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지역 최초 e스포츠 경기장, 광주e스포츠경기장 탐방기
반갑습니다. Periodista 입니다. 2020년 12월에 개관식을 하면서 e스포츠 팬 여러분께 인사를 드렸던 광주e스포츠경기장에 다녀왔습니다. 그 동안 광주e스포츠경기장에 대해 모르셨던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다녀왔습니다. 과연, 광주e스포츠경기장은 어떤 모습일까요?
사전 공지
본 콘텐츠는 광주e스포츠경기장 소개를 목적으로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도움으로 제작했습니다. 일전에 소개드렸던 부산e스포츠경기장 ‘BRENA 투어’ 는 일반인 대상으로 사전 신청을 받은 후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단체 투어를 하는 것과 달리 이번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는 개인 투어로 진행했습니다. 참고로, 전라남도 & 광주광역시 외 지역민을 대상으로 투어를 진행한 것은 제가 처음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투어 프로그램이 막 나온 상황입니다. 투어 프로그램은 연령대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립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 신청 방법
광주e스포츠경기장은 부산e스포츠경기장처럼 홈페이지가 따로 없습니다. 투어 신청은 재단법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따로 폼으로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에서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 프로그램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위치
광주e스포츠경기장 위치는 조선대학교 해오름관에 있습니다. 위치상으로는 고속철도역인 광주송정역보다 일반 철도역인 광주역 혹은 광주 종합버스터미널에 가까운 편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맞는다면 광주송정역과 광주역 사이를 오가는 셔틀 열차를 이용하고 다른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하는군요.
조선대학교 해오름관 외관
조선대 해오름관으로 향하는 시내버스가 있고 곳곳에 광주e스포츠경기장 이정표도 있어서 조선대학교만 찾는다면 경기장을 찾아가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은 조선대 해오름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선대학교에서 10년 동안 임대를 하면서 기존 건물을 일부 리모델링을 하는 형태로 조성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경기장 조성 예산을 총 60억원을 집행 받아서 30억원을 경기장 조성을 30억원을 방송 장비로 투자했습니다.
현재 조선대에서 e스포츠경기장 조성과 대학교 시설 이용을 조건으로 임대를 하고 광주정보산업진흥원에서 경기장 조성과 장비에 투자를 한 만큼 사실상 공동으로 운영하는 형태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직 개관 초기라 경기장 활용을 위해 협의를 하는 단계를 밟고 있습니다.
로비
총 2층으로 구성된 광주e스포츠경기장에 들어가면 사이버틱한 이미지의 로비가 보입니다. 1층 로비엔 다양한 체험 공간과 프로모션 부스를 활용할 수 있어서 광주시 소재 게임사의 VR 장비가 설치를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에 전시 중인 헤리티지는 바로 대통령배 전국 아마추어 e스포츠 대회 (KeG) 종합 우승 트로피입니다. 광주광역시는 2009년과 2020년 KeG에서 종합 우승을 했고 우승 트로피가 경기장 로비에 전시를 했습니다. 앞으로 KeG 우승이나 지역 대표로 우승을 하면 전시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VIP 룸
본격적인 경기장 투어는 1층 로비 기준 왼쪽 통로부터 시작했습니다. 제일 먼저 대회 시상식이나 행사에 참석하는 내빈들을 의전하는 VIP 룸입니다. 간단하게 소파와 TV가 있으며 경기를 지켜볼 수 있는 수준의 공간입니다.
선수 대기실
선수 대기실은 총 4개의 대기실을 준비했습니다. 2개는 경기 직전 세팅과 중간 휴식 시간 작전 회의를 위한 대기실로 왠만한 장비 세팅을 했습니다. 특히, 개인 소지품 보관을 위한 락커룸과 TV에 미니맵 띄우고 작전 설명을 위한 투명 보드도 준비한 것이 눈에 띕니다.
