, 기랑

의성 : 지렁물

예천, 영양 : 장물, 지랑

영풍, 울진, 봉화 : 장물

상주, 선산 : 지랑

문경 : 장물

금릉 : 장

오이지

영일, 월성 : 물왜지

달성 : 무리, 장애찌

고령 : 무리, 장앗찌

안동 : 물왜지

의성, 울진 : 물이지

영풍 : 물위지

문경 : 물이짠지

 음

 식

부추

영일, 성주, 칠곡, 경산, 군위   : 정구지

달성 : 정구지, 소푸

안동 : 저욱지, 부추

의성, 영풍 : 정수지

예천 : 부추

봉화 : 분초, 정구지

울진 : 덩구지

영양 : 정고지

상주, 문경, 선산, 금릉 : 정구지

튀밥

영일 : 살튀밥

성주 : 티밥, 박상

칠곡 : 퀴배비

경산 : 티밥

월성, 청송, 달성 : 박상

군위 : 튀밥

안동, 예천, 영풍 : 티밥

의성 : 튀밥

봉화 : 살티밥

울진 : 티밥

상주 : 퇴배기, 박상

문경 : 티밥

선산 : 튀배비

금릉 : 쌀튀밥

 

경상북도지방의 방언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경상북도 방언은 단모음의 체계가 6모음체계로써 'ㅐ'와 'ㅔ', 'ㅡ'와 'ㅓ'가 비변별적이며 단모음 'ㅚ, ㅟ'도 없음으로 국어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음장과 성조가 변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의 분화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또한 자음중 'ㅅ과 ㅆ'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변별적인 특징을 가진다.

문법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가 특이한데 주격조사인 '-이가'가 실현되고 있으며 공동격조사는 '-하고'와 '-캉'이 있으며, 부정문에서는 짧은 형식의 부정문을 쓰는 점이 타지역과 달리 특이할만하다. 어휘부분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방언권의 구획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음식, 신체, 동작에 관한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지역의 음운체계를 보면 경주방언은 단모음 7개를 가지고 있었고 안동방언의 음소체계는 19자음체계에 /s/와 /s'/의 변별이 있으며, 6모음체계를 이루고 있다. 상주방언은 6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으로 우리가 속해있는 경상북도의 방언연구를 하였다.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방언을 분석해 보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그러나 방언연구에 있어서 어형의 변천문제나 어휘의 의미변화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실제 답사를 하지 않고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yu.ac.kr/~koredu/webzine8/hak1.htm

201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