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ost-phinf.pstatic.net/MjAxNzAyMTBfMjYg/MDAxNDg2NzE1MDE0OTI5.fICP5IpgTra5BQz6H3IRaGm03CpCKRU8lU7whF2rTRYg.KPTLUO1AYtpFWJwo-_eyo94oM3lBpNUZUB6sfWQnM7Ag.JPEG/main00.jpg?type=w1200)
■ 시작하며...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 휴대 기기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이동이 잦은 학생이나 회사원들에게는 뗄레야 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특수 목적을 가진 일부 기기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사용 지속성"과 "휴대성"에 신경을 쓰기 마련인데, 이와 가장 밀접한 요소로 제품의 두께, 무게, 배터리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올 2017년에 출시된 LG전자의 울트라북 브랜드 LG 그램은 최저 830g의 무게에 맞춰 출시된 초경량형 그램, 60Wh 수준의 7,800mAh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배터리를 탑재한 올데이 그램(별칭)으로 출시되어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선택 폭과, 그를 충족시키는 성능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LG 그램 13 리뷰 링크)
리뷰에서 다룬 벤치마크 테스트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끌었던 것은 단연 배터리 시간으로, 플레이웨어즈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PCMark8의 배터리 라이프 테스트에서 화면 밝기 100%(337nit) / Wi-Fi ON 상태로 약 8시간 40분이 측정되어, 전세대 모델은 물론 최근 노트북 제품들과도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일반적인 노트북 대비 3~4배에 달하는 인상적인 배터리 시간이 도출되었음과는 별개로, 벤치마크 툴을 활용한 배터리 시간과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배터리 시간을 직접적으로 대조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따라서 플레이웨어즈에서는 LG 그램 2017의 6개 모델을 준비하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실질적인 배터리 시간을 측정해보기로 하였습니다.
■ 테스트 환경 및 기준
본 테스트에 사용된 LG 그램 6대의 간단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4GB 또는 8GB 싱글 채널 메모리 구성이지만, LG 그램 전모델이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이 가능한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체적으로 그램13과 그램14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제외하면 동일한 사양이며, 그램15는 디스플레이 크기 및 프로세서, 메모리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크기별로 초경량 / 올데이의 스펙 차이는 없으나 배터리에서 약 73% 가량의 차이를 보입니다.
각 테스트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실제 24시간의 기준이 되었던 Mobilemark 2007 프로그램은 현재 구입 및 대여가 불가능한 관계로, 본 테스트에서는 제외되었으며... 동영상의 경우, 재생에 사용된 영상 소스 및 플레이어, 볼륨값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LG 측정 기준과 동일하게 맞출 수 없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720P 동영상 재생 (1) : 밝기 100nit / Wi-Fi Off / 볼륨 50%
※ 720P 동영상 재생 (2) : 밝기 75% / Wi-Fi On / 볼륨 50%
※ 1080P 동영상 재생 (1) : 밝기 100nit / Wi-Fi Off / 볼륨 50%
※ 1080P 동영상 재생 (2) : 밝기 75% / Wi-Fi On / 볼륨 50%
- 다음 팟플레이어 1.6.63891 하드웨어 가속(DXVA) 사용
※ PCMark8 : 밝기 100% / Wi-Fi On (플레이웨어즈 노트북 리뷰 측정 기준)
※ Mobilemark 2014 (1) : 밝기 150nit / Wi-Fi On / Office Productivity 시나리오 (LG 측정 기준)
※ Mobilemark 2014 (2) : 밝기 100% / Wi-Fi On / Office Productivity 시나리오
각 nit값에 대응하는 Windows 10 디스플레이 밝기 값(%)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참고로, LG 그램에는 LG Power Manager라는 전원 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Windows OS의 "전원 옵션"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제어판에 들어가지 않고도 손쉽게 전원 옵션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주며, LG 초절전 모드와 같은 별도의 전원 옵션도 제공합니다.
기본값은 대개 "LG 권장"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Windows 제어판에서 확인하면 "LG 최적화"로 표기됩니다.