2개의 대기실은 다다음 경기를 준비하는 선수단을 위한 휴게실로 따로 장비는 없지만 경기를 볼 수 있는 TV와 작전 회의를 위한 투명 보드 그리고 선수 개인 소지품 보관을 위한 락커룸을 구비했습니다.
출연자 대기실
경기장과 독립된 공간에 있는 선수 대기실과는 달리 출연자 대기실은 주 경기장과 근접한 곳에 위치했습니다.
분장실
방송 출연자와 선수들의 분장을 위한 분장실이 2층에 위치했습니다. 재밌게도 대기실과 분장실이 같은 층에 있는게 아니라 다른 층에 위치를 했습니다. 그래도, 거리는 가까워서 상관이 없군요. 참고로, 1층 뿐만 아니라 2층 화장실도 가깝게 배치를 잘 했습니다.
방송 스튜디오
2층엔 2개의 방송 스튜디오가 있습니다. 하나는 말 그대로 방송 스튜디오고 하나는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튜디오입니다. 방송 스튜디오엔 글로벌 팬을 위한 영어 중계 제작을 목표로 조성을 했으며 1인 크리에이터 스튜디오는 방송 스튜디오와 똑같은 형태지만 크로마키는 기본이고 개인 방송을 위한 웹캠, 사운드 카드, 방송용 패드와 같운 장비를 구비했습니다.
참고로,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 신청시 1인 크리에이터 체험을 신청하면 실제 장비를 가동해서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 방송하기 체험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주 경기장
2층을 통해서 주 경기장에 입장을 했습니다. 주 경기장은 기존 조선대 해오름관 공연장을 리모델링을 했습니다. 그래서, 좌석은 공연장 좌석과 동일하고 무대와 주변 인테리어를 변경한 선에서 조성을 했습니다.
2개 층이 하나로 연결된 형태이며 1층과 2층에 주 경기장 출입구가 있었습니다. 중앙에 가로 15.5m, 세로 4m 크기의 4K 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대형 스크린이 있으며 중앙 무대에 설치한 가변형 부스엔 선수 개인캠과 개인 화면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설치했습니다. 게다가, 가변형 부스로 쉽게 설치와 철수가 가능해서 유사시 공연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좌석은 1005석으로 역대 e스포츠 경기장 중 제일 많은 좌석 수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공연장을 기반으로 조성해서 그런지 외관상 좌석은 오래됐지만 좌석간 단차가 적당하고 시야 방해 좌석은 없습니다. 다만, 한국 중계석이 관중석 중간에 설치하거나 좌석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개관식 리뷰 당시에 오디토리움 느낌이 났다고 간단하게 평을 내렸는데 그 생각엔 변화가 없습니다.
스페이스 G
다시 1층으로 돌아가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스페이스 G를 둘러봤습니다. 다수의 인원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배틀로얄 e스포츠 진행을 목적으로 조성한 스페이스 G는 76석의 PC를 설치했습니다.
부조정실 & 옵저버실
딱히 덧붙일 말은 없지만 부조정실 같은 경우 부산e스포츠경기장과 마찬가지로 광주e스포츠경기장에서도 최근 e스포츠 경기에서 활용하고 있는 실시간 리플레이와 슬로우 모션 연출과 같은 연출을 위한 장비를 구비했습니다. 물론, 보조 경기장의 카메라 원격 조정도 가능합니다.
한 가지 특별한 점이 있다면 아무래도 배틀로얄 e스포츠를 위한 경기장을 조성해서 옵저버 (게임 연출) 의 중요성이 큰 만큼 부조정실과는 독립된 공간에 옵저버실을 따로 조성을 했습니다. 총 7대의 옵저버 PC를 갖췄습니다.
기자실
프릭업 스튜디오의 기자실보다 조금 큰 규모의 기자실입니다. 기자석과 경기를 보여주기 위한 TV 그리고 보관함을 구비했습니다. 현재 방역 당국의 지침에 따라서 칸막이를 설치했습니다.
