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정보기관, 코로나19 발원지 알고 있었다"

입력
기사원문
조성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英 텔레그래프 "정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발원지로 주목" / 호주 언론도 "'파이브 아이즈', 中의 코로나19 은폐 정보 보유"

미국과 영국 등 서방 5개국 정보기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실제 규모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등 발원지를 추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뿐 아니라 영국 등이 정보기관을 통해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은폐한 정황을 입수하고도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영국 정보기관 MI6의 전직 고위 관리를 인용해 “영국 정보기관은 코로나19 초기 중국 정부의 주장을 믿지 말고, 중국에서 나오는 정보는 의심해야 한다고 보고했다”면서 “MI6는 실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 관리는 “당시 정부는 중국 내 실제 코로나19 감염 현황을 모두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출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를 지난달 17일 촬영한 항공 사진. 우한=AFP연합뉴스
외신에 따르면 영국 정보기관은 중국 정부가 야생동물 도축시장이 있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코로나19가 발생했다고 한 주장을 의심했고, 실제로는 이 시장 근처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를 발원지로 주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 연구소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실험이 진행됐으며 바이러스가 연구소 밖으로 유출됐다는 ‘우한연구소 유출설’도 올해 초부터 서방의 정보당국을 중심으로 공유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월23일 “전 세계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에 이어 1월28일 “중국이 정보를 은폐하고 있다”는 사실도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유사한 보고를 받았지만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고 텔레그래프는 지적했다. 호주의 한 언론은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로 이뤄진 기밀정보 공유동맹인 ‘파이브 아이즈’가 중국이 지난해 12월 초부터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은폐했다는 정보를 당시 보유했었다고 관련 문건을 들어 주장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중국은 당시 사람 간 전염에 대한 증거를 확인하고도 이를 올해 1월20일까지 부인했다.

미 국토안보부(DHS)는 지난 1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지도자들이 지난 1월초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심각성을 의도적으로 숨겼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코로나19의 전염성을 보고하는 일을 1월 말까지 미뤘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이 기간 의료장비 수입을 늘리고 수출을 줄이는 등 마스크와 수술용 가운 등을 확보했다고 DHS는 지적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워싱턴=AP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ABC방송에 출연해 “중국은 (코로나19를) 숨기려고 시도하며 권위주의 정권이 하는 것처럼 행동했다”며 “우리는 그들의 책임을 물을 것이며 우리 자신의 시간표에 따라 실행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4일 사평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아무런 증거를 제시하지 않고 코로나19 중국 발원설을 반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