다만, 이 옵션은 말 그대로 "최적화"된 옵션으로 오랜 배터리 지속을 위해서 프로세서(CPU)나 무선 어댑터 등의 사용량에 영향을 끼치며, 결과적으로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플레이웨어즈에서는 아래와 같이 전원 옵션을 "균형 조정"으로 통일하고, 디스플레이 끄기 및 밝기, 절전 모드, 하드 디스크 끄기, 배터리 절약 모드 등 테스트에 영향을 미칠 만한 요소들을 전부 배제한 상태로 설정한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예외적으로... BAPCo사의 모바일마크 2014는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에서 자동 생성한 전원 옵션(BAPCo MobileMark 2014)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 변경 없이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측정 시 동일한 제품군 3대(ex: 초경량 그램 13, 14, 15)를 그룹화하여 동시에 진행하였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캠코더를 사용하여 테스트 과정을 녹화하였습니다. 녹화된 테스트 영상을 통해 노트북의 전원이 완전히 꺼지는 시점을 확인하는 것으로 배터리 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아래는 실제 배터리 테스트 진행 도중의 사진입니다.
또한, 배터리 테스트 진행 과정을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1,600배의 가속을 적용한 동영상을 제작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테스트 결과
테스트 결과에 앞서, 플레이웨어즈의 측정 방법 및 결과가 모든 환경을 대변할 수 없는 점 반드시 감안하시기 바라며... 아래 테스트 결과는 단순한 참고 용도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LG전자에서 공개한 LG 그램 올데이 모델의 배터리 측정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측정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플레이웨어즈에서 정의한 기준의 배터리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산출된 숫자는 실제 측정 시간(시:분:초)을 초 단위로 변환한 뒤, 3600으로 나누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한 값입니다.
ex: 18시간 3분 8초 = 64988초 = 64988÷3600 = 18.052222... ≒ 18.1시간
테스트 결과는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겠는데... 우선 초경량과 올데이는 평균적으로 66% 가량의 시간 차이를 보였고, 가장 짧은 시간을 보인 것은 1080P 동영상 재생 (2) 및 PCMark 8이었으며, 가장 긴 시간을 보인 것은 Mobilemark 2014 (1)로 확인되었습니다.
웹브라우징, 3D 구동, 문서 및 사진 편집 등 다양한 작업으로 진행되는 PCMark 8과 밝기 75%의 1080P 동영상 재생 (2)는 대개 거의 비슷한 시간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최소한의 제약으로 완충된 노트북을 연속 사용할 수 있는 마지노선" 격의 배터리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테스트에는 여러 가지의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LG전자의 기준과 완벽히 맞출 수는 없었고, 그에 따라 LG전자의 배터리 시간과는 확실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디스플레이의 크기, 소스의 해상도 및 밝기, Wi-Fi 구동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명백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동영상 재생 기준으로 밝기를 20~25% 가량 줄이는 것과 Wi-Fi 온/오프를 통해 1시간 안팎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엇보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Mobilemark 2014의 결과로, LG전자의 기준과 동일한 상태에서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배터리 시간이 측정되었습니다. 싱글채널 메모리 탑재 기준이긴 하나, 소비자들에게 제시된 값과 큰 차이 없는 배터리 시간을 보였다는 점에서 상당히 인상적인 부분으로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사용자의 노트북 운용에 따라서는 별도의 충전 없이 실제로 24시간에 달하는 사용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 마치며...
약 2주 간에 걸친 배터리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LG 그램은, 동급의 슬림형 노트북 또는 울트라북 제품들보다 월등히 우수한 배터리 성능을 보이면서 실사용 시 높은 지속성을 제공할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올데이 그램은 밝기 75% 외에 별다른 기능 및 작업의 제한 없이 8시간 이상의 최저 동작 시간을 보장하겠으며, 밝기 50% 및 문서 작업 기준으로 15~18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이 잦거나 충전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도 부담없이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초경량 그램의 경우에도 PCMark8과 같은 고부하 작업에서 5시간 이상의 최저 동작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밝기 50% 및 문서 작업이라면 10시간 내외로 사용 가능하므로 초경량이라는 이점까지 감안했을 때 충분한 메리트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
휴대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품의 두께와 무게를 줄이게 되면 필연적으로 배터리 크기 및 용량이 줄어들기 마련이었지만, LG 그램은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배터리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이 문제를 확실히 개선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러한 사항을 직접적으로 좀 더 명확히 확인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테스트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레이웨어즈의 측정 방법 및 결과가 모든 환경을 대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각자의 활용 패턴에 맞추어 참고 용도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로딩중](https://ssl.pstatic.net/static.post/image/m/im/loader.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