보조경기장
1층 로비 오른쪽에 위치한 보조경기장입니다. 좌석은 160석이며 양 쪽에 좌석이 있고 보조경기장 좌석은 접이식 좌석입니다. 또한, 가운데에 선수석과 중계석을 구비한 것이 특징입니다. 한 마디로 설명을 드리자면 부산e스포츠경기장 축소판입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 프로그램 중 e스포츠 선수 체험과 e스포츠 캐스터 & 해설 체험을 하고 싶다면 이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계진 체험 같은 경우 중계석이 높은 곳에 위치해서 색다른 경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장에 사용하는 장비 간단 정리
PC 스펙은 주 경기장과 보조 경기장 그리고 스페이스 G까지 모두 RTX 3080을 탑재한 PC를 갖췄고 24인치 ASUS 게이밍 모니터를 갖췄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게임이든 최상의 환경을 갖췄고 광주e스포츠경기장에서 기본적인 주변기기는 선수들이 주로 사용하는 장비로 구성해서 로지텍G 프로 마우스 & 키보드를 기본 구비를 했습니다. (게이밍 의자는 광주e스포츠경기장 로고가 들어간 의자와 에이픽스게이밍 의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에서 열리는 대회
최근에 광주e스포츠경기장에서 e스포츠 대회 개최를 발표했습니다. LCK 3부 리그인 LCK 아카데미 시리즈 챔피언십과 KeG 광주 대표 선발전 그리고 광주e스포츠경기장에서 주최하는 전국 대상 오픈 대회와 호남권 e스포츠 대회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종목과 방식으로 대회 개최를 예고했습니다.
광주e스포츠경기장 TMI
투어를 함께한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자면 아직까진 현장 관람 정책과 스튜디오 대관 같은 경우 유료화 계획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일단, 개관 초기라 경기장을 알리고 있는 단계고 조선대와 같이 사용하는 형태라 조선대와 광주e스포츠경기장이 서로 협의를 할 부분이 남아서 어느 정도 정비가 되면 관람객 유료화 정책과 같은 수익 구조 정립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재밌는 점이 있다면 경기장에 e스포츠 일정이 없는 시간에 조선대 학생들이 G 스페이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중이고 e스포츠 경기장 시설을 체험하면서 최상의 환경에서 게임을 즐긴다는 점입니다. 또한, 전남과학대와 호남대학교처럼 e스포츠 학과가 있는 대학교에서 실습 장소로도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호남권 첫 e스포츠 경기장인 광주e스포츠경기장을 다 둘러봤습니다. 투어 시간은 1시간 정도인데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투어 신청서에 체험을 원하는 투어를 선택하면 실제로 체험을 할 수 있게 실제로 장비를 가동해서 체험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체험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전반적으로 선수들에게 최상의 환경을 제공하면서 화려하지는 않지만 알차게 조성을 했습니다. 비록, 세부적인 요소들은 불확실하지만 그래도 최대 규모의 e스포츠 경기장이고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앞으로 조선대와 광주e스포츠경기장이 함께 잘 운영해서 호남권 지역 e스포츠 경기장이 지역 메카가 되길 응원하면서 투어 탐방기를 마치겠습니다.
사족 - 대전e스포츠경기장 근황
광주e스포츠경기장 투어를 한 후 대전e스포츠경기장 (대전 드림 아레나) 에 대한 제보를 접했습니다. 개관 예정일인 2021년 7월에서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참고로, 대전e스포츠경기장 같은 경우 예산 초과로 착공이 늦어진다는 소식이 있었고 올해 개관 목표로 열심히 공사 중입니다. 지난 4월에 대전에 가면서 상황을 봐서 뭔가 느낌이 애매했는데 안타깝게 되었군요. 그래도 멋진 경기장을 기대하면서 소식 기다려보겠습니다.
